🌈 내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운 것들(Sriram Krishnan)

세계 최대 VC 중 하나인 a16z의 파트너고 다양한 글로벌 회사에서 제품을 만든 Sriram Krishnan이 2009년에 작성한 글입니다. 좋은 글이고, 번역을 해주셔서 너무 유용하네요! 원저자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운 삶의 레슨을 정리한 글입니다 ✨️ 추천드리고 싶은 분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일하신 분의 삶의 레슨이 궁금하신 분 - 동기부여를 얻고 싶으신 분 교훈 1. 허락 대신 용서를 구하기 - 새로운 제안, 새로운 아이디어는 예보다 아니오가 나오는게 일반적 - 대기업은 실패를 피해오며 성장함 - 허락을 받기 전에 무언가를 하고 용서를 구하기 - 단, 무언가를 시도하는데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면 먼저 이야기해야 함 2. 망치는 것도 괜찮다 - 실패해도 괜찮다 - 작은 실패에 왜 우리는 연연할까? -> 사소한 것을 집착하는 것은 사람들을 작게 만듬 - 대부분 실패는 나중에 기억도 안 남. 사소한 실패와 그렇지 않은 것들을 구분하기 - 정말로 중요한가? 실패하면 내 인생이 뒤집히는가? 그렇지 않다면 괜찮다. 실패해도 괜찮음 - 작은 실수를 두려워하고 조심스러워하는 환경이면 회사를 떠나는 것이 좋을수도 - 실수를 했으면 앞장서서 인정하기. 비판을 받되 계속 진행하고, 숨기려고 하지 말기 3. 당신의 문 앞에 줄 서는 사람의 수 확인하기 - 당신을 찾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지 생각해보기 - 동시에 모든 일에 참여하기 - 매일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기 4. 코드가 제일 중요하다 - 직접 코드를 짤 수 없어도, 디버깅하는 법을 몰라도 코드를 읽을 줄 알아야 함 5. 외로운 늑대 신드롬 - 외로운 늑대처럼 되지 말고. 무조건 팀 - 제품을 만드는 과정은 창조적인 과정, 다 같이 하는 일 6. 직접 해보고 항상 배우기 - 예전에 해봤는데 잘 안되던데?라고 말하는 순간 성장은 멈춤 - 자기 혼자 해봤어라고 하는 것만큼 위험한 것이 없음 - 항상 배우고, 사람들이 뭘 하고 어떤 대화를 하는지 확인해보기 7. 새로운 팀? 제품보다 사람을 선택하기 - 새로운 일을 할 때는 뛰어난 사람이 있는 곳으로 가기 - 잘 나가는 팀보단 사람! - 뛰어난 사람들이 있는 팀으로 가면 가장 많이 배움 8. 안전지대에서 벗어나기 - 하던 일에서 벗어나고 새로운 일을 해야 함 - 자기가 모르는 것을 시도하기 9. 불편한 질문을 던지기 - 불편한 이야기를 이야기하고, 왜요? 물어보기 - 좋은 질문을 던지고 질문이 일을 앞으로 나아가도록 하기 10. 사람들과 인사하고 만나기 - 사람들을 만나고 옛날 이야기를 들려달라고 하고, 지금 마음에 안드는 것 물어보기 - 꼬박 인사하고 친구가 되기 - 슈퍼스타 만나보기 11. 공공 장소에선 칭찬하고, 비판할 때는 조심하게 진행하기 - 누군가 칭찬할 땐 공개적으로 칭찬하기 - 비판할 때는 조심하게 사적으로 말하기 12. 최고는 주어지는 것이 아닌 취하는 것 - 시스템은 아무도 없음. 대기업에 가면 시스템이 있어서 일이 자동으로 되지 않음 - 사람들이 각자의 힘을 내지 않으면, 아무것도 이뤄지지 않음 13. 나쁜 사람이 되지 말자 - 좋은 사람이 되어야 함 - 똑똑한데 싸가지 없는 인간들처럼 되지 말자 - 무례한 것과 피드백을 주는 것을 혼동함. - 나쁜 사람이 되면 사람들은 당신을 싫어함

BZCF | 비즈까페 : 네이버 블로그

blog.naver.com

BZCF | 비즈까페 : 네이버 블로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29일 오전 5:48

 • 

저장 14조회 2,09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토스 데이터 직군 집중 채용 - 면접만 봐도 100만원!

    ... 더 보기

    토스 DATA·ML 집중채용

    toss.im

    토스 DATA·ML 집중채용

    < 피터 드러커가 말한 7살도 아는 성공 공식 >

    1

    ... 더 보기

    < 보여서 걷는 게 아니라, 걷다 보니 길 >

    1

    ... 더 보기

    초중고딩 어렸을 적 과학시간에 석유와 석탄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배울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냥 외웠었다. 석유는 공룡을 비롯 동물이 죽어서 만들어지고 석탄은 식물이 죽어서 만들어진다고 배웠는데, 석탄이야 식물이 워낙 많았고 죽으면 자연스럽게 땅에 묻히니 그럴 수도 있겠다 이해가 되었지만, 석유는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안되었다. 동물이 화석이 될 확율이 극도로 낮다는 점을 생각하면 동물이 한꺼번에 같은 장소에서 갑자기 많이 죽어서 결국 석유까지 될 확율은 매장되어 있는 석유량을 볼 때 더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배울 때마다 당시 과학선생님들께 이해가 안된다고 질문을 드렸으나 속시원한 답을 들어본 적은 없었다. 그렇게 10대에 그 궁금증을 묻고 지금까지 잊고 살았다. 그러다 우연히 생각나서 찾아보니...


    비행기가 나는 과학적 원리와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조차 속 시원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질문 중 하나라고 한다. 많은 학설 중 다수의 과학자와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하나는 바다 미생물 이론인데, 이 이야기는 들으면서 고개가 끄덕여질 정도로 납득이 되더라.

    ... 더 보기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개정 2판

    ... 더 보기

    넷플릭스는 왜 WebFlux를 사용하지 않을까?

    ... 더 보기

    넷플릭스는 왜 WebFlux를 사용하지 않을까?

    kr.linkedin.com

    넷플릭스는 왜 WebFlux를 사용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