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가 틱톡 미국 operation을 산다면? 모두가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영전략이자 사업다각화 관점에서 보지만, 전 기술 기업과 행정부의 커뮤니케이션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트럼프의 대 중국 전선 중 하나인 '틱톡'의 미국 내 운영을 마이크로소프트가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당연히 이 과정에서 트럼프가 마소를 때릴 수도 있고, 시국이니 만큼 마소가 트럼프 행정부와 사전에 이야기를 했을 수도 있죠. 이 딜이 성사된다면, 그 후의 미래보다 그 과정이 더 함의가 있을듯. (만약에 그랬다면) 마소처럼 되는 거대한 기업도 행정부랑 싸바싸바 잘 하는데 말야. 어쩌면 국내 기술 기업에서 가장 부족한 건 대관마인드가 아니려나. - 코로나 이후 강력한 '국가'의 귀환이 각 나라의 화두일 텐데, 한국에선 어떻게 발현될지 궁금하다. 시장과 국가의 짝짜꿍이 우리나라를 먹여 살린 적이 있는데, 그 모양새로 부활할지 혹은 다른 모양새로 나아갈지 궁금합니다.

Microsoft Is in Talks to Buy TikTok in U.S.

Bloomberg.com

Microsoft Is in Talks to Buy TikTok in U.S.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8월 4일 오전 10:5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30


    한때 천만원에 거래되었던 Manus, Bedrock 무료 오픈소스로 공개

    ... 더 보기

    LinkedIn

    lnkd.in

    LinkedIn

     • 

    저장 17 • 조회 1,360


    🎙️NotebookLM 해설 - 진격의 AI, 개발자는 자멸할까?

    G

    ... 더 보기

    - YouTube

    youtu.be

     - YouTube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

    ... 더 보기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