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아웃이 왔을 땐, 일의 성과가 아니라 '행복'에 더 초점을 맞춰야 해요

1. (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지만) ‘일하는 인류’의 현실은 서늘하고 척박하다. 2. 끊임없이 자신의 실력을 입증해야 한다는 압박감은 생존을 위협할 만큼 깊고, 휴식으로는 (도저히) 치유되지 않는 좌절감이 늘 마음속에 상존한다. 3. 그렇게 많은 이들은 “살아남아야겠다”는 심정으로 하루를 살아가고, 그러다 결국엔 번아웃을 마주하게 된다. 4. (이처럼 우리는 번아웃이 개인의 문제라고 취부하지만, 번아웃을 연구한) 조나단 말레식 교수의 의견은 다르다. 그는 말한다. “번아웃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문화이자 (현대 사회의) 시대정신이에요” 5. “번아웃의 역사는 50년에 달하지만, 정확하게 정의 내리기 쉽지 않습니다. (다만) 연구자들 사이에서 합의된 번아웃의 상태는 ‘일에 대한 기대와 일의 현실 사이에서 이리저리 치이는 경험’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6. “(즉) 이상적인 노동자가 되기 위해 (우리가) 지불한 대가가 바로, '번아웃'인 셈이죠" 7. “(그리고 번아웃은 개인마다 다양한 형태로 발현되지만) 세 가지 공통의 증상이 있어요. 소진, 냉소, 무능감입니다” 8. “(저는 대학에서) 그토록 꿈꾸던 종신 교수가 되었고, 대학 강의 혁신센터장이 되기도 했습니다. 동료들도 호의적이었고, (그렇게) 그 어느 때보다 열심히 일했지만 대학에서도, 학생들로부터도 내 능력을 인정받지 못한다는 기분이 들었어요” 9. “동료 교수들이 아무리 칭찬해도 믿을 수가 없었습니다. 매일 실패하는 느낌이었고, 스트레스에 시달렸어요. 체중도 13kg이나 늘었습니다” 10. “당시 저는 교수직을 그만두는 게 생존의 문제라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그만뒀죠)” 11. “(그렇게 일에 대한 압박감이 줄어드니 요즘) 아침에 일어나면 기분이 좋아요. 오늘 할 일이 두렵지 않습니다. 전일제 교수 생활을 하면서 느꼈던 끊임없는 피로감은 이제 없어요” 12. “무엇보다 제 마인드가 달라졌어요. (그동안) 제가 쓴 다른 글을 읽으셨다면 제가 무척 우울하거나 냉소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요즘 저는) 태어나서 가장 행복하다고 말할 수 있어요” 13. “저는 행복이 ‘번성(flourishing)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기분이 좋은 것도 중요하지만, 행복이란 그저 기분이 좋은 것 이상이거든요. 번성한다는 것은 물질적 욕구가 충족되는 한편, 선한 목적을 가지고 한 인간의 신체적·지적·정서적·영혼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상태입니다” 14. (오로지 일에 대한 보상이나 성과에만 집착하면 삶은 피폐해지고, 그 자리에는 냉소와 비난이 채워집니다. 나의 열정이 불타 사라지고, 그 자리에 내가 아니라 냉소와 무능감, 우울함이 가득 찬 상태가 곧 ‘번아웃’이니까요) 15. (그러니 번아웃이 왔다고 느낄 때는 보상이나 주변의 인정보다는, 자신의 행복에 좀 더 초점을 맞추고, 자기 자신을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영혼적으로나, 더 좋은 상태로 번성하게 만드는 데 집중해보세요)

조나단 말레식 교수 ① 번아웃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문화이자 시대정신

톱클래스

조나단 말레식 교수 ① 번아웃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문화이자 시대정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4월 6일 오후 11:04

 • 

저장 19조회 2,11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효과적인 경력 기술 가이드

    

    ... 더 보기

    이제 개발자(응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대부분의 백엔드도 응용 어플리케이션이다)는 더이상 병목이 아니어야한다. 오히려 기획자와 디자이너가 병목이 되게 만드는 개발자만이 살아남을 것이며, 이전에도 그랬지만 앞으로는 더더욱 개발자가 기획 및 디자인 역량도 갖추어야 경쟁력이 있을 것이다.



    "배포했으면 스펙이지"

    어떤 서비스가 버그를 가진채로 출시되었고, 사용자들이 그 버그를 전제로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리고 그 위로 너무 많은 새로운 기능들이 쌓여있다면 그건 버그가 아니라 스펙(기능)이라는, 언젠가부터 들었던 업계의 유명한 블랙 유머다.

    ... 더 보기

    예상대로 OpenAI에서 GPT-5를 발표했습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