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뭐야?

👇링크 아티클에서 발췌 👇 고(故) 이어령 교수는 한 인터뷰에서 "인공지능이 사람을 지배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말과 사람의 달리기 경주를 예로 들면서 "사람이 말과 직접 경주할 것이 아니라 말에 재갈을 물리고 올라타서 말보다 나아져야 한다. 따라서 질문을 '사람이 만든 인공지능에 사람이 올라탈 수 있느냐, 올라탈 수 없느냐?'로 바꿔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인공지능을 '인간만 할 수 있던 일을 기계가 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과학 기술'이라고 정의했다고 생각하면 될 듯 사실 아직까지 인공지능에 대한 정의는 명확하지 않고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쉽게도 모두가 동의하는 하나의 정의는 아직 없습니다. 인공지능이 사회 모든 분야를 변화시키는 인공지능 세상이 곧 올 것이라며 온 세상이 떠들썩하지만, 기술 발전의 초기에는 그 영향력이 실제 기술의 수준보다 과장돼 알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공지능이 전 산업 영역에 적용될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고 인공지능을 자신의 업무 영역에 활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인공지능에 대체되는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을 활용해 자신의 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한 노력인 것이죠. 머신러닝은 'A라는 정보가 입력될 때 정답이 Y가 되는 조건 B'를 기계(인공지능)가 찾을 수 있도록 학습시킵니다.' 딥러닝(Deep Learning)'은 인공 신경망 기반의 머신러닝 구현 방법인데, (몇 차례 중요한 한계점을 넘어) 딥러닝이 발전할 수 있었던 데는 다음 3가지 요인이 작용했습니다. - '사전학습', '누락', '렐루 함수' 등과 같은 여러 알고리즘의 개발 - 오랜 정보화의 결과로 신경망 학습에 필요한 막대한 학습 데이터 - 딥러닝을 이용한 학습과 계산이 가능한 하드웨어의 발전 👉이해를 돕는 좋은 입문👈 #내돈내산 #퍼블리읽기 #ㅇㅈㅆ생각 #오널은역이까지 https://hello.publy.co/membership/start/new-invite?u=omm8nm&from=user-share 👇더 자세한 내용은?👇

AI 상식사전: 전공은 아니지만 꼭 알아야 할 이야기

publy.co

AI 상식사전: 전공은 아니지만 꼭 알아야 할 이야기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4월 13일 오전 4:2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더 보기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taetaetae.github.io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저장 22 • 조회 1,659


    < 좋은 질문은 틀릴 수 있는 질문이에요 >

    1. 질문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이어야 하고, 그 대답은 ‘틀릴 수 있어야’ 합니다.

    ... 더 보기

    < 제프 베조스는 왜 하루에 3번만 결정할까? >

    1. 2~3년 앞을 생각한다면 왜 오늘 100개의 결정을 해야 할까요?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