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소셜미디어 링크드인의 신원 증명 인증 전략

소셜미디어의 인증뱃지, 마크 등이 화두인 가운데 링크드인도 인증 시스템을 내놨습니다. 다만 예상하시다시피 이는 사용자의 신원과 근무지를 명확히 증명할 수 있는 무료 인증 시스템으로서, 프로필에 표시되는 인증에 사용자가 돈을 지불하게 된 트위터나 인스타그램, 페이스북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기본적으로 신원 증명이라는 기능은 같지만, 서로 다른 성격의 소셜미디어로서 링크드의 핵심 콘셉트와 비즈니스 리스크가 다르기 때문이에요. 링크드인은 1) CLEAR(공항에서 사용하는 신원 인증 시스템)을 사용해서 신원을 증명하거나 2) 이메일 주소를 통해 직장을 인증하거나 3) 소속 회사의 디지털 ID를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는 마이크로스프트 Entra ID 인증 플랫폼을 사용하는 3가지 옵션을 무료로 내놨습니다. 이중 회사 이메일 인증은 4천 개 이상의 회사에서 지원되고요. 마이크로소프트 Entra 인증은 4월 말부터 2백만 명의 링크드인 회원을 대상으로 우선 적용됩니다. HR 측면에서 클라우드 기술을 사용하는 조직이 늘어났고 채용이 원격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크게 늘면서, 자격 증명의 디지털 전환도 몇 년 동안 큰 화두가 됐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링크드인에서 사용하는 자체 Entra 인증 ID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개방형 표준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다른 회사에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어요. 즉 이 역시도 솔루션화 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새삼 마이크로소프트 정말… 대단하네요 아무튼 앞으로도 원격 근무와 채용이 늘 것인데요. 따라서 링크드인은 온라인 신원 증명이 신뢰성과 검증가능성을 높이고 비용을 크게 줄일 것이라고 크게 강조할 것으로 보이네요.

LinkedIn gets a free verified badge that lets you prove where you work

The Verge

LinkedIn gets a free verified badge that lets you prove where you work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4월 14일 오전 6:4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메타, MS, 알파벳의 지난 10년간 연간 해고율 그래프. 최근 빅테크의 대규모 해고가 정말 AI 때문일까요? 그렇다면 크게 감원하는 것이 목적일까요?

    ... 더 보기

     • 

    조회 1,471


    B2B 산업과 시장에서 B2B 고객에 맞는 접근법이 별도로 필요하다

    사업아이템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스타트업과 대기업 신사업/신제품 부서 대상 교육과 컨설팅을 하면서 B2C도 중요하지만 더 큰 산업이자 시장인 B2B에서 사업 성장 가능성을 찾아야만 한다고 누누히 이야기해왔다. 코로나 사태가 지나고 AI와 딥테크가 주요 키워드가 된 이후 이제는 더이상 B2B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

    ... 더 보기

    AI 시대가 열리면서, 역설적이게도 역대 최대의 인재 영입 전쟁이 벌어지

    1

    ... 더 보기

    [팩플] AI는 사람 싸움…빅테크, ‘애크하이어’로 인력 확보 경쟁

    n.news.naver.com

    [팩플] AI는 사람 싸움…빅테크, ‘애크하이어’로 인력 확보 경쟁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더 보기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요즘IT

    요즘IT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요즘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