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JS 주제들을 배우기 전에는 React를 사용하지 마세요!

React.js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기 전에 몇 가지 기본적인 주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물론, 최대한 빨리 멋있는 기술들을 사용하고 싶겠지만, 더 멋진 기술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본 지식들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1️⃣ DOM(Document Object Model) 문서 객체 모델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DOM 구조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우선, JavaScript를 사용하여 DOM을 조작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https://www.w3schools.com/js/js_htmldom.asp] 2️⃣ Promises 미래에 어떤 값을 받겠다고 약속하는 특별한 객체입니다. resolve 또는 reject할 수 있습니다. [https://www.w3schools.com/js/js_promise.asp] 3️⃣ Async / Await 비동기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구문으로,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https://youtu.be/PoRJizFvM7s] 4️⃣ ES6+ JavaScript의 표준 사양입니다. 새롭고 향상된 많은 기능들이 추가되었습니다. [https://www.w3schools.com/js/js_es6.asp] 5️⃣ Vanilla JS 더 많은 기본 지식들을 배우고 싶다면, 다음 GitHub repo를 살펴보세요. [https://github.com/snipcart/learn-vanilla-js]

Don't jump to React before learning these JavaScript topics⚡...

Medium

Don't jump to React before learning these JavaScript topics⚡...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5월 4일 오전 10:39

 • 

저장 81조회 4,10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미국과 캐나다 근무 환경 차이점?🇨🇦]

    미국과 캐나다 대기업의 근무 환경에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는 걸 느꼈습니다. ✨첫 번째: 업무 스트레스 캐나다에서 개발자로 일했었을 때 업무 스트레스가 훨씬 적었습니다. 그 이유는 캐나다 정서 특성상 "laid back", 즉 좀 여유로움이 묻어 있어서 그런지 모두가 5시만 되면 칼퇴근했었습니다. 미국은 영주권 절차가 최소 2년 최대 10년 이상 걸립니다. 결혼 영주권은 빠르다고 생각하나, 요즘 결혼 영주권도 최소 2년 걸립니다. 반면에 캐나다의 경우 6개월 만에 영주권 수령했었습니다. 영주권이 주는 건 "freedom". 언제든 맡은 업무가 적성에 맞지 않거나 높은 연봉을 받으려고 다른 회사로 이직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음이 편했습니다. ✨두 번째: 연차, 공휴일 차이점 미국과 캐나다를 비교했을 때 캐나다는 매 달 공휴일이 최소 하루 정도 있었습니다. 회사마다 또는 주마다 천차만별이나, 미국은 최소 6일 정도 있는 반면 캐나다는 적어도 1년에 12일 정도 있었었습니다. 한 달에 한 번씩 주말이 3일인 주가 있었기 때문에 여행을 자주 다닐 수 있었습니다. ✨세 번째: 팀 다양성 미국의 경우 취업 비자와 영주권 ... 더 보기

    < 진보는 조용히 오고, 파괴는 시끄럽게 온다 >

    1. 문제는 고쳐지고 사람들은 적응한다. 위협이 크면 해결책이 나올 동인도 똑같이 커진다.

    ... 더 보기

    📣 아미고(Ameego) 전화 걸어주기 출시!! (Beta)

    ... 더 보기

     • 

    저장 1 • 조회 737


    어제 저커버그 인터뷰에서 연구자들을 돈으로 매수..아니 돈으로 경쟁사들에게서 빼오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서 답했는데요.


    이는 잘못된 말이라며, 탑티어 연구자들의 욕망(!)은 GPU를 최대한 많이 사용할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이고, 그래서 작은 팀으로 무한대의 GPU를 쓸 수 있게 해 준다는 것으로 유혹(?) 했다고 합니다. (*욕망, 유혹 같은 표현을 저커버그가 쓴 건 아님)


    ... 더 보기

    조회 1,002


    테드(TED) 강의장에 황소가 등장했다. <생각의 공유> 저자 리오르 조레프는 청중에게 황소 무게를 예측해 보라고 제안한다. 그러자 140㎏에서 3t까지 다양한 오답이 쏟아졌다.

    ... 더 보기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

    메타, MS, 알파벳의 지난 10년간 연간 해고율 그래프. 최근 빅테크의 대규모 해고가 정말 AI 때문일까요? 그렇다면 크게 감원하는 것이 목적일까요?

    ... 더 보기

     • 

    조회 1,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