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고싶은 걸 하면 안 된단 교훈이 스푼라디오 키웠죠”
블로터
(스푼라디오 스코어) 앱다운로드 2천만, 한미일 등 전세계 20여개국에서 월간이용자 300만, 월1회 이상 방송하는 이용자 30만, 사용자 70% 18~24세, 기업가치 3천억원. (경쟁력) 이용 패턴이 기존의 FM라디오와 굉장히 유사. 주 2~3회 20~30분 청취하고 나간다. 밤 10시 경쟁이 제일 치열. 라디오를 대체할 플랫폼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 다른 것은 양방향의 ‘소통방송’이 전체의 약 40%를 차지. 일종의 ‘고독시장’으로 팟캐스트 처럼 전문적이지 않아도 웃고 떠드는 리액션이 있는 생방송. 골수 청취자에겐 방송진행자가 연예인급으로 후원이 수익모델. 카톡에 팬관리용 오픈채팅방만 몇 만개. 수십명의 진행자가 억대 수익 올리는 중. 특히 일본의 문화와 잘맞아 강세. (TMI 보태기) 샌프란시스코에서 삽질하던 시절 500 Startups란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사무실에 놀러갔다 한국에서 '만땅'이란 폰 배터리를 공유하는 스타트업이 와있던 것을 봤었다. 아이폰에 이어 갤럭시마저 배터리 일체형으로 바뀌며 그렇게 잊혀지나했는데...그들이 '스푼'이란 완전히 새로운 모델로 피벗해 전에 없던 시장을 만들고 글로벌로 성장하고 있음에 여러번 놀랐고 응원하는 중.
2020년 8월 18일 오전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