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와 디지털 환경에서의 글쓰기 차이] <트렌드 코리아 2019>에서도 세대별 콘텐츠를 접하는 방식을 설명하면서 X,Y 세대는 책과 같은 선형적 내러티브에 익숙하며 Z세대는 웹 상에서 하이퍼링크로 왔다갔다 하며 읽는 비선형적 내러티브에 익숙하다는 논점을 꺼낸 적이 있다. 같은 '글'이라도 어떤 플랫폼에 올리느냐에 따라 쓰는 방법이 달라져야 하는데, 이 글은 디지털 글쓰기의 핵심을 짚어준다. 그 중 헤드라인 쓸 때 유의할 점을 발췌하자면, 1) 첫 세 글자가 information-carrying할 것 불필요한 전치사나 수식어 때문에 황금 영역을 낭비하지 말라는 뜻. 2) SEO를 고려하여 키워드를 넣을 것 사람들이 많이 검색하는 키워드 중심으로 제목을 설정할 것. 출판물은 시작과 끝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소제목에선 이를 고려하지 않고 책의 제목만 고려해도 사람들이 모든 자료를 읽으려 하지만, 웹은 검색이 기반이므로 모든 정보의 헤드라인에서 이 점을 고려해야 한다. 3) information scent를 고려하여, 독자가 필요로 하는 키워드를 넣을 것 유저의 니즈를 반영한 키워드 고르기. 나도 제목을 짤 때는 본문의 내용을 가장 잘 드러내는 키워드와 유저에게 후킹될 수 있는 키워드 중에선 후자에 우선순위를 두는 쪽이다. 웹에선 일단 선택되는 게 중요하기 때문.

Writing Style for Print vs. Web

Nielsen Norman Group

Writing Style for Print vs. Web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8월 22일 오전 9:2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좋은 관계를 위한 최소한의 예의, ‘거리 두기’ >

    1. 살다보면 나를 끔찍이 싫어하는 사람이 한둘은 나오게 마련이다.

    ... 더 보기

    < ‘나다움’을 잃는 순간, 모든 것을 잃는다 >

    1. 당신 자신을 믿어라. 결코 모방하지 마라. 매 순간 자기 재주를 내보여라. 평생에 걸쳐 쌓아온 누적된 힘을 보여줘라.

    ... 더 보기


    회피를 해야 할까요? 방안을 찾아야 할까요?

    팀이나, 파트등의 조직에서의 생활을 하다 보면은 나의 의사와 다른 상황이 펼쳐지는 일이 꽤 많은 빈도로 발생이 되는거 같아요.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조직 생황을 하였지만 가장 어려운 것이 나의 의사와 다른 생각을 가지는 일들이 생기는 것들 같아요.

    ... 더 보기

    조회 979


    노력도 배신한다...250714

    1.●관계를 결정하는건 그 사람의 태도이다.
    2.●운이 안따른다고 생각이 들면 좀 기다려야 한다.

    ... 더 보기

     • 

    저장 2 • 조회 87


    성장이 어려운 환경에서의 개발자 생활

    저런 개발자 생활도 한적이 있어서 다양한 생각이 든다.

    “어이 신입, 탈출각이다” | 요즘IT

    요즘IT

    “어이 신입, 탈출각이다” | 요즘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