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1과 403 그 차이는?

HTTP status 400대 에러! 뭔가 요청이 잘못되거나 권한이 부족하여 제대로 답을 줄 수 없을때 마주하게 되는 에러인데요. 이 중 알듯 모를듯 비슷한 두 인증 및 권한에 대한 에러가 있습니다. 바로 401과 403인데요. 그 차이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401 Unauthorized - 요청자(사용자)가 누군지 알 수 없음 - 인증이 필요한 요청인데 실패하거나 제대로 제공이 되지 않은 경우. - 응답에는 유효한 자격 증명을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WWW-Authenticate` 헤더 필드를 포함하도록 한다. 403 Forbidden - 요청자(사용자)가 누구인지는 알고 있으나 접근 허용되지 않음. (권한이 부족) - 오류 사유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 두 가지를 헷갈리면 안되는 이유는 바로 유저 프로세스가 두 에러에 따라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인데요. 가장 많이 마주하는 시나리오는 유저의 로그인을 하고 일부 리소스에 대해서 접근을 관리하는 서비스일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Google 클라우드에서 공유된 폴더에 접근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1) 요청하는 유저가 로그인 아직 하지 않았을 때 -> 401 2) 요청하는 유저가 로그인 하였고, 공유된 폴더에 접근 권한이 있을 때 -> 200 3) 요청하는 유저가 로그인 하였고, 공유된 폴더에 접근 권한이 없을 때 -> 403 https://www.permit.io/blog/401-vs-403-error-whats-the-difference

401 vs. 403 Error Codes: What's the Difference? When to Use Each? (Updated 2023) | Permit

Permit

401 vs. 403 Error Codes: What's the Difference? When to Use Each? (Updated 2023) | Permit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9월 29일 오전 10:07

 • 

저장 131조회 5,54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이번 구글 I/O, 구글 여러분들 행사전에 입이 근질근질하셨겠네요. ㅎㅎ


    내용은 다들 소개하셨으니 한줄평하자면, 구글이 처음으로 OpenAI에 비해 반발짝정도 앞서나간 이벤트인 것 같습니다.


    더불어 출시한 모델과 서비스들을 보니.. 역시 AI는 돈빨이며 구글이 돈빨을 제대로 세웠.. 쿨럭..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22 • 조회 4,007


    최고의 리더가 되기 위한 덕목을 알려주는 지식은 수없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2008년 구글이 발표한 ‘산소 프로젝트’다. 구글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팀장급 이상 관리자의 인사자료 1만 건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 더 보기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비즈N

    ‘최악의 리더십’ 평가 받은 리더들의 공통적 특징 살펴보니…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에서 주니어 개발자들이(사실 개발자라면 누구나) 보시면 좋을 아티클 모음을 공유해 주었네요! 검색엔진부터 비동기 처리, NoSQL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클들이 공유되어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시면 좋겠습니다. F-Lab 에서 공유해주신 아티클 주제를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글이 직접 말하는 검색엔진의 원리 (tali.kr) 📌 검색 엔진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xo.dev) 📌 네이버의 검색엔진의 특징과 알고리즘 (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네이버 검색의 원리 : 네이버 블... 더 보기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 

    저장 139 • 조회 3,768


    무너지고 있는 프론트엔드, 백엔드 직군의 경계에 대한 고찰

    AI 기술이 우리 일상과 산업 전반에 스며들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역시 큰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코딩을 돕는 AI 에이전트의 등장은 개발 생산성에 대한 큰 변화를 만들고 있다. 나 역시 이러한 변화를 체감하며, 나에게 익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의 대표적인 두 축인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영역에서 AI 기술이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변화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본다.

    ... 더 보기

     • 

    저장 32 • 조회 4,230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청년미래플러스 사업, 이전에 공유했었는데요.

    ... 더 보기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