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자판기 기술 개발과 아이디어는 한국에서 12년 전 나왔다. 한국의 스타트업 쓰리알코리아는 2011년 약 자판기 특허출원과 제품 개발에 성공하고, 2013년 인천에 2대를 설치했지만 약사들의 반발로 설치 2개월 만에 자판기를 철거했다. 이후 2019년 정부에서 임시 사업권을 얻을 수 있는 규제 샌드박스 제도에 신청했지만 2022년에야 허가를 받고 수도권에 7대를 제한적으로 설치하는 데 그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81644?sid=105

한국서 12년 묶인 약 자판기, 싱가포르는 5년만에 풀었다

n.news.naver.com

한국서 12년 묶인 약 자판기, 싱가포르는 5년만에 풀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0월 5일 오후 11:1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뇌를 가장 빠르게 바꾸는 3가지 방법 >

    1. 뇌를 재설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더 보기

    퍼플렉시티, 기업가치 19조 돌파 및 사업 확장

    ... 더 보기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 기업가치 19조8000억원…7조원 껑충

    파이낸셜뉴스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 기업가치 19조8000억원…7조원 껑충

    Eventually Consistent

    D

    ... 더 보기

    삼성이 단기간에 대규모 펀드를 만든 것은 2021년 이후 4년 만이다. 당시에는 한 해 동안 6개 펀드를 통해 총 5400억원을 마련했다. 이후 투자 규모는 점차 축소돼 2023년 조성된 펀드는 총 1200억원에 그쳤다. 이번에 결성될 4600억원 규모의 펀드는 삼성이 본격적인 투자 재개에 나섰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 더 보기

    삼성벤처투자, 계열사 출자로 4600억 펀드 결성…대규모 투자 '신호탄'

    블로터

    삼성벤처투자, 계열사 출자로 4600억 펀드 결성…대규모 투자 '신호탄'

    프롬프트 엔지니어에 대한 빗나간 예측

    2022년 말이 었나요? ChatGPT가 처음 등장했을 때, 앞으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라는 새로운 직업이 뜰 거라는 말이 정말 많았습니다. LLM(Large Language Model)으로 부터 최소한의 질문으로 원하는 응답을 얻기 위해서 프롬프트를 최적

    ... 더 보기

     • 

    저장 9 • 조회 3,924


    《희고 흰, 흰색에 흰색》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623


    비슷한 게시물

    SNEW 스타트업 뉴스 start-up and VC

    바로팜은 약사들이 필요한 약을 입점 업체로부터 구매할 수 있는 쇼핑몰과 약국 맞춤형 솔루션 등으로 구성돼 있다. 바로팜이 직접 만든 자체 개발(PB) 상품도 판매한다. 바로팜 플랫

    SNEW 스타트업 뉴스 start-up and VC

    문 대표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AI 신약 개발사들이 신성장동력이라고 판단했다”며 “경쟁력이 있고 성공 가능성이 높은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을 보유한 회사 30여 곳의 검토를 마

    SNEW 스타트업 뉴스 start-up and VC

    반려동물 의약품 시장이 매력적인 또하나의 이유는 파급효과가 크다는 점이다. 많은 신약들이 반려동물 의약품 시장과 인체용 의약품 시장을 동시에 공략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상래 아주

    SNEW 스타트업 뉴스 start-up and VC

    “8년 가까이 애정을 쏟은 뷰노에서 의료·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을 깊게 경험하면서 실제 임상 현장의 문제와 니즈를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당시 뷰노는 10개가량의 제품을 개발

    SNEW 스타트업 뉴스 start-up and VC

    정부가 진행하는 1000억원 규모의 네번째 'K-바이오·백신펀드' 출자사업 경쟁률이 1대1에 그쳤다. 정부가 출자금 전액 지원 등 당근책까지 제시했지만 바이오 투자심리 위축으로 벤

    SNEW 스타트업 뉴스 start-up and VC

    유한양행은 다양한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을 수립했다. 제2, 제3의 렉라자와 같은 블록버스터 신약 후보물질을 조기에 발굴하기 위해서다. 10년 전부터 유한양행은 50여 개 바이오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