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쾌한 동기부여

운동을 좀 제대로 배워보려 PT를 받고 있습니다. 벌써 6개월정도 지나서 트레이너 선생님과도 꽤 많이 친해지고 많이 배웠습니다. 다만, 앞으로 운동은 계속 할 것이지만 재등록은 하지 말아야 겠다는 생각으로 끝나는 날만 하루하루 기다리고 있습니다.


PT 트레이너 선생님인 만큼 운동에 대한 동기부여를 주고 항상 화이팅 넘치고 목표를 만들어 주는 것이 목표이고, 더 열심히 만들고 스스로도 운동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겠죠. 하지만 다이어트 식단에 하지 않음에 있어서 너무 나무라는 바람에 제 기분이 많이 상했는데요. 저에게는 평일 점심에는 동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관계를 쌓아나가고, 저녁에는 가족들과 맛있는 것을 먹으며 시간을 보내는 것이 중요한데 그 모든 것은 핑계이며, 그런 시간 없이도 좋은 관계는 충분히 만들어 나갈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물론, 식사를 함께 한다는 것이 모든 관계 빌딩에 필수 요소는 아니지만 저에게는 가장 마음 편히 웃고 떠들 수 있는 시간이기에 절때 포기할 수 없는 시간들인데요. 이를 너무 쉽게 핑계라며, 저의 상황을 너무 쉽게 이야기 하는 것에 있어 제 마음이 상하고, 오히려 식단 하지 말아야 겠다는 반발심 마저 들었습니다.


사람마다 가치관, 상황, 경험, 사연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누군가에게는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는 말 혹은 행동이 누군가에게는 오히려 독이 되기도 합니다. 개발자라면 개발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이 당연히 좋지만, 내가 알지 못하는 사연으로 이미 그들만의 전쟁을 하고 있는 개발자들도 있겠죠. 내가 맞다고 믿는 것에 대해서 쉽게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는 것이 얼마나 불쾌할 수 있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된 것 같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0월 9일 오전 12:18

댓글 8

  • 사람들과 대화할땐 상대방을 존중하는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한것 같습니다☺️

  • 사회 경험 없는 트레이너 같네요

  • 저도 그런사람들이 불쾌한적이 있었지만 그 중 꽤 많은 사람들이 딴데 안보고 자기분야에만 정말 몰입하신 분들이 많습니다. 그 부분을 이해하면서 지내시면 많은 도움이 되는 분들입니다.

  • 전문가의 존중없는 조언은 독이나 다름없는 것 같아요 트레이너는 뽕에 취해있는 것 같은데 식단 관련해서 말해도 못알아먹을거에요. 취해있으니까요. 피하는게 답입니다..

  • 삶의 맥락을 파악하고 상황을 인지하는 것을 복잡하고 머리 아파 불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습니다. 그러한 사람들이 주로 ‘핑계’라는 말을 자주 쓰죠. 그와 반대되는 사람들은 똑같은 현상도 ‘이유’, ‘원인’이라고 하고요. 전자는 대체로 추진력 강하고 버티는 걸 잘합니다. 생활력 강하고요. 후자는 대체로 임기응변과 멘탈케어에 능합니다. 사람, 심리 파악을 잘 하고요. 사람 성향마다 장단점이 있을 겁니다. 그러나 결이 맞지 않는 사람과 오래 지내는 것은 삶을 좀먹습니다. 보통 가족이 그런 경우가 많아 고통인데, 글쓰신 분께서는 언제든 쉽게 선택 가능한 인연이니 스스로 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굳이 성향에 대해 이야기 나눌 필요는 없습니다. 말해도 모를 거고, 안다고 해도 납득하지 않습니다. 스스로를 중심에 두고 가볍게 살아가시기 바랍니다! 응원합니다.

  • 보통 식견 떨어지고 자극적인 말 좋아하는 사람들이 핑계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살더라고요.

함께 읽은 게시물

오늘은 투자 완료일이자 아미고 런칭 100일. 별 생각 없었는데, VC 파트너님이 축하한다며 파티 안하냐고 전화주셨길래 편의점에서 맥주 한 캔과 꼬깔콘으로 조촐하게 파티 했습니다.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겠죠. 잘 부탁드립니다.

... 더 보기

조회 1,832


이직의 조건



... 더 보기


ChatGPT 버전명 설명

ChatGPT 사용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 모델명만 봐서는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더라고요.

... 더 보기

이번 구글 I/O, 구글 여러분들 행사전에 입이 근질근질하셨겠네요. ㅎㅎ


내용은 다들 소개하셨으니 한줄평하자면, 구글이 처음으로 OpenAI에 비해 반발짝정도 앞서나간 이벤트인 것 같습니다.


더불어 출시한 모델과 서비스들을 보니.. 역시 AI는 돈빨이며 구글이 돈빨을 제대로 세웠.. 쿨럭..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22 • 조회 4,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