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 도구, 어디까지 써보셨나요?

제가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생산성 도구들을 스프레드시트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사용해보았거나 또는 꾸준히 사용하고 있는 도구들만 정리하였고,
생산성 도구의 범위는 총 4가지로 정리해보았어요.

1. 시간 생산성 - 한정된 시간안에 효율성을 높이고 일정과 스케쥴을 관리해줄수 있는 도구들입니다.
2. 창의력 생산성 - 머리 속에서 나오는 창의력들을 실제로 구현해줄수 있는 도구들입니다.
3. 사업 생산성 - 사업 & 비즈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더 나아가 자동화까지 만들어줄수 있는 도구들입니다.
4. AI 생산성 - 프로토타입 & 프로덕트를 만들거나 아이디어만 존재할 때 이를 구체화시키는 도구들입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도구들을 사용하면서,
이 스프레드시트에 더 유용한 내용들을 채워갈 예정입니다.

'생산성 도구' 스프레드시트를 공유받고 싶은 분들은
💬 아래의 댓글에 #데이터리차드 라고 달아주시면,
DM으로 스프레드시트 링크를 공유드릴게요.

데이터 & AI를 더욱 재미있고 가치있게 배울수 있도록
데이터 리차드가 함께하겠습니다 :)

#데이터리차드 #생산성도구 #스프레드시트 #공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2월 4일 오전 2:29

댓글 16

함께 읽은 게시물

데이터 분석가 600명의 이직 결심 사유는 무엇일까요?

... 더 보기

- YouTube

www.youtube.com

 - YouTube

나는 종종 생산성을 올리기 위한 각종 개발 툴은 물론, 라이브러리나 소스 코드를 구매하기도 한다.


소스 코드의 경우 실제로 써먹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수 되긴 하지만, 그래도 구성이나 코드를 보면서 배우는게 있기 때문에 학습 비용이라고 생각하고 가끔 구매하는 편이다.


... 더 보기

앞으로의 코테는 설명을 주고 코드를 짜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코드를 주고 설명을 하라는 것이 유효할 것이다.


내 경우는 이미 그렇게 하고 있는데, 요구사항을 주고 개발을 요청. 결과물이 요구사항대로 개발이 잘 되었다면, 다음 단계로 제출한 코드를 리뷰하며 설명을 요청한다.


... 더 보기

 • 

댓글 2 • 저장 21 • 조회 3,547


< 보여서 걷는 게 아니라, 걷다 보니 길 >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