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에서는 한 리전안에 가용성을 위해서 여러개의 가용영역이 있습니다. 서울 리전인 ap-northeast-2의 가용영역은 ap-northeast-2a, ap-northeast-2b, ap-northeast-2c, ap-northeast-2d 처럼 4개의 가용영역이 있고 한 가용영역이 꼭 하나의 데이터 센터인 것은 아니지만 혹시모를 장애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여러 가용영역에 걸쳐서 서버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AWS에서 한 가용영역 내에서의 데이터 전송은 무료이지만 가용영역 간에는 데이터 정송에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고가용성을 위해서 여러 가용영역을 사용하지만 그때문에 데이터 비용도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S3를 사용해서 이를 우회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S3는 가용영역 단위가 아니라 리전 단위로 버킷이 존재하기 때문에 같은 리전에 있는 S3는 모든 AZ에서 똑같이 사용할 수 있고 공용 인터넷으로 나가는게 아니라면 AZ에서는 다운로드와 업로드가 무료입니다. 물론 스토리지에 저장한 비용은 시간 단위로 부과됩니다.


이 두가지 특징을 이용해서 a 가용영역 서버에서 b 가용영역의 서버로 데이터를 보내야 할 때 직접 보내는 대신 S3에 업로드하고 이를 다시 다운 받는 방식으로 사용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글입니다. 물론 스토리지 비용도 아끼기 위해서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데이터도 삭제합니다.


글에서 나온 실험에 따르면 1TB를 전송했을 때 직접 전송했을 때는 20.48달러가 청구되었지만 S3를 거치면 저장 비용인 8센트만 청구되었습니다.


응답시간이 중요한 API 호출등에는 사용하기 어렵겠지만 데이터는 큰데 좀 시간이 걸려도 상관없는 부분이라면 이 아이디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bitsand.cloud/posts/slashing-data-transfer-costs/

Slashing Data Transfer Costs in AWS by 99%

Bitsand

Slashing Data Transfer Costs in AWS by 99%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2월 14일 오후 4:09

 • 

저장 24조회 3,33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보여서 걷는 게 아니라, 걷다 보니 길 >

    1

    ... 더 보기

    자바 25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 더 보기

    곧 출시될 자바 25는 가능한 빨리 도입하세요

    kr.linkedin.com

    곧 출시될 자바 25는 가능한 빨리 도입하세요

     • 

    저장 18 • 조회 2,345


    ChatGPT의 GPT-5 Pro와 API의 GPT-5 High는 완전히 수준이 다르네요.


    그냥 GPT-5나 GPT-5 Thinking이 GPT-4.5정도의 느낌이라면, Pro, High는 진정한 GPT-5라고 느껴짐.

    조회 971



    《끝까지 듣는 사람》

    <

    ... 더 보기

    📣 Interview Coaching 베타 릴리즈!!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