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달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이직 시 단독 작업한게 걸림돌이 될까요?
프론트엔드 3년차 입니다. 디자이너,백엔드 개발자와 작업은 같이 했지만 프론트엔드 파트는 혼자 전부 진행하였습니다. 회사에서 보낸 시간이 너무 많아서 1년반정도가 인생에서 사라진 느낌이 들 정도였습니다. 그동안 트러블 슈팅, 혼자서 해결한 문제들이 너무 많아서 그런것들 보단 ( 알고보면 단순한 내용들이거나 시니어가 있었다면 금방 해결될 문제들입니다. ) 어려운 전제조건 하에 개발한 기능, 수치적으로 표현 가능한 기능에 대해서 이력서에 기입했습니다 허나 기입한 기능들 자체가 글로 적으면 대단해 보이지가 않는다는게 문제입니다. 오히려 단독으로 했다고 하면 과장해서 적어놓은 사기꾼같아보일까봐 걱정입니다. 이력서에 적힌걸 보면 정렬,최적화,구조 변경 이런것들이거든요... 근대 그것들을 클라이언트 단에서 디자인 패턴까지 쓰지않으면 안될정도의 복잡한 로직을 구현한거긴합니다만 결과 자체는 단순히 필터링 정렬 표기 그런것들입니다.. , 그걸 이력서에 다 기입할 수가 없어서 고민입니다. (react , next를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혼자서 서비스와 백오피스를 다 작성했다보니 효율적으로 수정 가능하게 진행했다, 다른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기 용이하게 코드구조를 변경했다. 정도만 적을 수 밖에없었습니다. 어렵기 보단 얼마나 효율적으로 구조를 잡고 진행하냐의 문제였거든요. 이력상으로 봤을때 화려한 기능이나 서비스를 만든건 아니라서 더 더욱 차반 취급받을까봐 고민입니다.. 혼자서 많은 고민과 문제를 해결했지만 3자입장에서 봤을때 전혀 볼게 없는 심각한 상황입니다.. (시간만주면 3d든 스트리밍 chart든 브라우저 api 활용이든 map api든 canvas든 다 금방 배워서 할 자신이 있지만 그런 종류의 작업들은 회사 일로선 전혀 하질 못했습니다.. ) 연봉을 대거 낮춰서 신입 자리라도 지원해야할까요..? 최근엔 회사에서 먹고 자지 않아도 될정도라 알고리즘도 공부하고있고 트러블 슈팅이나 개발하면서 문제해결에 도움되었던 것들을 적으려고 블로그도 만들고 있긴합니다만. 너무나도 부족하고 모자라 보입니다.. 개발 실력도 올랐고 배포,운영 경험도 쌓였지만 작업내용 특성상 죄다 공개를 하지 못하니 어떻게해야할지 고민입니다..
개발자
#프론트엔드
#이직
#이력서
#경력기술서
답변 1
댓글 0
조회 191
5달 전 · 익명 님의 질문 업데이트
RESTful 어디까지 지켜야 할까
특정 article을 전체 재정렬할 때 어떤 URL 형태를 선호하시나요? 1. PUT /articles RESTful을 엄격하게 따른다. URL에 동사는 넣지 않는다. HTTP Method를 PUT 또는 PATCH로 두고 바디를 통해 재정렬을 로직을 표현한다. 2. PUT /articles/reorder RESTful 규칙에 조금 어긋나더라도 직관적인게 최고다.
개발자
#restfulapi
#rest
답변 0
댓글 0
조회 55
일 년 전 · aigoia 님의 답변 업데이트
유니티 라이브 코딩테스트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유니티 클라이언트 개발 직군을 희망하고있는 취준생입니다. 서류 1차 통과를 하고 라이브 코딩테스트로 1차 면접을 진행한다는 연락이 왔습니다. 유니티 직군으로 코딩테스트를 하는 경험은 한번도 없어서 아무것도 모르겠고 대처를 할수없어서 마음이 뒤숭숭하네요 일단 저는 정말 부끄럽게도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준비를 한번도 안해봤습니다.. 올해 2월에 졸업해서 개인 포트폴리오를 만드느라 지금까지 시간을 써버려서 많이들 말씀하시는 백준이나 프로그래머스 제일 초급난이도 정도는 풀수있을지도 모르겠군요.. 무튼 이러한 상황속에서 질문하고싶은건 아래와 같습니다. 1. 유니티 직군에서의 라이브코딩 테스트, 어떻게 진행되는가? - 유니티 프로젝트를 구성, 기능개발 및 트리거 구현 등등 이런방식? - 일반 코딩테스트 같이 알고리즘 문제를 주고 푸는 방식? 2. “일반 코딩테스트 같이” 라면 대체로 어느정도의 문제가 나올까요? (난이도 혹은 문제의 종류? (게임종류라던지 정렬종류라던지)) 3. 일주일 코딩테스트 벼락치기해도 소용이 있을까요..
개발자
#유니티
#unity
#라이브코딩테스트
#코딩테스트
답변 2
댓글 0
조회 344
일 년 전 · lecarap 님의 답변 업데이트
2학년 학부생입니다. 객관적인 의견과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4년제 대학교 소프트웨어과 2학년 휴학중인 학부생입니다. 올해 2월에 군제대를 한 후 전공이 2학기때 열리는 이유로 휴학중이며, 올해 2학기때 복학할 예정입니다. 지금 휴학중이고 개인적으로 정말 중요한 시기라 생각이 들어 2월부터 꾸준히 공부를 해오고 있었습니다. 현재 인프런 김영한 강사님의 강의를 모두 구매하고, 고급이나 실전을 재외한 10개 정도의 강의를 완강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스프링, 스프링부트, JPA, 스프링 JPA, 타임리프 정도 해봤다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1학번 코로나 학번이어서 개발 관련 지인이 없어 협업 프로젝트 경험은 없습니다. 개인 프로젝트로는 김영한 강사님 강의를 들으면 만들어지는 쇼핑몰 페이지를 발전시킨 정도입니다. 기본적인 회원, 상품, 주문 추가 및 수정 기능. 회원가입 과 카카오 api를 통한 카카오 회원 가입 기능 상품 좋아요 기능 상품 가격별, 좋아요, 이름 순 정렬 및 페이징 기능 관리자 페이지 기능 (관리자는 상품 추가 가능, 멤버 강제 삭제 가능 등..) 정도의 기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코딩 테스트는 현재 백준 골드 4이며, 프로그래머스는 230문제 정도 푼 거 같습니다. 사실 래벨과 문제 양만 많지 실력은 뛰어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머스 2단계 까지는 무난하게 풀고, 3단계부터는 1-2시간 이상 걸리거나 못 푸는 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머스 기준 카카오 인턴 커트라인 언저리에 있는 것 같습니다. CS는 아직 학교에서 배우지 않았고, 유튜브와 KOCW를 통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이화여대 반효경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백엔드라는 진로는 군대에서 정했고, 군대에서는 코테와 인프런 강의를 조금 들었습니다. 지금 제 상황은 현재 이렇습니다. 군대 전역한 지 3개월 지났고, 9월 복학까지는 3개월 정도 남았네요.. 군 전역 후 3개월 열심히 공부했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하루 집중량은 많지 않는 것 같습니다. 지금은 스터디카페에서 계속 독학중인 상태입니다. 유명 개발 동아리는 몇 번 지원해봤지만, 서류에서 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론 포트폴리오나 깃허브는 정말 잘 안 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 고민은 공부의 방향과 방법에 확신이 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즉, 어느 쪽에 힘을 주고 공부를 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개인 프로젝트를 더 해볼까 싶지만 개인프로젝트이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생각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개발을 하면서 특히 스프링 데이터 JPA를 하면서 이런 식의 찍먹 기술은 정말 위험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페이징 처리나 정렬 처리가 너무 쉽고 간편했기 때문입니다. 영상에서 특정 스킬의 찍먹은 신입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말을 들어 더 그런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런 식의 기술 스텍의 찍먹이 아닌, 서블릿부터 JDBC까지 기본적인 부분을 자세히 공부를 먼저 해야 하나 싶기도 합니다. 그래서 현재는 코테 준비와 CS 공부만 하고 있습니다. CS 강의와 코테를 공부하고 공부한 내용을 티스토리 블로그에 정리하는 형식으로 복습하고 있습니다. 지금 계획으로는 9월 복학까지 CS 및 코테 공부를 확실히 한 후, 내년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에 신청할 생각입니다. 소마는 코테 실력을 많이 본다는 점에서 좀 유리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 스프링 기본 지식이 필요할까봐 토비의 스프링 책도 1,2를 구매했고, 1권 절반정도 읽은 상황입니다. 사실 읽다가 너무 어려워서 포기한 감이 있습니다... 지금 다시 또 공부해야할지도 또 고민입니다. 또 최근에는 프로젝트 배포 경험이 중요한가 싶어 도커와 AWS도 기웃기웃거리고 있습니다. 글을 보시면 아시겠듯이 지금 저는 하나에 몰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무엇을 공부해야 할 지. 하루 스케줄은 어떻게 해야할지.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공부가 맞는건지에 확신히 서지 않습니다. 특히 저는 병렬적인 공부에 취약한 것 같습니다. 사실 하나만 파는 것이 더 쉬워보입니다.. 실력있는 개발자가 되고 싶고, 평생 공부하며 발전하고 싶습니다. 목표는 졸업 후 1년 내 대기업 취업입니다. 1년 해보고 안되면 바로 경력을 쌓을 예정입니다. 졸업은 별일 없다면 25살 겨울에 할 것 같습니다. 공부에 손이 잘 잡히지 않습니다. 막막하고 답답한 기분이 요즘 많이 들고 있습니다. 열정은 있지만 정말 아는게 없네요.. 현업 개발자 선배님께 조언을 여쭙고 싶습니다. 지금 저는 객관적으로 어떤 상황이고, 무엇을 해야할까요?
개발자
#백엔드
#공부-방법
답변 1
댓글 0
조회 369
일 년 전 · 익명 님의 댓글 업데이트
자바스크립트 데이터 정렬
obj라는 객체를 아래와 같이 정렬시키려고 합니다 정렬 기준은 각각의 요소중 total을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해야합니다 아무리해도 정렬하고 객체로 만드는 과정중에 정렬이 풀리는데 혹시 하는방법 아시는분 있나요..? -입력- const obj = { yearMonth: "2023-10", 호랑이: {cat: '호랑이', total: 2, ycnt: 2, ncnt: 0}, 사자: {cat: '사자', total: 56, ycnt: 46, ncnt: 10}, 말: {cat: '말', total: 54, ycnt: 39, ncnt: 15}, 고양이: {cat: '고양이', total: 7, ycnt: 6, ncnt: 1}, 악어: {cat: '악어', total: 17, ycnt: 12, ncnt: 5}, 사슴: {cat: '사슴', total: 41, ycnt: 37, ncnt: 4}, 곰: {cat: '곰', total: 89, ycnt: 77, ncnt: 12}, 기린: {cat: '기린', total: 10, ycnt: 8, ncnt: 2}, 치타: {cat: '치타', total: 9, ycnt: 6, ncnt: 3}, 코끼리: {cat: '코끼리', total: 22, ycnt: 18, ncnt: 4}, 강아지: {cat: '강아지', total: 48, ycnt: 42, ncnt: 6}, } -출력- { yearMonth: "2023-10" 곰: {cat: '곰', total: 89, ycnt: 77, ncnt: 12}, 사자: {cat: '사자', total: 56, ycnt: 46, ncnt: 10}, 말: {cat: '말', total: 54, ycnt: 39, ncnt: 15}, 강아지: {cat: '강아지', total: 48, ycnt: 42, ncnt: 6}, 사슴: {cat: '사슴', total: 41, ycnt: 37, ncnt: 4}, 코끼리: {cat: '코끼리', total: 22, ycnt: 18, ncnt: 4}, 악어: {cat: '악어', total: 17, ycnt: 12, ncnt: 5}, 기린: {cat: '기린', total: 10, ycnt: 8, ncnt: 2}, 치타: {cat: '치타', total: 9, ycnt: 6, ncnt: 3}, 고양이: {cat: '고양이', total: 7, ycnt: 6, ncnt: 1}, 호랑이: {cat: '호랑이', total: 2, ycnt: 2, ncnt: 0}, }
개발자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답변 2
댓글 11
조회 58
일 년 전 · 무지55 님의 답변 업데이트
useQueries 병렬 처리
useQueries가 병렬적으로 API를 요청한다고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response가 온 순서대로 result에 들어가는 걸까요? 만약 그렇다면 병렬적으로 API 요청을 하고 response 오는 순서는 다르되 그 API 요청 순서대로 result가 정렬됐으면 좋겠는데.. 방법이 없을까요..? API 요청 parameter에 id가 있긴 한데, 혹시 이 id 값을 useQueries의 result에 포함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개발자
#react-query
#frontend
#react
#리액트쿼리
#프론트앤드
답변 1
댓글 0
조회 110
5달 전 · 나다나가나 님의 답변 업데이트
너무 멍청하고 재능이 없는 것 같습니다
먼저 눈살 찌푸려지게 만드는 제목 죄송합니다. 이래야 많은 분들이 보러 와주실 것 같아서 이런 식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소프트웨어학과를 재학 중인 2학년 학부생입니다. 저는 1학년 남들이 열심히 살아갈 때 혼자서 아무것도 안 하고 그냥 숨만 쉬고 살았습니다. 그러다 문득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렇게 해서는 안 되겠다. 나를 갉아먹는 것 밖에 되지 않는다.'라고 판단하여 바로 군대를 다녀오고 2학년에 복학해서 전공을 들으며 어찌저찌 다니고 있습니다. 근데 이제 1학년 때 아무것도 하질 않아서 기본적인 개념 조차 모르니 1학년 전공 지식을 알고있을 것이라는 전제 하에 진행하는 수학 관련 전공들은 따라가기 급급하며 프로그래밍 언어는 기본적인 자료형 조차 까먹은 완전 노베이스입니다. 그래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어떻게 해야할지도 감도 안 오고, 책을 보며 공부를 해봤는데 저에겐 맞지 않아서 그냥 무작정 백준- solved.ac를 연결해서 class 문제에 머리를 들이박아 헤딩 중에 있습니다. 근데 여기서 제 문제점이 나옵니다. 사람들은 잘 푸는 것 같은데, 항상 기본적인 부분에서 실수를 합니다. 이차원 리스트를 정렬할 때, 정렬하고자 하는 값을 int 변환 없이 바로 str인 상태로 정렬을 시키고 어디서 잘 못 되었는지를 모른다거나, 또, 클래스 1 문제를 다 풀고 클래스 2로 들어오니까 한 문제 한 문제를 해결할 때 너무 많은 시간이 듭니다. 당장 이항 계수를 구하는 코딩을 작성하는 문제, 요세푸스의 순열 문제, 계수 정렬로 정렬하는 문제, 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완전 탐색 등등 다양하고 처음 보는 개념들이 많이 나옵니다. 그래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막상 부딪혀보면 해당 내용들을 알지 못하면 저는 절대 해결하지 못하더군요. 그리고 이제 파이썬과 C++을 배우며 파이썬으로 백준을 풀어나가는 중인데, 또 다시 C++로 백준을 풀라고 하면 똑같이 헤맬 것 같습니다. 아니 그냥 당장 4일 걸려서 도달했던 실버 직전 문제들을 풀라고 하면 다시 머리 싸매면서 힘들어할 것 같습니다. 이게 맞는 걸까요? 추가적인 질문으로, 백준 티어가 높으면 실무에서 많이 도움이 되나요? 이제 막 시작해서 실버5 밖에 되지 않아 높은 분들의 세계를 동경하기만 하는 중이라 한 번 여쭤봅니다. 마지막 질문으로, 친구들이랑 장난감 만들듯이 진행하는 소규모 프로젝트라고도 하기 애매한 웹페이지 제작을 하고 있는데요. 컨셉이나 주제 등을 정하기도 어려워서 그냥 무작정 제공해주는 지도 api를 가져올 수 있는 웹페이지를 하나 만들어보자! 부분만 집중하고 있습니다. 리액트와 next.js를 공부해서 열정적으로 공부하면 js언어를 빠르게 습득할 수 있을까요? 또, 백엔드는 어떻게 쌓아올려야하는 걸까요? 모르는 게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휴.. - 3줄 요약- 1. 1학년 때 놀아서 2학년인 지금 따라가기 너무 벅찹니다. 그래서 무작정 감을 익혀보고자 백준을 풀고 있는데 이것조차 이제 모르는 개념이 나오면 한 개념 이해하는데 몇 시간씩 소모하고 그럽니다. 이게 맞는 걸까요? 2. 백준 티어가 높으면 실무에서 도움이 되나요? 3. 웹페이지 제작 같은 경우에는 아무것도 모르는 노베이스 상태로 시작해도 괜찮을까요? 리액트와 next.js를 이제 막 배우고 있습니다. 그리고 백엔드는 언제 접목시키는 건가요? 다른 분들이 하시는 멋진 고민들- 실무에서의 실수, 개발자의 미래, 자신이 희망하는 진로에 대한 세부적이고 열정있어보이는 질문-에 비하면 너무나도 수준이 낮아보이는, 그런 질문인 것 같아 죄송하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발자
#대학생
#공부고민
#공부법
#react
#백준
답변 7
댓글 11
추천해요 12
조회 3,170
2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프론트엔드개발자 미니 프로젝트
안녕하세요! 현재 왔다갔다 고민 중인 그런.. 상황입니다 ㅎㅎ 고민인 사항은 기존 todolist 를 리팩토링하는게 좋을지,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어보며 좋을지 가 고민 사항입니다. 기존에 리액트를 학습하면서 정말 기본의 crud 만 구현해놓은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그 흔한 context api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입니다..ㅎㅎ zustand, tanstack query, ts 등등 이 스택들을 이제 막 익혀보려는 상황에 있는데요.. (습득 아닙니다 이제 막 시작하려고해요ㅠㅠ) 공식문서를 읽는다 해도 직접 사용해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더라구요.. 그래서 저 스택들의 기여가 적어도 일단 적용은 해서 익혀볼까? 라는 마음인데 기존의 todolist 에 뭐 검색, 최신순 정렬 등의 기능을 추가하면서 저 스택들을 사용해볼까 , 아님 아예 새로운 미니 프로젝트를 각잡고 만들어보는게 나을까 싶은 고민입니다.. todo가 작은 프로젝트인데 규모에 비해 과하게 기술을 적용하는건가? 싶기도 하고 포트폴리오에도 넣어야하는데 todo 넣는게 맞나.. 다들 이렇다 할 프로젝트를 내놓는 마당에 아예 각잡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해야하는지 참 고민인 시점입니다 ㅠㅠ 아니면 리액트쿼리, zustand 등 익히기 위해서 괜찮은 학습방법에 대해 공유해주셔도 감사할 것 같습니다. 쏟아지는 기술들에 도대체 뭐부터 해봐야하나 정신이 혼미한 상태이므로...ㅎㅎ 도움이나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개발자
#프로젝트
#고민
#프론트
답변 2
댓글 7
조회 410
2년 전 · 김태영 님의 새로운 댓글
리액트쿼리 고수분들 도와주세요
사이드프로젝트 리팩토링을 진행하는 중에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 글 써봅니다. const { data, isLoading, fetchNextPage } = useInfiniteQuery( ["getProducts", sortOption, sortOrder, filterValue, categoryName], async ({ pageParam = page - 1 }) => { const response = await api.post(`/cal/v1/product/${categoryName}`, { filter: filterValue, page: pageParam, query: "", size: size, => size: size - 8 /* 변경한 부분 */ sort: [{ field: sortOption, option: sortOrder }], }); setTotalProduct(response.data.body.product.totalCount); return response.data.body.product.items; }, { refetchOnWindowFocus: false, getNextPageParam: () => page, } ); 위 코드는 인피니티 스크롤을 구현한건데요, size는 한번에 받아 올 상품의 개수 입니다. 상품을 한번에 4개 받아올때는 500ms~, 8개 = 2500ms~, 12개 = 10000ms~ 정도로 요청시간이 비정상적으로 커집니다. 사용자경험과 api요청횟수를 고려했을 때, 12개를 받아오는것이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되는데 렌더링 속도가 많이 느리다고 생각되서 개선하고자 합니다. **초기렌더링 에서만 문제가 발생되고, 캐싱되어 fresh한 상태일 때는 바로 불러옵니다** 코드의 다른요소들은, 필터링. 정렬들을 위한 요소들이라 렌더링 시간에 영향을 줄 것 같지는 않은데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이 외에도 잘못작성된 부분이 있거나, 개선해야할 사항이 보이신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react
#reactquery
#infinitescroll
답변 1
댓글 3
조회 101
2년 전 · 이승환(Ethan) 님의 새로운 댓글
웹사이트 제작 완전초보입니다. 도와주세요..
Img를 text-align: center; 를 적용하면 가운데 정렬이 되어야하는 것 아닌가요?? Div 태그에 “container”라는 클래스를 지정해서 Css에서 .container {} 와 .container img{} 를 작성한 것이 틀렸나요? 가운데 정렬이 안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개발자
#html
답변 5
댓글 2
조회 154
2년 전 · 김태우 님의 새로운 댓글
웹개발에서 효율성 측면에 대해 의문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데이터를 정렬 또는 필터링해서 사용자에게 보여주려고 할 때 서버에서 데이터를 미리 처리해서 프론트로 보내주고 바로 렌더링 시켜주는 것이 속도가 빠를지 프론트에서 바로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를 받고 프론트 단에서 처리를 해주고 보여주는 것이 렌더링 속도가 빠를지 의문점이 생기네요! 경우에 따라 다를까요? 카테고리 같은 경우에는 프론트에서 처리 해주려면 프론트에서 데이터를 계속 들고 있거나 서버에서 매번 대용량 데이터를 받아와야 하니 서버에서 처리하는 것이 빠를까요? 단순 순서 정렬은 서버에서 하나 프론트에서 하나 똑같을까요?
개발자
#웹
#프론트
#백
#웹개발
답변 1
댓글 1
조회 85
2년 전 · Ted 님의 답변 업데이트
개발 실력을 높이고 싶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대학교에 나와서 컴퓨터 공학과를 전공한 지 어느덧 졸업을 앞두고 있는 참입니다. 분야는 솔직히 잘 모르겠는데, 분야를 정하기 이전에 기능 구현 능력이 부족하고, 알고리즘은 솔직히 말하면 좀 약해서 어찌해야 하나 모르겠습니다. 스택, 큐, 버블 정렬 정도는 구현할 수 있는 수준이긴 한데,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도 긴가민가하기도 하고 그래도 프로그래밍 관련 과목에서는 B 이상은 맞았지만 실력이 좋지 않은데 어찌하나 싶고 종합적으로 고려해보니 여러모로 개발자로서 글러먹은 거 같은데 어떡해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인프런이라도 찾아봐야 할까요? 아니면 노마드 코더 클론 코딩 강의라도 들어야 할까요?
개발자
#진로
#공부고민
답변 1
댓글 1
조회 171
2년 전 · 익명 님의 새로운 댓글
게시글 필터링 백엔드가 낫나요 프론트가 낫나요
안녕하세요 개발중에 게시글 페이지를 만들고 있는데, 필터가 총 3개입니다. 1. 카테고리 (전체, IT, 교육, 문화) 2. 완료여부(전체, 진행중, 완료) 3. 정렬 (최신순, 포인트 순) 이 3개를 구현해야하는데, 방법이 1. 프론트 처리 프론트에서 모든 데이터를 받아온 뒤에, js에서 필터링해서 데이터 넣어주기 2. 백엔드 처리 백엔드에서 데이터 처리한거를 버튼 누를 때마다 axios를 통해서 받아오기 1번은 통신비용은 줄이지만 초기랜더링이 많이 느린 것 같습니다. 2번은 통신비용은 늘지만 초기랜더링은 빠른것 같습니다. 그 외에 장단점도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추가로.. 2번 방법을 했을 때, 클릭시 param을 백엔드에 넘겨서 필터링 처리하고 싶은데 그러면 /board/filter?category='IT' & status='complete' & sort('point') 이런식으로 넘기려는데 뭔가 너무 비효율적인 것 같아서 효율적인 방법이나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할 것 같습니다
개발자
#필터링
#react
#axios
#통신
답변 2
댓글 7
추천해요 5
조회 2,041
2년 전 · 박범수 님의 답변 업데이트
go 역정렬- sort.Sort(sort.Reverse(sort.IntSlice(a))) 빠른이유???
문득 알고리즘 풀다가 아래의 게시글을 보았습니다 https://jusths.tistory.com/217 역정렬 할때 게시글처럼 진행하면 속도가 빠르다고 하는데 왜 그럴까요? 리터럴 함수로 호출하는게 빠르다고 생각했었습니다만....
개발자
#golang
#sort
답변 1
댓글 0
조회 80
2년 전 · 박정욱 님의 새로운 답변
(프론트 vs 백)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내년에 3학년 1학기로로 복학하는 군 휴학생(이라고 적고 공익 ㅎㅎ..)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웹 프론트와 백 사이에서 무엇을 중점으로 밀고 가야 할지 고민이 되어서요. 사실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 압니다. 커뮤니터 이곳저곳 검색도 엄청 많이 해봤어요. 결국 '직접 부딪쳐봐라. 하고 싶은 것, 재밌는 것을 해라'로 귀결되더군요. 저도 저 나름대로 양쪽 단을 찍먹해봤는데 잘 모르겠더라고요. 둘 다 그냥저냥 재밌게 잘 했었습니다 ... 그래서 프론트/백 어디를 더 깊게 들어가는 게 좋을지 고민이 돼요. 이번에 관련 웹 스터디 동아리에 가입했는데 하나로 결정을 딱 해야 할 것 같아서요. 혹시 결정에 도움이 될까 싶어 저의 강점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해봤는데, 저는 정리하는 데에 강박이 좀 있는 것 같습니다! 프론트랑 엮으면 컴포넌트들의 크기/배치 등의 정렬에 신경 쓴다 이런 느낌? (백이랑은 어떻게 엮어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ㅋㅋ) 혹시 비슷한 고민을 하셨던 개발자분들은 어떻게 결정하셨을까요? 긴 고민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개발자
#프론트
#백
답변 5
댓글 3
조회 549
2년 전 · lecarap 님의 답변 업데이트
백준풀때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컴공 3학년인 재학생입니다. 백준을 풀다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정렬 문제의 경우 sort 함수로 쉽게 풀이가 가능한데, 이런건 직접 정렬 알고리즘을 구현해서 풀어봐야 할까요 아니면 언어에서 제공하는 sort 함수를 이용해서 풀이해도 괜찮을까요? 2학년때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과목을 수강하였지만 지금 생각해보니 떠오르지가 않더라고요. 그래서 다시 복습은 해보았는데 나중에 이걸 다시 기억할 수 있을지, CS 면접시에만 다시 복습하면 되는게 아닌지도 궁금합니다!!
개발자
#알고리즘
#백준
답변 6
댓글 3
추천해요 48
조회 5,188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무한스크롤 No offset 방식 index지정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스프링부트 querydsl로 무한스크롤을 구현하면서 no offset을 적용하고 있습니다.정렬 방식에는 최신순과 마감순이 있는데 최신순은 pk를 오토인크리먼트로해서 사용하면되서 괜찮은데 문제는 마감순입니다. - 마감순정렬조건은 기존에 pk가 오토인크리먼트방식이고 정렬 조건과도 무관해 pk말고 정렬조건이되는 컬럼을 index로 설정을 하려고 합니다! 따라서 마감일로 입력받은 컬럼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 그런데 No offset이 클러스터 인덱스 방식을 쓰기때문에 속도면에서 이점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 따라서 클러스터 인덱스를 생성하려면 unique index로 해야하는것 같습니다. 이때, 위에 말씀드린것 처럼 정렬조건이 되는 컬럼을 마감일column으로 잡으려고하는데 이게 unique하지 않을수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시간이라 중복값이 있을수 있다고 생각) - 따라서 이를 위해 마감일컬럼+pk로 회야할지 아니면 ms초까지(sql은 없고 서버로 받아서) 받아서 datetime이 아닌 varchar타입으로 해야할지 고민이 됩니다! 여기서 제가 착각하고 잘못된 제안을 하고 있는부분이 있는지 아니면 다른 좋은 방법이 있는지 선배님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개발자
#springboot
#no-offset
#무한스크롤
#mysql
#querydsl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26
2년 전 · 권민수 님의 새로운 답변
React에서 정렬 또는 필터에 따라서 Query Parameter를 변경하는 방식과 useState를 변경하는 방식의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정렬 또는 필터링을 구현할 때 React를 예로들어 웹사이트의 Query Parameters를 변경하고 받아와서 만드는 방식과 useState로 url을 변경하지 않고 만드는 방식 둘중에 선택해야한다면 어떤 방식이 더 좋고 그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API 요청은 동일하고 URL을 변경하지 않느냐 변경하느냐 어떤게 더 옳은것인가?... 그런 부분이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정렬화면을 보여줄때 /?sort=ASC 또는 /?sort=DSC로 하고 url의 sort 값을 불러오고 url을 변경하는 방식과 const [sort, setSort] = useState('ASC')로 useState의 값을 변경하는 방식 이 두가지 중 어떤 방법이 더 선호되야하고 그 이유가 궁금했습니다
개발자
#react
#query-parameter
#usestate
답변 1
댓글 0
조회 191
2년 전 · 엄홍재 님의 새로운 답변
Css width height
제가 모니터로 만들때는 전체 화면 채울려고 width 100vw height 100vh로 해서 배경을 검은색으로하면 정확히 채워지고 요소들도 flex로 가운데정렬이 잘되는데 노트북으로 하면 스크롤바가 생기고 요소들도 약간 치우쳐지네요 ㅠ 해결방안이없을까요?
개발자
#css
#react
답변 1
댓글 0
조회 95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스프링 tablesorter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스프링에서 tablesorter 쓸 때 다른 페이지에 있는 것도 같이 정렬하게 할 수 있나요? 웹입니다!!
개발자
#spring
#tablesorter
#java
답변 1
댓글 0
조회 85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javascript 정렬 메서드는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나요?
코드 첨부했습니다. 숫자를 정렬하려면 sort 메서드 뒤에 해당 함수를 넣으라고 하는데 이게 어떻게 동작하는 건가요? 각각 두 개씩 매번 a-b를 계산하고 결과값으로 정렬하는 건가요? 이렇게 한다면 너무 비효율 적인거 아닌가요? 동작방식에 대해서 설명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개발자
#javascript
#sort
답변 2
댓글 0
조회 148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Accelerated heapsort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기술 관련 질문은 아니지만 너무도 답답하여 질문드립니다. 벡터로 maxheap이 주어졌을 때Accelerated heap를 이용해서 정렬하고 maxheap의 루트를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힙의 노드가 1이 남을 때까지 반복하려고 합니다. 이때 최종목적은 이 과정에서의 cost를 구하는 것인데 cost는 accelerated 과정에서vacant가 내려갈 때 즉 노드가 swap될 때 +1이 되고 bubbleupheap과정에서 leaf가 아닐 때 +1이 됩니다. 만약 vacant가 leaf노드 바로 위에 있다면 그리고 leaf노드보다 크다면 내려가지 않고 cost도 변함이 없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샘플 input중에 17 16 7 6 14 8 11 1 2 13 17 12 10 3 15 5 9 4 란 맥스힙이 주어졌는데 이에 대한 결과값이 cost=47 이 나옵니다. 정답에는 49라고 되어있는데 아무리 계산해봐도 47밖에 나오지 않습니다ㅠㅠㅠㅠ 왜 이런 걸까 정말 답답해서 올려봅니다
개발자
#c++
#heap
#algorithm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2
조회 247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다른 고객이 함께 본 상품, 추천시스템 구축 방법중 질문
MF 모델을 이용해서 "다른 고객이 본 상품" 상품리스트를 정렬할 때 어떤 기준으로 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현재 이벤트 데이터를 MF 모델에 학습완료한 상태입니다. 제가 생각한 방법은 해당 상품의 item_factor와 모든 유저의 user_factor를 곱해서 유사도 top 5유저를 뽑고, 해당 유저들에게 추천될 상품리스트를 합쳐서 내려주려고 했습니다. 다만, 이때 어떤 방식으로 다섯명에게 내려줄 상품리스트를 합쳐야 할지, 정렬해야 할지 고민이 되었습니다. 해결하셨던 방식이 있으시거나 다른 방법이 있는지 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개발자
#recsys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04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styled-component을 사용할 때 많은 props는 어떻게 해결하시나요?
안녕하세요,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궁금한 점이 있어 현직의 선배님들께 여쭤보고 싶어 질문을 남깁니다! 현재 React 프로젝트에서 styled-components를 CSS-in-JS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styled-components를 사용하면서 많아지는 props로 인해 JSX의 복잡도가 높아지는 것 같아 고민이 생겼습니다. 개인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FlexContainer라는 Flex 스타일(정렬방향, 간격)을 적용하는 컴포넌트입니다. const FlexContainer = styled.div<FlexContainerProps>` display: flex; flex-direction: ${({ col }) => (col ? 'column' : 'row')}; gap: ${({ gap }) => gap && `${gap}rem`}; `; <FlexContainer> 컴포넌트를 '내부 컨텐츠 정렬'을 위해 확장한 <FlexContainerAlign>입니다. const FlexContainerAlign = styled( FlexContainer )<FlexContainerAlignProps>` justify-content: ${({ justifyContent }) => justifyContent}; align-items: ${({ alignItems }) => alignItems}; `; <FlexContainerAlign>을 확장하여 추가적인 style을 적용할 수 있는 <FlexContainerStyle>입니다. const FlexContainerStyle = styled( FlexContainerAlign )<FlexContainerStyleProps>` background-color: ${({ background }) => background && theme.colors.grey}; ${({ styles }) => styles && { ...styles }}; `; FlexContainerStyle 컴포넌트를 사용했을 때 아래처럼 많은 props로 인해 복잡해집니다. <FlexContainerStyle justifyContent="space-between" alignItems="center" background gap={1} styles={{ padding: '1rem 1.5rem', borderRadius: '0.5rem', }}></FlexContainerStyle> 혹시 styled-components를 실무에서 사용하실 때 많은 props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팁이 있을까요?
개발자
#react
#styled-components
답변 3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1,101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객체배열 정렬하는 방법
carData: [ { "evcarno": “1”, "ev_main": false, }, { "evcarno": “2”, "ev_main": false, }, { "evcarno": “3”, "ev_main": true, }, { "evcarno": “4”, "ev_main": false, }, { "evcarno": “5”, "ev_main": false, } ] 위 객체 배열을 ev_main 이 true 인 값을 첫번째 순서로 가게끔 가공을 하고싶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결과 carData: [ { "evcarno": “3”, "ev_main": true, }, { "evcarno": “1”, "ev_main": false, }, { "evcarno": “2”, "ev_main": false, }, { "evcarno": “4”, "ev_main": false, }, { "evcarno": “5”, "ev_main": false, } ]
개발자
#자바스크립트
#객체배열
#정렬
#필터
답변 2
댓글 0
조회 117
2년 전 · 김병훈 님의 새로운 답변
flex, grid 스타일 정렬을 맞추기 위해서 empty component를 사용하는건 안티패턴인가요 ?
flex, grid 등을 사용해 나열할 때 자리만 차지하기 위한 empty 컴포넌트를 만들어 쓰시기도 하나요?? 안티패턴 같긴 한데... 편하다고 생각해서 가끔 쓰거든요 다른 분들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개발자
#css
#flex
#grid
답변 3
댓글 0
조회 140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Db 시각화 도구 추천 부탁드려요
회사에서 sql 쿼리로 차트, 표 같은 통계낼 때 어떤 툴 사용하시나요? 저희는 redash 사용중인데 단축키나 sql 정렬 이 잘 안되는 점, 그리고 쿼리 유지보수나 버전 관리 같은 문제로 다른 툴 알아보고 있는데 각자 어떤 툴 사용하시는지 궁금해서요!! 장단점 같은 것도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발자
#redash
#통계
#sql
#데이터
#시각화
답변 1
댓글 0
추천해요 1
조회 225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모바일에서 레이아웃을 풀스크린으로 채우고 싶은데 자꾸 스크롤 바가 생깁니다.
안녕하세요! 화면 정가운데에 로그인폼을 넣으려 하고 있는데요, flex container를 만들고 사이즈는 width: 100vw; height: 100vh를 줘서 꽉 차게 만들었고요, justify-items: center; align-items: center; 로 폼을 가운데 정렬해줬습니다. 개발자 도구에서 responsive 로 봤을 때 화면 사이즈에 상관 없이 항상 중앙에 오는 것을 확인 했는데요.. 실제 기기에 띄워 보니 스크롤 바가 생기고 있습니다 ㅠㅠ 스크롤 바가 왜 생기는지 알려주실 선생님 계실까요?
개발자
#css
답변 2
댓글 1
조회 1,021
2년 전 · 커리어리 AI 봇 님의 새로운 답변
Next.js 에서 _app.ts 파일 앞에 prefix 로 언더바가 붙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왜 next.js _app.ts 앞에는 언더바 prefix 가 붙는건가요 ? 언더바가 붙는경우 파일 정렬이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추측하는데 연관 있나요 ? 혹은 기술적인 혹은 암묵적인 네이밍 컨벤션 같은게 있는건가요 ?
개발자
#next.js
#react
답변 2
댓글 0
조회 382
2년 전 · 엄홍재 님의 답변 업데이트
mongo db 에서 정렬을 하는데 null을 가장 뒤로 놓고싶어요
[{a:2}, {a:3}, {a:1}, {a: null}] 의 형태로 데이터가 있는데 db.collectioin.sort({ a: 1 })로 정렬하면 null이 가장위에 나와요. 결과: [ {a:null}, {a:1}, {a:2}, {a: 3}] 이걸 [{a:1}, {a:2}, {a: 3}, {a:null}] 로 나오게 할 수 있나요?
개발자
#mongodb
#null
#sort
답변 1
댓글 1
조회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