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js개발 시 eslint 설정
vsc 내에 eslintrc.js 파일만 작성하면 되나요?? 아니면 따로 추가적으로 설정해야되는게있나요?
답변 1
한 시간 전 • 조회 5
기술
도커에 빌드했는데 엔진엑스 404 페이지가 뜹니다. 뭐가 문제일까요?
리액트랑 엔진엑스로 도커에 빌드했습니다. 근데 엔진엑스 404 페이지가 뜨네요 ㅠㅠ 도커 파일 설정은 잘 되어있어서 잘 나왔는데 리액트 코드에서 뭘 바꾸니까 문제가 발생한 것 같아요.. 인덱스 html 못찾는 문제 말고 또 뭐가 있나요..? 도저히 감이 안오네요 ㅠ
답변 1
한 시간 전 • 조회 11
기술
node 실행 후 서버 종료되면 연결중인 DB도 알아서 종료되나요?
안녕하세요, node 실행 후 ctrl + c 누르면 서버가 바로 종료되더라고요. 근데 이렇게 종료하면 연결 중인 DB도 알아서 연결 종료까지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process.once 'SIGNIT' 안에 접속 종료 되도록 세팅해 놓았어요.
답변 0
3시간 전 • 조회 13
기술
웹 쇼핑몰 만들다 궁금증 생겨 여쭤봅니다
쇼핑몰에 상품을 등록할 때 상품 데이터를 일일히 등록 해야하는건지 아니면 긁어 올 수 있는 데이터 api 같은게 따로 존재 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
4시간 전 • 조회 30
기술
스프링 레거시와 시큐리티 사용으로 소셜로그인 기능 질문드립니다.
현재 스프링 레거시로 개인 프로젝트 중인데 소셜 로그인을 서버쪽에서 구현하려니 죄다 spring boot로 구현한거 밖에 없더라구요 혹시 레거시와 시큐리티를 사용해서 소셜로그인 기능을 서버단에서 구현하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답변 0
12시간 전 • 조회 16
커리어
대학교 3학년 조언 구해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정보통신공학과에 재학중인 3학년 학생입니다. 예전 파이썬으로 게임을 만드는 경험을 했었는데, 내가 입력한대로 바로바로 게임 실행시키면서 변화를 확인하는게 너무 재밌더라고요. 그래서 그 후로 좀 고민하면서 웹개발 쪽으로 진로를 잡게 되었습니다. 아직 제대로 할 줄 아는 언어가 없어 이제 제대로 공부를 시작하려는데 고민이 됩니다. 1. 자바스크립트를 처음 언어로 시작해도 괜찮을까요? 2. 웹개발시장이 너무 과포화라고들 하셔서 나중에 자리가 없어 취업이 힘들거나 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도 있을까요? 어디서는 추후에 웹이 사라질거라고 하니 내가 과연 이 길을 가도 되는지 고민이 됩니다ㅜ 3. 괜찮은 회사는 코딩테스트를 본다고 하는데, 제가 알아본 결과 웹개발에서는 알고리즘 같은게 크게 필요없다고 들었습니다. 그래도 입사를 위해 코테용 언어로 알고리즘 연습 하는게 좋을까요? 4. 이제 3학년인데, 해놓은게 아무것도 없어서 너무 조급합니다. 3학년때 프론트에 대해 자세히 파고들고 4학년때는 프로젝트를 참여하고 싶은데, 지금 당장 도움이 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5. 현직 프론트엔드 개발 신입으로 들어간 제 친구는 기본적으로 프론트엔드 백엔드 둘 다 되어야한다고 하더라고요. 어느곳이든 다 그런가요?
답변 0
12시간 전 • 조회 21
커리어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vs 취업 , 둘중 고민
취업 회사가 어느정도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그냥 400명정도 있는 중소~중견급 으로 가정하고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에서 경험을 쌓고 취업을 하는게 좋을지,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가 취업시장에서 진짜 잘 알아주는지 등이 궁금합니다.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하실거 같은가요
답변 1
16시간 전 • 조회 103
커리어
운영 업무에서 개발로 커리어를 전환하신 분 계실까요?
안녕하세요 첫 직장이 SI 회사였고, 시중은행의 ITO 운영 업무를 2년 반동안 하였습니다. 작년 서비스 기업의 백엔드 개발자로 커리어를 전환하고 싶어 퇴사하였고, 반년동안 부트캠프와 개인공부들로 포트폴리오를 완성하였습니다. 하지만 백엔드 개발 포지션으로 신입 지원을 하자니 회사를 다닌 경력이 있어 경력 2년 미만 등의 조건들에 걸리게 되더라고요. 그렇다고 경력 지원을 하자니 필수역량에 있는 내용들이 제가 회사에서는 경험하지 못했던 내용이고.. 관련 업무경험 없이 포트폴리오 내용으로만 경력지원을 할 수 있나요? 아니면 신입으로 지원하는데 경력사항을 비우고 지원하나요? 궁금합니다..
답변 1
19시간 전 • 조회 35
커리어
백엔드 가려면 자바 스프링은 필수인가요?
웹 백엔드 생각하고 있는 3학년 대학생입니다. 노드와 몽고db로 게시판만들어보고 하면서 js가 저한테 맞다고 생각하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현실적으로 it분야에서 웹 분야가 1등이고 그 안에서 다시 자바가 압도적으로 1등으로 알고있습니다. 그 다음이 적은 점유율로 노드, 파이썬.. 그리고 노드로 모집하는 곳도 작은 스타트업이 아니면 기업, 프로젝트가 커지면 자바 스프링으로의 변환이 불가피 하다고 하더라구요. 물론 노드로만 취업할수 있는 기업도 있지만 스프링을 해두면 지원할 수 있는 곳이 노드에 비해 엄청 많아 지잖아요. 찾아보니 자바 스프링이 역사가 오래되고 노드는 계속 신기술이 나오고 스프링에 비해서 성숙도나 생태계는 낮기도 하고, 시니어들은 자바가 익숙하니까 자바가 점유율이 높은 거 같습니다. 노드를 하고싶어하면서 자바 스프링의 장점만 얘기하는 저도 이상하긴 한데.. 질문은 자바가 필수인가요? 라고하긴 했지만 현실을 피하고 싶어서, 자바가 하기 싫어서 '필수 아닙니다' 라는 답변을 듣고 싶어 하는 것일수도 있네요. 그래서 하기싫어도 올해 2학기 끝날때쯤부터 스프링을 공부할까 라는 생각도 있는데 스프링은 js에 비해 정이 안갑니다 이러고보니 답정너 질문이고, 질문의 의미가 없어지네요. 그냥 현직자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취업준비를 하는 입장에서 불안해서 쓰다보니 길게 써졌네요
답변 3
하루 전 • 조회 90
커리어
신입개발자 취직 의견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국비지원을 수료한 취준생입니다. 29살의 나이로 국비지원을 다니며 누가봐도 열심히는 아니지만 나름 열심히했습니다. 학원 외에도 스터디카페를 매일같이 다니며 프로젝트도 하고, 김영한님의 Spring 로드맵 가의를 결제하여 블로그정리 및 코딩테스트 준비 등 국비지원을 수료하고, 고졸인(학점은행제 전문학사 재학중)입장에서 취직을 어떠한 지역에 해야할지 궁금합니다. 커뮤니티에서 SI회사의 단점을 너무많이보기도했고, 저도 구직활동을 다니다보니, 이력서 / 포트폴리오 / Git 등 아무것도 안보고 합격하는경우도 있었고, 그래서 그러한곳은 합격을 하여도 입사하지않았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원하는것은 서울,경기지역의 자체 서비스 회사(백엔드)에 입사하고싶은데 실제로 코딩테스트 및 면접을 보는곳은 대다수 SI기업이었습니다. 실력적인면이나 학력적으로 모자라지만 제가욕심을 부리는건가싶어, 지방 기업면접을 봤을때는 기술면접을 거쳐 최종합격 연락을 받았는데.. 지방지역에 입사를 하여야할지, 조금더 노력하여 서울,경기지역에 입사를 하여야할지 선배님들의 고견을 듣고싶습니다... SI에 입사할시 추후에 이직이 어렵다고 이야기도 들었고, 지방근무시 서울이직이 어렵다고 이야기를 들었는데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학원강사는 Spring 환경설정으로 2주를 헤맬정도의 실력이라 Spring 부터 boot, jpa, git 등 독학을 하였습니다. 제가 아는 개발자분이 없어 너무혼란스럽네요..
답변 1
하루 전 • 조회 54
커리어
닫힌 질문 | 인스타 url이 작동 안 되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도와주실 수 있으신 분 있나요??
답변 1
하루 전 • 조회 55
커리어
국비교육수료후 벌써 3개월이 지났는데 다른 언어를 공부하고 싶어 공부를 시작하려는데 회사 지원할때 부정적으로 보일까요..?
국비교육 수료후 3개월이 지났는데 파이썬을 공부하다가 자바를 하고싶어서 다시 자바를 공부하려합니다. 이 공백기가 면접볼때 부정적으로 보일까요? 완전 취준생입니다!
답변 1
하루 전 • 조회 64
커리어
진로를 정하기 위해 이것저것 다 해보는게 맞나요?
2학년인 컴퓨터 전공생인데 진로를 아직 정하지 못했습니다. 다 해보고 맞는걸 고르려고 합니다. 그래서 임베디드 프로젝트부터 시작을 하게 됐는데 이게 맞나 싶습니다. 아직 백이며 프론트며 안드로이드까지 다 해보고 싶긴 한데 괜히 시간만 버리는게 아닌지 갑자기 현타가 너무 세게 왔습니다. 뭐가 맞을까요?ㅠㅠ
답변 2
하루 전 • 조회 73
기술
next.js 하고 express.js 로 웹앱 개발중인데
next.js 에서 express 쪽으로 request 날릴때 express 에서 csrf 검증을 통해서 요청을 검증하고 싶은데 csrf token 발급을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잘 안와서요 next.js 에서 express로 csrf token 발급 request를 날려서 발급받은 csrf token을 쿠키에 저장하는 방법이 좋을까요?
답변 0
2일 전 • 조회 61
기술
VMware station으로 mac os
VMWare 을 사용해서 mac os를 구동한 후 swift를 공부하려고하는데 지장없이 돌릴 수 있을까요?
답변 1
2일 전 • 조회 23
커리어
사수개발자 없는 스타트업
신입 개발자입니다 사수개발자가 없는 스타트업 어떻게생각하시나요...ㅠㅠ 저는 프론트엔드 개발자인데 이제막 입사하려는데 사수개발자가 없다고 하시네요ㅠㅠ 백엔드개발자만 있다고하시고..
답변 3
2일 전 • 조회 144
커리어
실무지식 쌓는 방법
안녕하세요 . 10년간 관리일만 하다보니 물경력으로 이제서라도 이직을 하고 싶어 대학원에 진학하고 하였습니다. 인공지능 쪽 전공 하고 있는데 대학원 졸업하고 관련분야로 이직을 하려고 하는데 어디서 도대체 실무경험을 할 수 있을까요? 답답한 마음에 글 올려봅니다.
답변 0
2일 전 • 조회 49
커리어
컴퓨터공학과 1학년 ROTC
이번에 컴퓨터공학과 1학년 신입생으로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1학년 마치고 군대를 갈 생각인데요. 저희 부모님께서는 ROTC에 가기를 희망하고 계시고 저는 육군이나 공군으로 빠르게 갔다오고 싶은데 ROTC에 가는 것이 좋은 선택일까요? 제 실력이 기초도 제대로 안 된 상태라서 선택을 어떻게 해야될 지 너무 고민이 됩니다.
답변 2 • Up 1
2일 전 • 조회 60
기술
테스트 시 DB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무엇과 비교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Flask로 프로젝트를 진행중인 대학생입니다. 개발한 api를 테스트 하기 위해 unittest 라이브러리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데 api 호출 결과가 DB에 올바르게 저장됐는지 확인하고 싶을때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지금까지는 api호출 이후, DB에 저장되는 결과로 예상되는 데이터를 하드코딩해서 테스트 시 api호출 후 DB에 저장된 값과 비교했습니다. 하지만 결과값이 하드코딩 돼있으니 데이터 구조가 변경되면 일일히 값을 변경해줘야 하는 문제 때문에 더 나은 방법이 있지 않을까? 하는 고민이 생겼습니다. +추가 api호출시 내부에서 랜덤한 값을 결정하는 코드의 경우 테스트 환경에서 멱등성을 보장하는 모듈을 추가로 구현해서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답변 0
2일 전 • 조회 41
커리어
백엔드개발자인가 대학원생인가! 진로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대학교 3학년이고, 정통 컴공과는 아니고 컴퓨터 지식과 관련되어 여러 학문을 배우는 융합학부생입니다. 코딩을 대학생 때 처음 접했고, 적성에 잘 맞아서 성적도 매우 잘 받았고 그래서 개발자가 되기로 정했습니다. 군대가기 전에는 그냥 학교 수업을 열심히 듣는 성실한 학생이었다가, 군대를 갔다온 후에는 제 진로에 대해 깊게 고민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여러 과목 중 '데이터베이스'과목에서 쿼리문짜는게 제일 재미있어서 백엔드 개발에 관심을 가져보기로 했고, 관련된 공부를 해오던 중이었습니다. 그런데, 저희학과가 정통 컴공이 아니라 융합학부인데, 추구하는 방향이 인간과컴퓨터간 상호작용(HCI)과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저는 그 중에서도 가상 콘텐츠와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배우고 있는데, 사실 이 쪽도 공부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근데 이쪽을 공부하고싶다해서 하게되면 백엔드 개발자로서 경력은 포기하게되고 대학원을 진학할 가능성이 큽니다. 또 다른 교수님은 챗GPT를 언급하면서 코드를 짜는 직업은 없어질 수도 있다고 하고,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의도를 갖고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일'을 하라고 하셨습니다. (그게 뭔지는 안알려주시고요..) 그래서 괜히 백엔드 개발자가 되는 것에 겁이 나더라고요. 제가 잘 되고 싶은 욕심이 많고 가족들도 저에게 하는 기대가 커서 이런 고민을 하고 있는데, 스스로 결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교수님께 연락드릴려고 했는데 대학원으로 회유할 것 같아서 아직 안 물어봤어요. 현실적으로 백엔드 개발자가 되는게 나을지 공부해보고싶은 가상 콘텐츠를 공부할지.. 전문가의 관점에서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 1 • Up 1
3일 전 • 조회 86
기술
ios 앱 개발 Swift
IOS 앱 개발을 하려고 하는 학생입니다 ios는 swift을 사용해야한다고 하는데 공부할때 볼만한 강의나 교제 있을까요?
답변 4
3일 전 • 조회 80
기술
IDE에서 타입 추론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첫번째 사진과 같이 타입 추론이 전혀 되지 않고 있어서 많은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 > 안에 타입을 넘겨줘도 항상 props 타입을 any로 추론하고 있습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두번째 사진 처럼 props에 직접 타입을 넣어줘야되네요ㅠㅠ 참고로.. CRA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면 정상적으로 타입을 추론해주고 있는데요… 현재 이 프로젝트에서만 타입 추론이 안되고 있습니다. 환경설정에 문제가 있는 것 같은데, 어떤 것들이 원인일지 키워드 조차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어떤 것들을 봐야할까요..?
답변 1
3일 전 • 조회 55
기술
클래스 이름 짓는게 너무 어려워요
작은 회사에서 백과 프론트를 전부 조금씩 만지는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백에서 클래스나 메소드명을 짓는건 그나마 괜찮지만 프론트에서 함수명이나 클래스, 아이이디 명을 짓는건 너무 머리아프네요... 선배님들은 뭔가 이름을 짓는 요령이나 패턴같은게 있으신가요??
답변 6 • Up 1
3일 전 • 조회 134
기술
CSS 질문이 있습니다!
화면을 좌우로 2분할해서 각각 엘레먼트를 하나씩 렌더링하려고 하는데요, 이 때 style에 float:left, float: right 속성을 각 엘레먼트에 넣어주면 되나요? 적용을 해도 2분할이 안되어서요 ㅠㅠ
답변 3
3일 전 • 조회 44
기술
SQL MONTH 함수가 문자열을 리턴하는 것 맞나요?
WHERE MONTH(DATE) = 3은 안되고 WHERE MONTH(DATE) = ""3"" 은 작동하던데.. 근데 또 WHERE YEAR(DATE) = 2022는 되더라고요..? 이게 대체 무슨 원리일까요....ㅠ
답변 2
3일 전 • 조회 38
기술
style.css와 tailwindcss 관련 질문!
style.css는 모든 부분에서 잘 적용되는데 tailwindcss에서 color이나 size 등의 요소는 적용이 안되더라구요.. 제 생각엔 우선순위 문제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tailwindcss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려면 class의 우선순위도 고려해야 하나요?
답변 2
3일 전 • 조회 32
기술
하이버네이트 오라클 시퀀스 사용전략에 문제가 생겼어요
자바,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에서 하이버네이트를 사용해서 작업하고 있습니다. 오라클 시퀀스를 테이블명_SEQ로 생성해놓고 엔티티 ID컬럼에 어노테이션을 붙였는데요 처음 두번까지는 1, 2로 ID 생성이 되다가 그 다음부터는 50단위로 생성이 됩니다. 52, 102, 152... 이런 식이에요. 이해가 깊지 않아 많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답변 1
3일 전 • 조회 49
기술
기존 프로젝트 리펙토링 관련
안녕하세요 현재 React와 Express로 웹 개발을 하고있는 학생입니다. 프로젝트를 하나 둘 진행 할 때마다 점점 배우는게 많은데요, 예를들어 첫번째 프로젝트에서는 JS를 사용하고 css를 파일 하나에 몰아 관리하며 커밋 메세지 컨밴션이나 브랜치 전략을 제 나름의 방식대로 정하고 했다고 한다면 두번째 프로젝트는 TS를 사용하게되고 Styled-Component를 통해서 스타일을 관리하게 되었고 커밋 메세지나 브랜치 전략 또한 조금더 일반적으로 바꾸어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prettier과 eslint도 적극적으로 사용했구요 두 프로젝트 모두 현재 배포되어 있는 상태이고 지속해서 개발하고 있는 상황일 때 첫 번째 프로젝트 전체를 리펙토링(ts를 적용하거나 styled-component 도입 등)하거나, 커밋 컨밴션과 브랜치 전략을 새로 구성하는것이 맞을까요? 아니면 별다른 리펙토링 과정 없이 원래 해왔던 대로 계속 진행해도 상관없을까요?
답변 1
3일 전 • 조회 59
커리어
23살, 진로에 대해 조언을 구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4년제 대학교에서 연계전공으로 소프트웨어를 배우고 있는 학생입니다. 현재 3학년 2학기입니다. 이제 곧 취업 준비를 해야할 시기여서 여러가지로 고민이 많습니다. 저는 서비스 기획을 하고 싶습니다. Ux디자인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하나로 딱 명확히 설명해드리기가 어려워서 풀어 설명해드리자면 제가 하고 싶은 일은 전반적인 기획을 하고 약간의 디자인 아이디어를 내는 일이에요 하지만 현실적으로 바로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건 불가능 할 것 같다고 판단하였고 같은 산업의 다른 직무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뒤 도전해보겠다고 판단했습니다. 1. 그래서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취직하여 경력을 쌓은 후 부서이동이나 이직을 노려보기로 정했는데 이게 맞는 방향일까요? 2. 개발 언어를 배워본적도 없고, 관련된 스펙도 전무한데 직접 만들어보고 싶은 웹 사이트와 아이디어는 있습니다. 혼자서 천천히 배우면서 개인 프로젝트를 만들어보고, 그외 자잘한 팀프로젝트를 2개정도 한 다음 3년안에 fe개발자로 취업하는게, 그리고 취업해서 괜찮은 연봉을 받는다는게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뒤늦게 하고 싶은 일을 찾은터라 소프트웨어 부전공을 시작한지 얼마 안되었습니다. 늦은것같다는 생각에 두렵기도 하고 이 분야에 지식이 부족해서 현실적인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답변 3 • Up 2
3일 전 • 조회 121
커리어
앱 개발자 이직 서류
React native 앱 개발자로 1년 조금 넘었는데 이직할 때 경력기술서랑 포트폴리오면 될까요?? 아니면 자소서도 필요한가요??
답변 3
3일 전 • 조회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