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질문

커리어

첫 취업이 개발자 커리어에 크게 중요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ERP 개발을 하고있는 4개월차 신입 개발자입니다. 진로를 고민하는데 너무 막연한 것 같아서 글을 남겨봅니다. 저는 JAVA 국비학원 출신입니다. 현재 ERP개발은 영림원 프로그램을 이용한 신규개발 + 델파이를 이용한 자사 ERP 유지보수 업무를 하고있습니다. 신입으로 업무 환경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이 되어 현재 회사에거 근무하며 개인적으로 정보처리기사 및 SQLD 공부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시험 이후에는 JAVA 언어를 이용한 사이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현재 직장의 위치, 복지, 동료들 모두 만족하며 다니고 있습니다만, 사용하는 툴이나 언어의 한계점(?)이 크게 느껴지다보니 진로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자격증 준비 및 혼자 공부하며 최소 1년 경력은 채워야할지, 지금의 경력이 물경력이 될 것 같으니 당장 다시 취준을 해야할지 고민됩니다.(지금 회사 이후의 이직때는 JAVA언어로 취업을 희망합니다) (30살 넘어서 늦은 나이에 새로운 직종으로 전환하다보니 이런 도전들에 조심스럽고 걱정이 많네요ㅠ) 개발자는 신입때의 첫 커리어가 중요한지의 선배님들의 의견과 현재 상황에서의 선택에 대한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1

2시간 전 • 조회 14

커리어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 vue로 커리어를 시작해도 괜찮을까요?

어쩌면 바보 같은 질문일 수 있지만 첫 회사를 vue를 사용하는 곳으로 시작해도 될지 걱정이 됩니다. 지금까지 react와 관련 라이브러리만 공부하고 프로젝트에서 사용해왔고, vue는 아예 사용해본 적이 없습니다. 제 개인적인 기호가 react이기도 합니다. 회사 내부 기술 스택이 react로 바뀔 일은 없어보입니다. 물론 기술에 휘둘리지 않는 개발자가 되어야겠지만 아직 신입으로서 react 하나를 더 깊이 파고 이걸로 실무를 경험해봐도 모자랄 판에 지금까지 사용해온 기술 스택이 아닌 다른 것으로 커리어를 시작했다가 이도저도 안되는건 아닐지, react가 주류인 현재 시장에서 vue로 시작했다가 이후 경력으로 지원하는데 불이익이 있지 않을지 고민입니다. 실제로 경력 공고 중 실무 경력 + 그 중 react 사용 경력을 함께 요구하는 것도 자주 보아서 더 걱정이 됩니다. 물론 회사에서 vue를 사용한다고 해도 react, nextjs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한다거나 계속 공부하면서 개인적으로 이어갈 의향입니다. 혹시 이와 같은 고민을 해본 적이 있으신 분, 실제로 어땠는지 경험해보신 분이 계실까요?

답변 1

6시간 전 • 조회 39

기술

코딩테스트 검색해도 되나요?

프로그래머스나 백준 문제를 자바스크립트로 풀어보고 있는중인데 레벨 0부터 하나씩 해나가는 중에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할지는 알겠는데 그 풀이에 사용할 함수같은걸 다 기억을 못해서 검색을 해보는편인데 이정도는 검색해도 괜찮을까요?? 다른분들은 하나도 검색 안하고 푸시는지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소수점 버릴 때나 올릴 때 Math.ceil, floor 등 또는 이 문제는 reduce 메소드를 사용하면 될 것 같은데 사용방법이 제대로 떠오르지 않을 때 검색을 합니다..

답변 1

8시간 전 • 조회 38

기술

next/image 컴포넌트를 사용할 때 왜 width, height를 필수 입력해야 하나요?

next.js Image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width, hegiht를 명시하거나 layout=fill 속성을 써야하는데 혹시 이유를 아시는분 있으신가요? 면접에서 질문을 받았는데 대답을 못했습니다.. 실무 하시는 분들의 답변이 궁금하네요. 미리 감사합니다...!

답변 1

8시간 전 • 조회 15

기술

React에서 console.log이외에 디버깅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React로 개발하면서 데이터가 잘 들어오는지, 컴포넌트가 잘 렌더링되는지를 보통 console.log로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요즘들어 디버깅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하고 싶은데 console.log를 사용하지 않고 디버깅을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선배님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답변 1 • Up 1

8시간 전 • 조회 24

기술

php 라라벨과 호환되는 프론트 프레임워크

php 라라벨로 백엔드 꾸릴건데 프론트쪽에서 사용하면 좋은 프레임워크가 뷰말고는 없나요?

답변 1

8시간 전 • 조회 11

기술

자바 codewords 문제중

문제 내용이 괄호가 정상적으로 작성되있으면 true 반환 아니면 false 이고 예제 "()" => true ")(()))" => false "(" => false "(())((()())())" => true 해답 : parenStr.chars().reduce(0, (s, c) -> s < 0 ? s : c == '(' ? ++s : --s) == 0; 인자값 parenStr은 왜 chars()를한거고 reduce개념을 읽어도 이해가 안가요.. 삼항연산자는 알겠는데 스트림의 원소들을 하나씩 소모하라는데 의미 파악이 안됩니다.

답변 2 • Up 1

8시간 전 • 조회 21

기술

깃,깃헙 사용법이 정확히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만들어져있는 메인브랜치 외에 test1, test2, test3이라는 브랜치들을 각각 만들어서 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저에게 머지권한은 없습니다. test1 브랜치에서 작업하던 a파일을 깃헙에 push 시켜주고 main브랜치로 이동한 후 test2브랜치를 새로 만들어서 test2 브랜치로 이동하면 test1 브랜치에서 작업하던 파일들이 다 없어지더라구요. 브랜치가 다르니 없어지는건 이해를 했습니다. 이상황에서 아직 test1 브랜치가 머지가 되지 않아서 main브랜치로 pull을 못하는 상황이라고 가정을 하고, test2 브랜치에서 b파일을 작업하려면 a파일이 무조건 필요한 상황이라고 했을시에 a파일을 복사해서 붙여넣는 방법밖에 없나요??

답변 1

13시간 전 • 조회 54

기술

Javascript에도 GC라는 개념이 있나요?

요즘 자바스크립트를 새롭게 공부하고 있는데, GC라는 개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GC가 있다고 하는 것 같기도 하고, 있는데 엔진마다 다르다고 하는 것 같기도 하고 영어로 된 여러 글을 읽다보니까 좀 지치기도하고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궁금해서 여기다가 질문남깁니다. 1. 자바 스크립트에 GC가 있나요? 2. GC가 있으면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나요? 3.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따라 GC 동작 방식이 다른가요?

답변 1 • Up 1

16시간 전 • 조회 57

커리어

국비 신입개발자 이직이 맞을까요??

22년 10월 국비지원 학원을 수료하고 국비수료한 친구가 2년 넘게 잘다니고 있다는 회사를 소개받아 입사하게 됐습니다. 스프링은 쓰지 않는 회사였지만 아무것도 모르던 당시 솔루션회사? 금융? 친구도 2년넘게 잘다니고 있다는 얘기를 듣고 부푼 마음으로 입사했습니다. 회사는 금융쪽 솔루션 회사로 현재 5개월째 근무중입니다. 초반 3개월은 회사에서 db과제, 사내프레임 워크를 사용해서 jsp로 화면단 만드는 작업을했습니다. 이후 고객사로 투입되게 됐는데. 아는것도 없이 일단 고객사가 요청해서 하는척이라도 해야하니 자리 채우러 나간적이 많습니다. 업무요청이 들어와도 jsp 화면 살짝 수정해주고, 쿼리 수정해주는게 전부였습니다. java를 이용해 로직을짜본다던지 하는 업무는 못해봤습니다. (선배들에게 물어보니 이미 윗상사분들이 다 구축을 해놔서 업무하면서 자바는 만질일이 거의 없다고 하더라구요) 쿼리가 중요한곳이라고 들었지만 설마 자바를 아얘 못만질줄은 몰랐습니다. 지금도 고객사 나와서 구글링으로 개인공부나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뭐가 됐던 신입으로 1년은 버텨야 된다는 말을 듣고 일단 다니곤 있었는데, 이러다 속히 말하는 물경력이 되는게 아닌가 싶네요.. java로 직접 로직을 짜서 개발을 하는걸 너무 재밌게해서 취업을 하게 되면 이런 업무를 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했는데, 원래 이런걸까요..? 이직을 마음먹어도 비전공에, 5개월차 신입이라 잘못된 회사로 들어가는게 아닐지 걱정됩니다. 직접 코딩을 해볼 수 있는 회사를 가기 위해선 si를 가는게 맞을까요? 솔루션 회사에 다니면서 문득 생각이 든건데, 이미 구축된 솔루션에 신입이 어떤걸 개발 할 수 있을까? 고객사가서 솔루션 설치해주고 유지보수만 하고 다닌게 아닐지? 생각이 들었습니다.

답변 2

16시간 전 • 조회 61

커리어

대학원은 항상 나쁜 선택지일까요?

안녕하세요 백엔드 엔지니어링에 굉장히 관심이 많은 막학기 전공자 대학생입니다. 요즘 들어, 대학원쪽 생각이 많이 들고 있는데 백엔드 엔지니어 테크에서 대학원 진학률이 굉장히 낮아서 현업자분들 생각은 어떤가 궁금해서 글 남겨봅니다. 리서쳐 쪽으로 갈 생각도 없고 엔지니어링 쪽으로 직군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이유는, 전체적인 CS의 깊이를 한단계 더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인데요. OS/DB 등 CS에서의 주요 프로그램의 작동 원리는 책을 통해서 전체적으로 간략하게 알 수 있었으나 조금 더 세부적으로 알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드네요. 또 학부에서 열리지 않은 CS과목들도 들어보고 싶구요.. 이러한 생각이 자꾸 들어, CS대학원에서 석사를 고민하고 있는데 이러한 생각이 현실적인지 아니면 망상에 가까운 생각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3

17시간 전 • 조회 60

기술

ios에서 웹 푸시알림 구현 관련 질문입니다!

이번 ios 16.4 업데이트가 되면서 웹 푸시알림이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이것을 구현해보고자 하였지만 예제 코드나 최신 내용의 글을 발견하지 못하여 갈피를 못잡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어떠한 자료를 참고하면 좋은지 알고싶습니다.

답변 1

17시간 전 • 조회 33

커리어

대학교 1학년.. 전공자 타이틀이 중요할까요?

현재 1학년입니다. 개발을 시작하고 큰 팀 프로젝트에 운좋게 합류하게 되어 개발경험을 쌓게되어, 간단한 앱은 혼자 API 만들고 AWS나 데탑 Linux에 업로드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의 전공 타이틀이 CS가 때문에 중요하다고 말하지만, 현재 4학년/졸업생분들과 CS 스터디를 진행하며 CS도 반년정도 하면 학사 수준은 채울 수 있겠구나라고 느꼈습니다.(제가 지방대라 그럴수도 있습니다.) 운좋게 좋은 경험들을 많이 하게되었는게 제 케이스라면 그냥 군대 대신 병특 3년을 가고 취창업을 하는게 나을까요?

답변 1 • Up 2

하루 전 • 조회 40

커리어

NestJS로는 좋은 개발자가 될 수 없을까요?

NestJS 하시는 학생분들은 팀프로젝트 경험을 어떤걸로 얻으시나요? 부캠이나 동아리들은 대부분 Spring 위주여서 면접에서 "Spring 할줄 모르는데 진행이 힘들진 않겠냐"라고 질문왔다가 답 잘 못해서 떨어졌어서 NestJS 개발자분들은 스펙을 어떻게 준비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당시에 제 역량이 많이 부족하기도 했습니다. 부족함을 깨닫고 CS 스터디를 진행하여 기본기를 다지고 있고, 기술 블로그를 운영하며 고민 내용을 가시화 해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냥 기본기를 다지면서 NestJS를 이어나가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Spring을 배워서 기술 스택을 주가지로 가져나가는게 좋을까요? 목표는 현업 개발 경험을 쌓고 1인 창업입니다.

답변 1 • Up 1

하루 전 • 조회 47

커리어

제가 프론트엔드 취준을 잘하고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개발자 준비하는 취준생입니다. 목표는 it 서비스 기업, 빅테크 기업입니다. 쉽게 말해 네카라쿠배입니다. 제가 현재 잘 준비하고있는지 객관적으로 궁금한데, 제 주위에 현업에서 일하시는 분들이 없어서 여기에 작성합니다. 1. 코딩테스트 현재 node.js로 준비 중입니다. 불편한 점이 없진 않은데 바꾸기엔 너무 익숙해져서 쭉 가고있습니다. 수준으로 백준 기준으로 골드 3-4는 기본적으로 풀고 그 위는 좀 고민을 많이 해봐야 풀리는 정도입니다. 2. 프로젝트 제대로 된 프로젝트 4개 해봤습니다. 전부 프론트엔드 및 ui&ux 디자인을 맡았습니다. 협업은 github으로 진행했습니다. 심도있게 사용하진 않았고 pullrequest, 코드 리뷰, merge, git branch, git flow 정도로 기본적인 것만 했습니다. 2.1. 교통 관련 프로젝트: 학부 생들의 교통편 관련 웹 서비스 였습니다. 두달 정도 운영했습니다. 2.2. 헬스 관련 프로젝트: 해커톤으로 준비했던 프로젝트인데 6-7 페이지 정도 되는 웹 서비스였습니다. 실제로 운영하진 않았습니다. 2.3. 전기차 관련 프로젝트: 해커톤에 나갈 용도로 전기차 충전 관련 웹 서비스를 개발했습니다. 실제로 운영하진 않았습니다. 2.4. 동아리 웹사이트 프로젝트 : 졸업 후 몸담았던 동아리 웹페이지 제작을 했습니다. 저는 아니고 후배들이 이어서 운영중입니다. 3. 수상 3.1. 교내 웹 개발 교육 봉사 활동으로 인한 최우수상 3.2. 전국 대회 해커톤 우수상 4. cs 지식 DB, 네트워크, 운영체제 같은 기본적인 cs 지식은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알아도 학부 때 배운 만큼 아니면 그 이하입니다. 5. 기술 스택 html, css, java, javascript, react 위 5개가 자신있게 사용할 수 있는 정도 입니다. 다만 리액트는 동작원리나 유용한 훅에 대한 공부가 필요해서 최근에 시작했습니다. 6. 계획 우선 알고리즘은 감을 잃지 않기 위해 매일매일 꾸준히 풀고있습니다. 지금 하고 있는 리액트에 대한 공부는 한달 반 정도 내에 끝낼 예정이고, 이후에 타입스크립트, 여유가 되면 Next.js까지 배워볼 생각입니다. 그리고 계획된 일정으로 취직을 하지 않는다면 제대로 된 프로젝트를 하나 더 할 것 같습니다. 7. 궁금한 점 제가 제대로 하고 있는 건지, 트렌드를 잘 따라가고 있는지, 아니라면 혹은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매워도 되고 차가워도 됩니다. 채찍도 좋아합니다. 솔직하고 객관적인 충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3 • Down 1

하루 전 • 조회 106

커리어

CS 공부 vs 라이브러리 공부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개발자 준비 중인 취준생입니다. 최근에 CS 스터디를 하고있는데요. 수준은 학부 때 배운 내용에서 궁금한건 더 찾아보고 토론하는 정도 입니다. 내용은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 등등 하고있습니다. 제 고민은 cs 스터디를 계속 이어갈지, 아니면 라이브러리, 즉 리액트에 대한 공부를 더 깊게 할지입니다. 저는 리액트로 제대로 된 프로젝트 3개 정도 진행해본 상황인데, 독학으로 서적과 문서 찾아가면서 주워들어 배운 느낌이라 제대로 공부해볼까 해서 이런 고민이 드네요. 제 목표가 it 서비스 기업, 대표적으로 네이버,, 인데 제가 듣기론 빅테크 기업에서는 면접에서 cs 보단 라이브러리 숙련도에 대해 물어본다고 알고 있습니다. 원리나 왜 사용했는지 같은..? 근데 또 개발자라고 하면 cs는 기본이라는 생각이 깔려있어서,, 고민이 되네요. 조언과 충고 부탁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 2

하루 전 • 조회 63

기술

어떻게 데이터베이스 설계 능력을 기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백엔드 준비중인 학생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설게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방법으로 뭐가 있을까요? Sqld를 따기는 했는데 프로젝트에서 데이터베이스 설계만드는 것은 아직 어렵습니다. 쇼핑몰 구현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카트, 카트아이템, 멤버 데이터구조가 잘 안잡히니 스프링 코드 짜는 게 너무 어렵더라고요. 같은 팀원이 저에게 작성한 db 구조가 복잡하다고 들어서 필요성도 느꼈고요ㅠㅠ

답변 2

하루 전 • 조회 52

커리어

신입 AI 개발자 취준 포트폴리오는 어느수준이 되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신입 AI 개발자 취준 포트폴리오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석/박사 과정을 거치지 않고 신입 ai 개발자를 목표로 취준을 하게되면 굉장히 어렵다는 말을 주변에서 자주 듣고 저 역시 같은 케이스에 해당합니다. 그렇다보니 포트폴리오 준비에 굉장히 막막함을 느끼는데요, 이미 해당 직군으로 재직하고 계신 개발자분들이나 혹은 비슷한 케이스로 취업에 성공하신분들께 조언을 좀 구하고 싶습니다. 저는 NLP를 다루는 AI 개발자로 방향을 잡았고 AI쪽에 대한 공부를 독학으로 해왔으며 현재는 포트폴리오 준비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제가 구하고자 하는 조언은 아래와 같습니다! - 회사에서 요구하는 신입 ai 개발자의 최소 역량이 궁금합니다. ( 일반적으로 각 회사마다 job description이 다르고 이에 맞춰 준비하는것은 알고있습니다만, 아무래도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최소한의 수준이 있지 않을까 해서 여쭤봅니다) - 포트폴리오에서 어필하면 좋은 점이 있을까요? ( 저의 얕은 안목으로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보고 배운점,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 속에서 ~~~한 부분에 문제가 발생했고, 이를 ~~~하게 해결하였다"와 같은 내용이 기술되면 좋다고 들었습니다. 방금 말씀드린 내용을 포함해서 혹시나 더 강조하면 좋을 내용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최대한 구체적으로 쓰려고 했는데 잘 전달될지 모르겠네요. 현업 개발자분들의 솔직하고 현실적인 피드백 부탁드리겠습니다 :D 감사합니다.

답변 1 • Up 1

하루 전 • 조회 49

커리어

개발자로 취업 고민중입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26살 개발자 공부를 고민하고있는 남자 직장인입니다. 저는 4년제 경기권 대학교 졸업 하였고 비전공(체육전공)입니다. 졸업은 올해 2월에 했고 원래는 웹퍼블리셔로 취업을 하려고 학원을 다니고 있던와중 아버지 지인분이 저를 좋게봐주셔서 3월부터 근무를 하고있습니다. (웹쪽 근무는 아닙니다) 원래 개발자가 되고싶단 생각은 하고있었습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개발자들과 마주하는 일이 많다보니 더욱 개발자 공부를 하고싶다는 생각이 많이 들더라구요. 사실 지금 회사에서는 많이 배울게 없는것같습니다 반복업무 아닌 반복업무라.. 개발자 준비하는 선임분께서도 7-8월까지만 다니고 개발자 공부를 하라고 조언해주시더라구요 제가 웹 코딩을 배울때는 재미도 있었고 나름 잘 한다고 느꼈습니다. 근데 개발은 또 다른영역이라 고민이 많이되고 현실적인 조언도 많이 듣고싶어 글 남기게됐습니다. 질문 몇가지좀 드리겠습니다 1. 제가 수학을 못합니다. 개발자는 수학 잘해야된다는 말이 많던데 영향이 클까요? 웹 코딩때도 수학이 중요하다 그랬는데 딱히 그런건 못느꼈습니다. 많이 필요하지도 않더라구요 2. 배우게된다면 국비지원 학원이 아닌 사비로 다닐생각인데 두개 차이가 클까요? 3. 요즘 개발자에 관심있는 사람들도 많고 학원도 많은데 학원 수료하고 나서 일자리는 적은데 사람은 많고 전공자와 비교했을때는 부족한게 맞으니 이런점이 걱정입니다 .. 두서없이 막 적은것 같은데 다 읽어주신분이 계시다면 감사합니다. 제 질문에 대한 답변이 아닌 그냥 아무런 조언이라고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2

하루 전 • 조회 98

기술

정규표현식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ㅠ

리눅스 sed 정규표현식인데요 ㅠ A 파일과 B파일 C파일이 있을때, 공통경로를 추출하는 내용인데요 Common_path=$({echo $a파일경로; echo b파일 경로; echo c파일경로;} | sed -e 'N;s/^\(.*\).*\n\1.*$/\1\n\1/;D')하면 추출되는데 도저히 뜯어봐도 이해가 안됩니다 ㅠ 역참조로 모든 문자에 대해 선언하고 나서 (.*)니까... 바로 \1로 참조하면 경로를 다 가져오는거 아닌가요?? 물어볼데가 여기밖에 없네요 ㅠ

답변 1

하루 전 • 조회 40

기술

mongo db aggregation 평균구하기

데이터가 어쩌다보니 string형태로 들어가 있네요.. 데이터를 숫자로 넣으면 가장 좋겠지만 일단은 그냥 사용하려고 합니다 이때 string 형태의 데이터를 숫자로 변환해서 그룹별로 평균을 구할수 있을까요? 일단 저는 아래 코드처럼 사용했습니다. 전부 null이 나오네요

답변 2

하루 전 • 조회 22

기술

node 서버가 점점 느려지는 것 같은데 어떻게 개선해보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node.js 서버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게 처음에는 단순한 CRUD 서버였는데 요즘 데이터 프로세싱 같은 것도 얹어지고 있어서 느려지고 있다는 느낌을 많이 받아서요. 예상하기로는 node 자체가 기본적으로 event loop 기반에 단일 스레드로 동작하는 구조여서 좀 오래 걸리는 데이터 프로세싱 작업을 하게되면 나머지 요청들을 블락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혹시 이런 컴퓨팅 파워가 어느정도 필요한 node 서버는 어떻게 관리하는게 좋을까요?

답변 2

하루 전 • 조회 51

기술

headlessui 의 listbox 써보신 분 계신가요?

공식문서 - https://headlessui.com/react/listbox listbox를 사용하는데 select 항목 안에도 button을 만들어서 option을 선택할 때가 아닌 button을 클릭할 때 select를 적용하고 싶은데요. button을 누르면 select항목을 닫고 싶습니다. 어떻게 해야 닫을 수 있나요? 지금은 버튼눌러도 아무 동작을 안합니다 ㅠ

답변 2

하루 전 • 조회 32

커리어

백엔드 경력 조언 얻고자 올립니다.

안녕하세요 개발자로 일 한지는 만 3년 되는데 이직 경력이 너무 많고 고민 되어서 한번 올려 봅니다. 경력으로 넣어야 하나 중고신입으로 넣어야 하나 고민입니다. 20.02 ~ 21.06 (중소기업-it) 1년 5개월 영상처리랑 kafka 써서 데이터 엔지니어링 업무좀 담당했는데 이 업무 하는데 사수도 없고, JAVA백엔드로 업무 전환 하고 싶어서 이직했습니다. 21.07 ~ 22.09 (중견 제조업) 1년3개월 연봉은 이전보다 많이 올라서 연봉은 만족 했으나 qt랑 스프링 사용했는데 이직하게 된 이유는 기술적인 걱정이랑 프로젝트를 나가도 기존에 있던 코드를 복붙 하다시피 만들고 그리고 연차가 점점 시간 갈 수록 cs업무가 나한테와서 개발 하는 시간이 점점 없어져서 이러면 안될 것 같아 이직 했습니다.. 722.09 ~ 23.03 (스타트업) 7개월 마지막으로는 기술이랑 JPA , 스프링 부트 쓰면서 기술이랑 연봉 둘 다 만족했는데.. 임금체불로 좀 버티다가 이건 아닌거 같아서 퇴사하고 지금 이직 준비중 상황이래서 또 퇴사하고 이직준비 하게 되었는데.. 백엔드 2-3년차 경력으로 넣어도 되는지가 궁금합니다 경력기술서 작성하고 서류제출 하는데 쉽지가 않아 중고 신입으로 가야 하나 고민이네요 추가적으로 이직 준비는 포토폴리오(커머스)개인 + 코테 준비하면서 하고 있긴 한데 추가적으로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2

하루 전 • 조회 79

기술

파이썬이나 javascript는 왜 싱글 스레드를 지향하나요?

개발 언어에 대해서 공부를 하다보면, 종종 파이썬과 javascript가 싱글 스레드라고 많이 접하는 것 같습니다. 현대 컴퓨터의 CPU 성능을 고려했을때, 왜 굳이 싱글 스레드로 프로그래밍을 해야하는건가요? 별다른 이유가 있나요?

답변 2

하루 전 • 조회 62

기술

바닐라JS 로 만든 기존 프로젝트를 리엑트로 기술 변경 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취업 희망하고 있는 취준생입니다. 개인 프로젝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긴 궁금증인데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기존에 바닐라 JS로 만든 프로젝트를 조금씩 키우다가 바닐라로는 버거워서 리엑트로 기술을 바꿔서 다시 만들고 싶습니다. 이럴 경우 같은 프로젝트니까 같은 파일 내에서..? 음 그러니까 같은 레포지토리를 사용하면서 변경을 시키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새로운 프로젝트로 생성 후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만들어서 제작해나가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정리> 1. HTML 등의 파일이 있는 기존 프로젝트 내에 리엑트를 설치한다 VS 새로운 리엑트 프로젝트 파일을 만든다. 2. 깃허브의 레포지토리를 기존에 사용하던 걸 그대로 쓴다 VS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만든다. 어떤 방식이 더 괜찮은 방식일까요?? 더불어 현업에서는 기술 스택 변경 시 어떻게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2

하루 전 • 조회 45

기술

Docker 와 jupyter 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최근에 필요에 의해서 Docker 와 jupyter 를 공부중입니다. 웹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웹에 jupyter를 iframe 등으로 올려서 서비스 제공과 개발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목표로 개발하고자 하는데 기반이 거의 없는 지식을 배우려니 조금 어려운 부분이 있어서 도움을 요청하고자 합니다. 도커 컨테이너에 jupyter 와 프론트 / 백을 올리려고 하는데 jupyter notebook 같은 경우에는 단일 사용자만 지원을 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jupyterhub을 고려중이었는데 도커를 공부하다보니 사용자별로 컨테이너를 따로 제공할 수 있을텐데 그러면 노트북의 단일 사용자 이슈도 해결이 되는게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드는데 실제로는 어떤가요? 제가 관련 지식이 부족해 표현이 이상하거나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1

하루 전 • 조회 39

커리어

닫힌 질문 | 지금 개발자 포화상태인가요??

학교에서 수업을 듣다가 지금 개발자는 포화상태라고 하는데 진짜인가요??

답변 1

2일 전 • 조회 56

커리어

개발공부한지 9개월정도 된 학생입니다

첫 입문 언어는 Python이었구 부트캠프 수강 후 교육과정의 일원으로 인턴을 하고있습니다. 취업 목표는 서울에 어디든 백엔드 개발자로 취업하고싶어요..! 현재 그나마 잘 다룰 수 있는 기술 및 언어가 몇 되지 않아 고민이 많습니다. 그나마 잘 다룰 수 있는 : selenium, flask, python, pandas 미숙하지만 써본 : JavaScript, React, FastAPI, Django, Tensorflow, scikit-learn, Keras, Java, TypeScript 원래는 4월에 인턴이 종료된다면 교육을 하나 더 들을 생각이었습니다 하지만 혹시나 현재 인턴 중인 일을 할 수 있게 된다면 일을 하는게 나을까요..? 차후에 취업할 때 “교육과정 두 개 수료 이력 vs 교육과정 하나 수료 & 일을 했던 이력” 둘 중 뭐가 나을지 고민이 됩니다 현재 있는 회사 특성상 업무의 강도가 높지 않아 원하는 공부를 하면서 실제 회사 DB나 서버도 건드려볼 수 있을거같아서 고민이 많습니다 이전에 들었던 부트캠프의 경우 AI부트캠프라 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 딥러닝의 간단한 모델링 정도만 해본 정도입니다. 근데 머신러닝이나 딥러닝은 또 제 적성에 딱히 맞지는 않는거 같더라구요 근데 요새 또 뜨는 분야다 보니 포기하기도 고민이 되고.. 이래저래 너무 혼란한 요즘입니다 원하는 백엔드 직무로 가야할지 AI를 추가적으로 공부를 하는게 맞는지 백엔드 교육과정을 하나 더 들어야 할지 기회가 된다면 남아서 일을 하는게 맞는지.. 이래저래 너무 횡설수설이라 요약 남기고 가겠습니다 ! 1. 인턴종료 후 일을 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일을 하는게 낫다 vs 교육과정을 하나 더 듣는게 낫다 2. AI관련 분야를 계속 파는게 맞다 vs 흥미가 있던 백엔드를 하는게 맞다

답변 3

2일 전 • 조회 138

커리어

어느쪽으로 갈지 고민중인 상태에서의 취업?

현재 23살 3년제 졸업한 전공생입니다!! 어느 분야로 취업을 할 지 제대로 된 선택이 되지않은 상태에서 회사에 취직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저는 그나마 웹/앱 개발 쪽으로 관심이 더 많은 편인데 기회가 온 회사는 시스템소프트웨어개발 쪽입니다! 어느 분야로 갈 지 선택이 되지않은 상황에서 그냥 기회가 온 회사를 가는것이 좋을까요? 다양한 경험을 하는것이 좋은지 아니면 웹/앱 개발쪽으로라도 생각을 하고 있었으니 포기하고 그쪽으로 취준을 하는것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회사를 다니게되면 실무경험도 생기고 경력도 생기는거라 얻을 수 있는 이익은 많다고 생각하지만 너무 섣부르게 결정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되서 올려봅니다 ˃̣̣̣̣̣̣︿˂̣̣̣̣̣̣

답변 3

2일 전 • 조회 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