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쩜삼 성공 스토리 분석, 막막한 그로스 전략! 뭘보고 벤치마킹할까?

런칭 직후 서비스들의 그로스 성장 전략을 분석하여 적용하고자 합니다. 3년간 진행한 제품 전략 및 퍼포마, 삼쩜삼 제품이 푼 문제와 도출된 기능, 전달된 핵심 가치가 흥미롭습니다. 삼쩜삼이 쓰는 환급, 소득세 대중적이지 않은 워딩을 어떻게 풀어냈을까요?


[타임라인별 제품 전략]


  • 자비스앤빌런즈의 핵심 가치 명확히 전달

    1. 홈택스 회원 간편인증만으로 종합소득세 예상 환급액을 알 수 있는 편리성

    2. 유저의 문제 해결

      1. 홈택스로 셀프신고하기엔 세무 지식이 충분하지 않음

      2. 세무사를 통해 대리신고 하기엔 수수료의 부담감을 느낌

        -> 자동신고 기능 → ‘간편, 안전, 최대 환급’ 이라는 가치

  • 퍼포마

  • 시의적절한 마케팅

종합소득세 환급을 위해 n잡러들을 위한 5월 타깃
타깃한 고객이 실제로 제품을 표현하는 문구 : LMF
  • 서비스 대중성 확보용

TV CF & 오프라인 캠페인

→ 결과

💡 가입수 95만명 → 1000만명

💡 고객 커버리지 증가 : 중장년 가입자 수 전년대비 142.2% (청년 → 중장년)


[성과 지표]

  • (추정) 시장 점유율

  • 핵심 기능 수행한 유저수

    • 전년 대비 종합소득세 정기신고를 완료한 사람 중 삼쩜삼의 고객 비중

      • ex) 5.7%P 증가

    • 기간 후 신고 액션 진행한 유저수

  • 가입 유저 수

  • 유저 연령대 커버리지

  • 유저 1명당 환급 금액 (12.만원 → 18만원)


[Key takeaway]

사이드 플젝에서 다시 재점검할 포인트를 정리해야겠군요?


  1. 고객이 실제로 표현하는 문구 수집

  2. 서비스가 주는 가치 = 서비스명 공식화 -> 각인효과

  3. 개발하고자 하는 기능의 핵심 가치가 뚜렷한지 재점검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3월 11일 오후 1:05

조회 236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