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잡스가 사랑한 의사결정 구조 : DRI

  • 적극적인 오너십을 바탕으로 일하며 결과를 내주길 바람

    • DRI : Directly Responsible Individual. 애플이 개념화하기 시작

    • 잡스가 책임자를 두기 위해 DRI 개념을 사용

    • 전략을 구상한 팀원 vs 의사결정을 해준 팀장. 누구 잘못인가? => 상위 직급이 아니라 제일 잘 아는 사람이 해야지!

  • DRI의 3가지 변수 : 결정, 실행, 책임

  • DRI의 핵심 =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과 = 실행하는 사람과 = 그 실행의 결과에 대해 책임을 맡아야 하는 사람'

    • DRI에서 “책임”의 영역은 “탓” 이 아니라 “배움”의 주체를 정하는 관점

    • 가설을 검증하는 구조로 가는 의사결정이라 특릴 확률이 더 높음

    • 책임은 뒤집어 쓰는 것이 아니라 배움의 주체가 책임의 주체

    • 한 번 배우고 끝나는 식은 안됨

  • DRI를 도입하기 어려운 경우

    • 문화로 자리 잡기 쉽지 않음

    • 다음과 같은 일이 발생

      • “당신이 ‘우리 조직은 DRI가 실무자에게 있다’고 했으면서 왜 나는 당신을 설득하는 데에 더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하나요? 답정너 아닙니까?”

    • 이런 경우

      • 회사가 팀원에게 아직 DRI를 줄 정도로 신뢰하지 못했는데,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 고객의 니즈나 논리적 가설을 통해 의사 결정을 전하는게 아닌 경험이나 주관으로 일을 끌고 가는 경우

  • 직관을 통핸 의사결정. 이럴 때 와일드 카드를 사용해서 가끔은 꺾을 수 있음. 그러나 이걸 당연하게 생각하지 말고 충분히 미안해야 함

  • DRI 프레임워크로 일할 때 경계하는 것은 조직의 의사소통을 수직적으로 만드는 것. 결정은 수직이 맞음. 그러나 소통도 수직이면 말을 꺼내지 않음

    • 진정 위대한 조직은, 의사는 수평적으로 하고 결정은 수직적으로 하는 구조에서 탄생


스티브 잡스가 사랑한 의사결정 구조 : DRI

내 '약점'을 물어 뜯을 때_면접에서 통하는 커뮤니케이션스킬

스티브 잡스가 사랑한 의사결정 구조 : DRI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3월 25일 오전 1:21

 • 

저장 74조회 4,511

댓글 1

  • 국가의 원칙 중 하나인 삼권분립(입법부, 행정부, 사법부를 나눔)과는 다르게 모든 권한을 한 개인에게 집중하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나부터 의사결정, 실행, 책임의 순서로 반복해서 일을 하면 회사에도 주인의식 문화를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함께 읽은 게시물

< 습관의 인간을 깨우는 건 상상의 인간이다 >

1

... 더 보기

팀장으로 승진하는 사람들이 현실적으로 꼭 알아야 하는 6가지

1. 성공을 하기 위해 꼭 관리자가 되어야 하는 건 아닙니다 : 많은 사람들이 (직장 생활에서) 더 많은 돈을 벌고, 지위도 올라는 길은 승진해서 관리자가 되는 것, 하나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비슷한 연봉을 받고, 비슷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또 그러면서도 전반적

... 더 보기

오늘은 회사 굿즈 디자이너로 업무 완.

조회 509


👋 AI야, UX라이팅 알잘딱 고쳐줘

스타트업에서 UX라이터 없이 제품을 만드는 건 드문 일이 아닌데요. 하지만 그렇다고 사용자 친화적인 언어가 흔들려서는 안됩니다. 저는 이 고민에서 출발해 Claude와 Figma 플러그인을 활용한 AI 기반 UX라이팅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오늘은 그 과정을 공유하려 합니다.

AI야, UX라이팅 알잘딱 고쳐줘 - 라포랩스 팀블로그

blog.rapportlabs.kr

AI야, UX라이팅 알잘딱 고쳐줘 - 라포랩스 팀블로그

< 세상은 뇌가 만든 가장 완벽한 거짓말이다 >

1

... 더 보기

유능한 직원이 마이크로 매니저로 전락하는 흔한 과정

1. 당신이 당신의 일에 일가견이 있다고 해보자. 예를 들어, 당신은 아주 뛰어난 회계사다. 그리고 당신 팀은 팀원들을 잘 도울 수 있으며, 팀원들을 대신해 경영진과 만나 이야기를 나눌 관리자를 필요로 한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