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잡스가 사랑한 의사결정 구조 : DRI
👨🎨 해고된 디자이너 → 월 2천만원 버는 1인 개발자
적극적인 오너십을 바탕으로 일하며 결과를 내주길 바람
DRI : Directly Responsible Individual. 애플이 개념화하기 시작
잡스가 책임자를 두기 위해 DRI 개념을 사용
전략을 구상한 팀원 vs 의사결정을 해준 팀장. 누구 잘못인가? => 상위 직급이 아니라 제일 잘 아는 사람이 해야지!
DRI의 3가지 변수 : 결정, 실행, 책임
DRI의 핵심 =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과 = 실행하는 사람과 = 그 실행의 결과에 대해 책임을 맡아야 하는 사람'
DRI에서 “책임”의 영역은 “탓” 이 아니라 “배움”의 주체를 정하는 관점
가설을 검증하는 구조로 가는 의사결정이라 특릴 확률이 더 높음
책임은 뒤집어 쓰는 것이 아니라 배움의 주체가 책임의 주체
한 번 배우고 끝나는 식은 안됨
DRI를 도입하기 어려운 경우
문화로 자리 잡기 쉽지 않음
다음과 같은 일이 발생
“당신이 ‘우리 조직은 DRI가 실무자에게 있다’고 했으면서 왜 나는 당신을 설득하는 데에 더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하나요? 답정너 아닙니까?”
이런 경우
회사가 팀원에게 아직 DRI를 줄 정도로 신뢰하지 못했는데,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고객의 니즈나 논리적 가설을 통해 의사 결정을 전하는게 아닌 경험이나 주관으로 일을 끌고 가는 경우
직관을 통핸 의사결정. 이럴 때 와일드 카드를 사용해서 가끔은 꺾을 수 있음. 그러나 이걸 당연하게 생각하지 말고 충분히 미안해야 함
DRI 프레임워크로 일할 때 경계하는 것은 조직의 의사소통을 수직적으로 만드는 것. 결정은 수직이 맞음. 그러나 소통도 수직이면 말을 꺼내지 않음
진정 위대한 조직은, 의사는 수평적으로 하고 결정은 수직적으로 하는 구조에서 탄생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3월 25일 오전 1:21
국가의 원칙 중 하나인 삼권분립(입법부, 행정부, 사법부를 나눔)과는 다르게 모든 권한을 한 개인에게 집중하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나부터 의사결정, 실행, 책임의 순서로 반복해서 일을 하면 회사에도 주인의식 문화를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안
... 더 보기“그러니까요. 제 말은 왜 사람들을 그렇게 두 그룹으로 나누느냐고요.”
... 더 보기직장에서 빌런으로 불리는 리더의 유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아마 ‘책임을 전가하는 리더’ 일 것이다. 자신이 책임져야 할 것을 다른 사람의 책임으로 돌리는 것이다. 그런데, 책임을 전가하는 것만큼은 아니지만, 그에 못지않게 좋지 않은 유형이 있다. 바로 ‘책임을 회피하는 리더’다.
... 더 보기1. 매일 해야 이룰 수 있다.
점점 더 ChatGPT에게 물어봤더니 이건 이렇다더라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문제는 이런 행동이 빠르게 증폭된다는 것이다.
AI를 사용할 수록 점점 더 자신의 생각을 AI에게 외주 주게 되고, 어느 순간부터는 자신도 모르게 AI의 말을 의심없이 믿게 되는 순간이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