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의 흥망성쇠 | bohyeon.dev
Medium
오늘 소개해드릴 글은 메디스트림의 서보현님이 번역해주신 글입니다.
글이 발행된 A List Apart는 웹 디자인, 개발, 의미를 탐구하는 1997년부터 시작된 웹진이라고 합니다. 이번 글의 저자 또한 오랜 기간 웹 개발에 몸담아온 인물입니다. 저자는 웹의 변천사를 쉼없이 변해가는 육아 과정에 비유합니다. 규범이 없던 초기의 웹 개발부터 표준의 탄생,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서의 웹, 현재에 이르기까지 웹의 역사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최종적으로는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저자의 말대로 웹을 마스터했다고 생각할 때마다 모든 것이 변할까요? 웹의 역사를 얕게나마 이해할 수 있고 미래를 짐작해보는데 도움이 되는 글입니다.
글 링크: https://bit.ly/twatwotw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4월 12일 오전 12:48
커리어리 질문글에도 보면 일주일에 한번씩은 “ML Engineer, Data Scientist가 되고 싶은데 어떤 것부터 공부를 해야할지 모르겠다.” 는 질문이 자주 올라옵니다. 비슷한 질문이 계속 올라오는 이유는 정해진 답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너무나도 다양한 방식으로 ML Engineer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처음 입문을 하시는 분들은 오히려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몰라 갈팡질팡 하시는 것이죠.
... 더 보기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실서비스에 반영할 기능을 가끔 바이브 코딩만으로 개발 해 보는데, 두어달 전만해도 어려웠던 구현이 이제 벌써 가능해졌다.
... 더 보기“퇴사하고 싶습니다.” 최근 한 기업의 대표님이 가슴 아팠던 직원의 퇴사 이야기를 터놓았습니다. 사실 아직도 퇴사 사유를 정확히 잘 모른다고 합니다. 그 확고함에 어쩔 수 없이 보냈을 뿐. 많은 대표님이 비슷한 경험을 해봤을 것입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