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개발자 창업이 생각보다 쉽지 않은 이유

여기서 말하는 창업은 요식업이 아니라

아이디어를 가지고 개발해서 새로운 서비스 창출 하는 걸 말하는데

크게 두가지 이유로 난황을 겪는 것을 봤습니다

첫째 개발자 마인드라 돈이 되는 서비스를 생각 못한다

둘째 개발자로 일만 했어서 투자를 끌어올 인맥이나 말빨이 부족하다

스타트업을 차릴 때 확률적으로 개발자가 차린 회사가

비 개발자가 차린 회사보다 실패율이 좀 더 높은 이유입니다

저도 아이디어가 있어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서

회사 동료들에게 한번 오픈 해봤는데

돈이 될 거라는 평가는 듣지 못해서 일단은 묵혀두고 있습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4월 21일 오후 11:4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더 보기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요즘IT

    요즘IT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요즘IT

    품질 높은 프로젝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

    ... 더 보기

    “품질 높은 프로젝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품질 높은 프로젝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왜 나는 욱하고 말았을까?” “왜 나는 그렇게 화를 분출했을까?” 회의 중, 메신저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리더의 감정 폭발은 일순간에 리더십 전체를 흔들어놓는다. 그리고 회의가 끝나고 긴장이 풀리면 리더는 ‘지적의 정당성’과는 별개로 자신의 감정적 태도를 후회하고 자책한다.

    ... 더 보기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n.news.naver.com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스프링 핵심 기능으로 통합된 Spring Retry

    S

    ... 더 보기

    스프링 핵심 기능으로 통합된 Spring Retry

    www.linkedin.com

    스프링 핵심 기능으로 통합된 Spring Retry

     • 

    저장 2 • 조회 1,043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986


    [필사노트] 시부야 료이치, '일 잘하는 디자이너'

    ... 더 보기

    12화 시부야 료이치, '일 잘하는 디자이너'

    Brunch Story

    12화 시부야 료이치, '일 잘하는 디자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