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운 게임 업계에 다가온 빛, 신작 출시와 글로벌 확장

게임 업계의 1분기 실적 발표가 있었습니다. 카카오게임즈는 전년 동기 대비 영업 이익 8.1% 증가, 크래프톤은 전년 동기 대비 영업 이익 9.7% 증가 등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카카오게임즈는 신작 ‘롬’을 글로벌 출시해 국내, 대만 구글 플레이 인기 순위 1위에 등극, 구글 플레이 매출 2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크래프톤의 배틀 그라운드는 인도 현지 상황에 맞는 콘텐츠, 마케팅으로 주목을 끌었습니다.

 

앞으로 두 게임사는 차기작을 준비하고 있고 글로벌 출시를 계획하며 실적 상승에 박차를 가할 예정입니다.

 

어려운 상황에서 반등할 수 있었던 것 중 하나로, 글로벌 출시 및 현지화를 꼽을 수 있겠습니다. 국내 시장이 작진 않지만 국내 시장 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글로벌 확장을 통해 더욱 비즈니스를 성장, 고도화할 수 있습니다.

 

현지화 과정이 쉽지만은 않습니다. 현지 상황에 대한 이해, 언어 번역의 적절함 등 여러 요소를 살펴봐야 합니다. 단순히, 영어 번역이더라도 영국과 미국의 단어 사용이 다릅니다. 예를 들면, 미국에선 ‘Elevator(엘리베이터)’라고 말하지만 영국에선 ‘Lift(리프트)’라고 이야기합니다.

 

따라서, 현지에 맞는 적절한 언어 현지화 과정이 필수입니다. 알코노스트는 120개국 이상 언어의 현지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각 언어 마다 원어민 전문 번역가와 프로젝트 매니저가 전담 배치되어 현지화 프로젝트를 지원합니다.

 

알코노스트와 함께 게임의 글로벌 확장이라는 꿈을 이뤄보세요.

 

The earnings announcement of 1st quarter in game industry in Korea was reported. Kakaogames’s business profits was increased 8.1% and Krafton’s business profits 9.7% increased as comparing last year 1st quarter.

 

Kakaogames released new game ‘ROM’ globally so it was ranked in 1st rank in Google Play in Korea and Taiwan. Also, the sales ranked at the 2nd. Krafton’s Battle Ground caught people’s attention through localized contents and marketing in India.

 

Both game companies will release new games consistently and globally to increase their business.

 

The way how they could increase their profits are global launch and localization. Korea market is quite big but there might be limit. Therefore, as globalizing and localizing games, they are able to increase their business.

 

It is not easy to localize. We need to understand their culture, relevance of language and etc. For example, UK English and American English are different. In UK, people said ‘Lift’ not ‘Elevator’ but America said the other way.

 

So, it is essential to localize with right understanding. Alconost provides more than 120 languages for localization. Our translators are native and professional. They are supporting your project with our dedicated project manager.

 

Be with Alconost for your dream as globalizing your game.


https://www.moneys.co.kr/article/2024050814282254740

게임업계 1분기 실적 발표 돌입... 신작 출시·글로벌 확장 통했다 - 머니S

머니S

게임업계 1분기 실적 발표 돌입... 신작 출시·글로벌 확장 통했다 - 머니S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5월 13일 오전 2:20

조회 11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스펙을 뛰어넘는 힘

    

    ... 더 보기

    💪매출 400억 헬스장 짐박스를 만든 전략은

    ... 더 보기

    헬스장계 유니클로 짐박스, 매출 400억을 만든 전략은

    Brunch Story

    헬스장계 유니클로 짐박스, 매출 400억을 만든 전략은

    사람과 데이터

    

    ... 더 보기

    < 모순의 해답은 바로 한 단계 위에 있다 >

    1

    ... 더 보기

    그래서 이유가 뭔데? 제목은 저렇게 해놓고 정작 이유가 없네. 최근 기사 중 가장 어그로 제목인 듯하다. 댓글창도 아예 막아놓은 걸 보니 의도한 것도 같고. 요즘 유튜브 콘텐츠도 이 정도로 거짓 제목까지는 잘 쓰진 않는다. 허무한 이유나 결론을 제시할 수는 있어도.

    ... 더 보기

    “계획된 적자? 아무나 못한다”…쿠팡은 성공 vs 티몬·발란은 고전한 이유 [일상톡톡 플러스]

    세계일보

    “계획된 적자? 아무나 못한다”…쿠팡은 성공 vs 티몬·발란은 고전한 이유 [일상톡톡 플러스]

    리액트의 안정된 값에 대해 깊이 이해하기

    쇼피파이 기술 블로그의 Mastering React’s Stable Values(https://shopify.engineering/master-reacts-stable-values)를 요약-번역한 글입니다. 저의 부연이 구별없이 섞여 있다는 것에 유의해주세요: --- "안정된 값"이란 여러 번의 렌더 동안 같은 값을 유지하는 값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useState 에서 반환된 업데이트 함수, useRef에서 반환된 값, useCallback으로 감싸진 함수는 안정된 값이고, useMemo, useCallback ... 더 보기

    Mastering React's Stable Values

    Shopify

    Mastering React's Stable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