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ctl create pod'를 실행하면 발생하는 일 - kube-apiserver 감사 로그(Audit Log)로 엿보기
Medium
- kube-apiserver 감사 로그(Audit Log)로 엿보기
안녕하세요, 당근 SRE팀 클러스터 파트에서 일하고 있는 Karin(카린)이에요. 클러스터 파트는 당근 내부의 모든 서비스가 운영되는 쿠버네티스 환경을 설계하고 관리해요. 쿠버네티스의 관측가시성과 서비스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니터링 인프라부터 서비스 메시, 보안까지 여러 방면에서 정책과 로드맵을 설계하고 적용해요.
쿠버네티스를 처음 배우는 사람이라면 kubectl create namespace
, kubectl create -f sample-pod.yaml
명령어를 한 번쯤 실행해보셨을 거예요.
파드를 하나 생성했을 때, 쿠버네티스 내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상상해 본 적 있나요? 파드가 어떤 노드로 갈지 어떻게 알지? 파드의 MAC, IP 주소는 누가 어떻게 부여하는 거지? 컨테이너는 어떻게 만들어지지? 같은 질문들이요. 저는 쿠버네티스를 처음 배우면서부터 운영을 하고 있는 지금까지, 여전히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더 깊게 찾아가고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kubernetes apiserver audit log(감사 로그)를 살펴보면서 많은 부분을 배울 수 있었어요! kube-apiserver는 모든 컴포넌트의 중심이 되는 api 서버인 만큼 요청에 대한 자세한 기록, 즉 audit log를 기록해요.
쿠버네티스의 각각의 컴포넌트가 어떤 일을 하는지 문서로만 보는 것보다, 로그를 통해 누가 어떤 요청을 보내는지 직접 보니까 훨씬 이해하기 쉬웠어요.
공식문서에서 설명하는 audit log로 알 수 있는 것들은 아래와 같아요.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언제 일어났는지
누가 시작했는지
누구에게 일어난 일인지
어디에서 관측되었는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
어디로 가는지
로그에 대한 건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게요 🙂
이 글에서는 파드를 생성할 때 쿠버네티스의 각 컴포넌트(특히 컨트롤 플레인)가 어떤 일을 하는지 audit log를 참고하여 살펴보려고 해요.
‘kubectl create pod’를 실행하면 발생하는 일을 하나하나 쪼개어 살펴보고 싶다면?
지금 당근 테크 블로그에서 글 전문을 읽어보세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5월 16일 오전 6:16
팀이나, 파트등의 조직에서의 생활을 하다 보면은 나의 의사와 다른 상황이 펼쳐지는 일이 꽤 많은 빈도로 발생이 되는거 같아요.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조직 생황을 하였지만 가장 어려운 것이 나의 의사와 다른 생각을 가지는 일들이 생기는 것들 같아요.
... 더 보기혹
... 더 보기고용노동부에서 주관하는 청년미래플러스 3기를 모집 중이라고 합니다.
구직자와 재직자 두 가지 트랙을 동시에 모집한다고 하네요.
모집 기간: 6월 15일 ~ 8월 3일
혹
... 더 보기요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