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스 마케팅의 기본 - 데이터 분석 이해

많은 마케터들이 데이터 분석에 대해 말하면, 단순히 '숫자'를 보고 실행하는 마케팅이라고 이해를 합니다. 때문에, 데이터 분석 모델에 대해 전해 이해도가 없습니다. 


제대로 된 성과를 내려는 그로스 마케터라면... 꼭 데이터 분석에 대해 공부가 어떤 모델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공부하시길 추천합니다. 데이터의 '정상성'에 대한 좋은 글이 있어 공유합니다. 

profile picture

남동욱

토스뱅크 데이터 분석가

요즘 저는 시계열 예측 모형을 공부하고 업무에서 활용해보려 하고 있는데요! 시계열 모델에서 필수로 공부해야할 '정상성'에 대해 아주 잘 정리해놓은 글이 있어서 공유드립니다! (저도 매우 큰 도움을 받았어요! 저자분에게 감사드립니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 '정상성'은 '일정하여 늘 한결같은 성질'을 의미합니다 * 그리고 통계적인 시계열 모델(ex. ARIMA)에서 필수적으로 '정상성 가정'을 하지요! * 즉, 가지고 있는 데이터의 모형이 정상성을 만족해야 한다는 것인데 * 통계 모델이기 때문에 통계에서 '일정하여 늘 한결같은 성질'은 1) 평균이 일정하고 2)분산의 폭이 일정하다(분산의 폭이 무한으로 발산하지 않음) 을 의미합니다. * 이게 무슨 의미냐? 라고 할 수 있지만 시계열 데이터를 시각화 하였을 때 1) 계절성이 없고 2) 일정한 추세(우상향, 우하향)가 없고 3) 분산이 일정함 이 세 가지를 만족하면 정상성이라고 할 수 있지요! * 즉, 내가 가지고 있는 시계열 데이터가 정상성을 만족하는지는 시각화를 통해, 그리고 통계적 검정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는 정상화를 만족하지 않는다면 정상화를 만족하게 만들고(차분, 로그 변환) 시계열 예측 모델링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 이 모든 것이 python 과 R의 statsmodel 라이브러리에서 코드 몇 줄로 끝나지만 원리를 알고 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하늘과 땅 차이네요! 저자의 원문은 훨씬 더 좋은 글이니 읽어보시...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5월 19일 오전 8:3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광고AE는 뭐하는 사람인가요?

    광고를 한다고 하면 다들 크리에이터, 카피라이터, 또는 감독이냐고 묻는다. 그도 그럴게 우리가 미디어에서 접하는 광고계 유명인들은 디렉터나 카피가 많기 때문이다. 나만해도 유명한 광고AE가 있나? 하면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그만큼 광고AE의 역할이나 직무는 뚜렷하게 알려져 있지는 않다.

    ... 더 보기

    조회 60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 더 보기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뉴닉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조회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