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허브 액션으로 배포 자동화해 보기(a.k.a CI/CD) - 1화

CI/CD가 뭐냐고요? 쉽게 말해 개발자가 개발을 마치고,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고, 테스트를 하고, 원격 저장소에 코드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배포하는 등의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실무 환경에서는 CI/CD를 진행하죠. 여기서는 깃허브 액션을 활용하여 CI/CD를 진행해봅니다.


본 글은 ‘GitHub Actions으로 배포 자동화해 보기’의 1편으로 CI/CD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깃허브 리포지터리 생성 및 코드를 푸시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CI/CD란?


앞서 CI/CD라는 표현을 써서 궁금한 독자가 많을 겁니다. 우선 CI/CD의 의미를 이야기하기 전에 CI/CD가 필요한 상황을 생각해봅시다. 만약 여러분의 서비스를 배포하고 운용하던 중에 코드를 변경할 일이 생기면 어떤 작업을 해야 할까요? 우선은 코드 수정을 하고, 로컬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할 겁니다. 그리고 빌드도 잘되는지 확인하겠죠. 그런 다음에는 jar 파일을 생성해 복사하고, AWS에 접속해서 복사한 jar 파일을 업로드해 새 배포 버전을 제공해야 합니다. 지금 이 과정을 기계적으로 계속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프로젝트 규모가 엄청나게 커지면 이 작업은 굉장히 힘들 겁니다. 그럴 때 도입하는 것이 CI/CD입니다. 이 용어는 어떤 도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방법을 말합니다.


이 방법을 도입하면 빌드부터 배포까지의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또 잘 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사실 CI는 지속적 통합, CD는 지속적 제공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앞서 이 표현을 풀어 설명하지 않았던 이유는 설명해도, 이 과정의 필요성이나 불편함을 상상할 수 없는 단계였기 때문입니다. 이제 여러분은 수정, 빌드, 테스트, 배포 등을 직접했으므로 이 말이 이해가 될 겁니다.


본문 더보기: https://bit.ly/3RvoGkL

GitHub Actions으로 배포 자동화해 보기(a.k.a CI/CD) - 1화 - 골든래빗

골든래빗

GitHub Actions으로 배포 자동화해 보기(a.k.a CI/CD) - 1화 - 골든래빗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5월 31일 오전 2:20

 • 

조회 54

댓글 1

함께 읽은 게시물

[이벤트] 🛠️ 커리어리 2.0, 여러분의 의견이 필요합니다!

... 더 보기

포폴 코칭 중 기억남는 대화 [1]

Q) 🙋‍♀️ 데이터를 활용해 UX를 개선했다는 걸 잘 보여주고 싶어요. 포폴에서 어떤 식으로 서술하면 좋을까요? (예비 디자이너 분)

... 더 보기

MCP는 기술적으로는 거의 순수하게 Function Calling의 Thin Wrapper에 불과함.


다만, 현재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이 Function Calling을 지원하지 않는 상태라, LLM에 Function Calling을 주입할 수 있는 서버를 쉽게 만들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제공했던 것이 MCP를 확산시키는 데에 크게 기여를 한 것.


... 더 보기

커리어를 쌓아야 할 때 알아야 하는 잔인한 사실들

1

... 더 보기

 • 

저장 39 • 조회 1,566


GPT-4.5 출시 후 GPT-4o의 성능이 빠르게 좋아지고 있음. GPT-4.5로 GPT-4o를 튜닝하면서 성능을 끌어올리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음. GPT-4o 수준의 파인튜닝 속도가 진짜 빠르다는 것이 놀라움. 이것이 OpenAI의 최대 강점일 수도.

조회 1,436


(번역) Create React App 지원 종료

C

... 더 보기

(번역) Create React App 지원 종료

www.harimkim.com

(번역) Create React App 지원 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