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리액트 컴파일러를 사용해 봤는데, 어땠을 것 같나요? 😉
Medium
다들 메모이제이션에서 마법처럼 벗어날 리액트 컴파일러 소식을 기다리고 계시지 않나요? 최근 React Conf에서 드디어 코드가 오픈소스화되었고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미 사용해보신 분들도 있으실 것 같은데요. 모두가 이 소식을 고대하던 이유는 경쟁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들에서 이미 제공하고 있는 기능이기도 했고, 리액트 코드를 작성할 때 항상 고민되는 부분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지 않을까 라는 기대감이기도 했을겁니다.
하지만 정말 우리가 기대한 것처럼 마법같은 변화를 만들어낼까요?
이 글에서는 간단한 예시와 실제 운영 중인 서비스를 리액트 19 카나리아 버전으로 업데이트한 뒤 컴파일러를 적용해 이슈가 발생하고 있는 부분을 자동으로 해결해주는지에 대해 살펴봅니다. 과연 결과가 어떻게 되었을까요? 궁금하신 분들은 글을 읽어보세요!
글 링크: https://bit.ly/4ba9Gzp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6월 19일 오후 11:31
ChatGPT 런칭시, 5일만에 백만명의 사용자가 등록하면서 역사상 가장 빠르게 1백만 사용자를 획득한 서비스가 되었었는데요.
그런데 이번 이미지 생성 모델 출시 후 인터넷이 지브리피케이션되면서, 한시간만에 백만명의 사용자를 획득했다고 합니다.
생산성이고 뭐고, 역시 재미난게 짱짱맨이네요.
면접관으로 들어가면 행동양식 질문으로 물어보는 두 가지 질문이 있다. 하나는 임팩트(Impact)에 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협업(Collaboration)에 관한 것이다. 임팩트에는 관한 것으로 "커리어에서 가장 임팩트있는 프로젝트에 대해 이야기해달라"는 질
... 더 보기잘
... 더 보기코딩 인터뷰를 하던 중 지원자로부터 AI를 써도 되겠냐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인터넷 검색을 해도 되냐고 물어보는 지원자는 종종 만나는데, AI를 써도 되느냐는 질문은 처음 받아봐서 좀 당황스럽더군요. 어떤 용도로 AI를 사용하시려는지 물어보았고, 익숙치 않은 프
... 더 보기골
... 더 보기골빈해커
Chief Maker
프로젝트 후 회고를 한다고 하면, 대부분 과정에 대한 회고를 한다. 이것은 틀렸다. 회고는 결과에 대해 해야한다. 결과물이 목적한대로 잘 만들어졌는지 혹은 결과가 목적한대로 나왔는지. 그 다음, 왜 그런 결과가 나왔는지를(과정 때문인지, 가설이 잘못됐는지 등) 배우는 것이 올바른 회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