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는 보통 UDP를 사용하지만 특수한 상황에서는 TCP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DNS의 메시지가 큰 경우 TCP를 사용하게 되는데 DNS 패킷 헤더에 메시지가 Truncated 여부를 표시하고 이런 경우 UDP는 실패하고 TCP로 재시도 하게 됩니다.


보통은 신경쓸 일은 아니지만 최근 업무에서 이 케이스로 인해서 DNS 조회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문제를 겪었기 때문에 마침 더 반가운 글이었습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모든 환경을 제어하지 못하고 클라우드 벤더에 맡기고 있기 때문에 DNS에 보안관련 헤더 추가등으로 커질 수 있다는 걸 알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예상치 못한 상황에 트러블 슈팅에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https://brunch.co.kr/@growthminder/141

DNS가 TCP를 사용하는 경우

Brunch Story

DNS가 TCP를 사용하는 경우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6월 23일 오후 5:26

 • 

저장 15조회 2,28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사람과 데이터

    

    ... 더 보기

    간밤에 OpenAI가 오픈소스 모델을 발표했네요.

    ... 더 보기

    첫 회사보다 중요한 것

    ... 더 보기

    - YouTube

    브런치스토리

     - YouTube

     • 

    저장 40 • 조회 2,704


    시니어가 될 수 없는 주니어 개발자의 특징

    시니어가 될 수 없는 개발자는 어떤 특징을 갖고 있을까요? 관련 글 읽고 정리하면서 제 생각도 함께 올립니다. 1️⃣ 수동적인 사람 수동적인 개발자는 다른 사람과 팀원이 되어 함께 일할 수 있는 스킬이 부족하다.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결국 좋은 성과를 내지 못한다. 2️⃣ 변화를 거절하는 사람 새로운 일에 도전하지 않고 하던 일만 하고 변화를 싫어하는 사람은 성장하지 않는다. 3️⃣ ‘Ownership’이 없는 사람 많은 개발자가 본인 직무 외에 더 많은 일을 떠맡아서 하기도 한다. 반대로 일부러... 더 보기

    5 Junior Programmers Who Never Became Senior

    Medium

    5 Junior Programmers Who Never Became Senior

     • 

    저장 50 • 조회 5,309



    달레 블로그의 SEO 비법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