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프로토콜 공부한 것들을 정리

SSH프로토콜은 서버를 운영하게 되면 매일 접하게 됩니다. 원리는 자세히 알지 못해 누구에게 설명은 못하지만 대충 어떻게 동작하는지 감으로만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약 2주동안 공부를 했습니다. 부끄럽게도 거의 40시간 이상 투자했지만 아직도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그 이유가 SSH프로토콜의 핵심은 암호학이기 때문입니다. 고등학교때 수학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는게 후회됩니다. ㅜ.ㅜ


블로그 글은 4편으로 나눠서 작성하기로 계획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상 1,2,3편만 작성했습니다. 패킷분석이 궁금하신분은 3편을 보시면 됩니다!.

  • 1편: 공개키, 개인키로 데이터 암호화/복호화: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752

  • 2편 - SSH프로토콜 원리: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755

  • 3편 - SSH프로토콜 인증 과정: https://malwareanalysis.tistory.com/754

  • 4편 - SSH프로토콜 응용사례: 미정


ssh키쌍으로 데이터 암호화, 복호화

악분의 블로그

ssh키쌍으로 데이터 암호화, 복호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8월 3일 오후 1:5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이 문제는 왜 해결해야 하죠?” 토스페이먼츠의 Product Manager는 늘 이 질문에서 시작합니다. 화면을 기획하거나, 기능을 정리하는 일보다 먼저 우리는 문제의 본질을 정의하고 싶은 사람들입니다. 그렇다면 ‘문제의 본질’부터 고민하는 토스페이먼츠의 PM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일하고 있을까요? 토스페이먼츠 PM 김명훈님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세요.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toss.im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나는 종종 생산성을 올리기 위한 각종 개발 툴은 물론, 라이브러리나 소스 코드를 구매하기도 한다.


    소스 코드의 경우 실제로 써먹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수 되긴 하지만, 그래도 구성이나 코드를 보면서 배우는게 있기 때문에 학습 비용이라고 생각하고 가끔 구매하는 편이다.


    ... 더 보기

    이젠 Claude 모델이 그렇게 압도적으로 좋은 건 아닌데, Claude Code는 진짜 분명하게 좋음. 아마도 프롬프트가 잘 되어 있어서 그런 것 같음. Claude의 다른 프롬프트들은 공개해뒀는데 Claude Code용 프롬프트는 공개를 안해줌. 역시 아무리 투명하게 공개한다고 해도 진짜 좋은 건 다 기업비밀임..


    사람들이 요즘 AI, ChatGPT에게 의존하여 사고력이 저하되고 있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두뇌 발달에 안 좋으니, 80년대에 계산기 쓰지마라, 90년대에 컴퓨터 쓰지마라, 2000년대에 엑셀 팡션 쓰지마라, 2010년에 스마트폰 쓰지마라는 말과 같다는 생각이다.


    ... 더 보기

     • 

    저장 7 • 조회 2,531


    🍜 짜파게티가 왜 거기서 나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