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e of React 2023: 리액트의 동향과 미래 전망

2023년은 React Server Components(RSC)의 도입으로 React 생태계에 큰 변화를 가져온 해로 평가됩니다. 이는 2018년 React Hooks의 출시 이후 가장 중요한 패러다임 전환으로 볼 수 있는데요.

  1. Hooks의 성공: React Hooks는 출시 후 5년 만에 압도적인 지지를 얻어, 설문 조사 결과 99.5%의 개발자가 사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함수형 컴포넌트 패러다임이 React 개발의 표준으로 자리잡았음을 시사하는데요. 반면, 클래스 컴포넌트는 레거시 시스템 유지보수나 에러 바운더리와 같은 특수한 경우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2. Server Components의 전망: RSC의 도입은 React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수 있습니다. 그러나 RSC가 Hooks와 같은 수준의 광범위한 채택을 이룰 수 있을지는 불확실합니다. RSC는 번들러 및 라우터와의 긴밀한 통합을 요구하며, 이는 기존 React 프로젝트에 점진적 도입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입니다.

  3. React 개발자 커뮤니티의 특성: React 개발자들은 최신 기술 동향을 신속히 수용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설문 응답자의 71%가 데이터 수집 시점에서 최신 버전인 React 18을 사용 중이라고 응답했습니다.

  4.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의 현주소: 응답자의 37%가 SSR을 전혀 사용해 본 경험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SSR이 오랫동안 사용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개발자들에게 생소한 기술임을 시사합니다.

  5. 2028년 React 생태계 전망: 향후 5년간의 발전을 고려할 때, 2028년경에는 두 가지 패러다임이 공존할 것으로 예상되며 비슷한 수준의 사용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a) Server Components와 Server Actions를 포함한 '풀스택' 버전

    b) 기존의 클라이언트 중심 단일 페이지 애플리케이션(SPA) 버전

React 생태계는 지속적인 혁신과 변화를 겪고 있는데요 이러한 동향을 살펴볼 분들은 원문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2023.stateofreact.com/ko-KR/


State of React 2023

Stateofreact

State of React 2023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8월 6일 오전 12:29

 • 

저장 7조회 2,17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2005년 7월에 일을 시작했으니,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중간에 공백이 조금씩 있었으니 꽉 채운 스무 해는 아니지만, 숫자가 주는 무게는 여전하다. 2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는 사실이 새삼 신기하게 느껴진다.

    ... 더 보기

    < 왜 나는 그때 그 선배의 말을 듣지 않았을까? >​

    1. 모든 학습 곡선에는 같은 패턴이 있다. 어떤 분야의 초보자가 있다고 하자. 이제 몇 가지 지식을 배운다. 그럼 마치 그 분야를 완전히 이해한 것처럼 느낀다. 누구나 0점에서 80점까지는 쉽다. 문제는 80점부터다. 전문가의 영역이다.

    ... 더 보기

    [미국 & 캐나다 IT 대기업 면접관의 팁]

    미국과 캐나다 IT 대기업 면접관으로 직접 활동하며 느낀 개발자들이 자주 하는 코딩 면접 실수를 공유해봅니다. 작년부터 현재까지 면접관으로서 모의 면접과 FAANG 온사이트 (파이널) 면접을 대략 70+ 시간 정도 봤습니다. 올봄까지 목표는 100+ 시간 인터뷰 본 후 데이터를 모아서 배운 점을 공유하는 게 목표인데요. 미국, 캐나다, 싱가포르 그리고 영국에 있는 회사에 면접 봤던 경험까지 포함해서 코딩 인터뷰 팁 4가지 공유합니다. 📌 첫 번째: 문제가 명확한가? 에지 케이스에 대해 물어보기 면접관들은 일부러 애매모호한 문제를 던집니다. 현직에서 항상 문제가 명확한 게 아닌 경우가 많기 때문에 스스로 잘 파해쳐 가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함입니다. 처음 문제를 듣자마자 문제 풀기부터 시작하는 지원자들이 많습니다. 저도 예전에 그런 실수를 많이 했었습니다. 하하... 이런 식으로 문제를 풀다가 면접관이 엣지 케이스를 언급하며 "이 경우에는 당신이 작성한 알고리즘이 어떻게 작동하지?"라고 되물으면 본인이 작성한 알고리즘이 틀렸다는 것을 발견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인터뷰 남은 시간은 15분, 이미 새 알고리즘을 쓰기... 더 보기

     • 

    저장 23 • 조회 1,724


    [🇺🇸미국과 캐나다 근무 환경 차이점?🇨🇦]

    미국과 캐나다 대기업의 근무 환경에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는 걸 느꼈습니다. ✨첫 번째: 업무 스트레스 캐나다에서 개발자로 일했었을 때 업무 스트레스가 훨씬 적었습니다. 그 이유는 캐나다 정서 특성상 "laid back", 즉 좀 여유로움이 묻어 있어서 그런지 모두가 5시만 되면 칼퇴근했었습니다. 미국은 영주권 절차가 최소 2년 최대 10년 이상 걸립니다. 결혼 영주권은 빠르다고 생각하나, 요즘 결혼 영주권도 최소 2년 걸립니다. 반면에 캐나다의 경우 6개월 만에 영주권 수령했었습니다. 영주권이 주는 건 "freedom". 언제든 맡은 업무가 적성에 맞지 않거나 높은 연봉을 받으려고 다른 회사로 이직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음이 편했습니다. ✨두 번째: 연차, 공휴일 차이점 미국과 캐나다를 비교했을 때 캐나다는 매 달 공휴일이 최소 하루 정도 있었습니다. 회사마다 또는 주마다 천차만별이나, 미국은 최소 6일 정도 있는 반면 캐나다는 적어도 1년에 12일 정도 있었었습니다. 한 달에 한 번씩 주말이 3일인 주가 있었기 때문에 여행을 자주 다닐 수 있었습니다. ✨세 번째: 팀 다양성 미국의 경우 취업 비자와 영주권 ... 더 보기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더 보기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요즘IT

    요즘IT

    Next.js 앱을 쿠버네티스에 배포하기 (feat. ArgoCD) | 요즘IT

    회피를 해야 할까요? 방안을 찾아야 할까요?

    팀이나, 파트등의 조직에서의 생활을 하다 보면은 나의 의사와 다른 상황이 펼쳐지는 일이 꽤 많은 빈도로 발생이 되는거 같아요.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조직 생황을 하였지만 가장 어려운 것이 나의 의사와 다른 생각을 가지는 일들이 생기는 것들 같아요.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