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덤 기반의 커뮤니티 커머스> 1. 앞으로 기업의 브랜딩은 커뮤니티의 형성 여부에서 결정되며, D2C는 그 핵심 무대다. 2. ‘커뮤니티 커머스’라는 개념은 브랜드와 소비자, 또는 같은 브랜드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소속감을 가질 수 있도록 연결성을 만들어내는 커머스를 뜻한다. 3. (특히) Z세대는 선호 브랜드와 폭 넓은 교류를 원하고 더 나아가 브랜드의 일부가 되려고도 한다. 어려서부터 SNS로 다진 소통 역량으로 브랜딩에 참여하는 것이다. 4. 다만 이런 현상이 Z세대만의 전유물로는 보이지 않는다. SNS를 비롯한 커뮤니티 인프라는 사실상 전 세대의 것이다. 5. 그렇다면 어떻게 내 기업, 브랜드의 커뮤니티 커머스를 만들 것인가. 팬덤 확보가 필요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브랜딩이 남달라야 한다. 6. 지금 시대는 브랜딩이 전통 오프라인 매장이 아닌 온라인에서 이루어진다. 단순 판매용이 아닌, 기업 스스로 많은 콘텐츠를 선보이는 공간, 곧 ‘자사 쇼핑몰(D2C, Direct to Consumer)’이 필수요소다. 7. D2C는 크든 작든 팬덤의 공간이다. 회원 가입부터 재방문, 게시판 소통 등의 프로세스는 기본이다. 꼭 구매가 아니어도 ‘오늘은 어떤 콘텐츠가 올라왔는가’가 궁금해 찾는 ‘팬’ 행렬이 흔하다. 더 적극적인 경영진은 D2C에서 팬들과 이벤트 형태의 실시간 대화를 연다. 여기서 나온 집단지성이 다음 경영전략의 모태가 되기도 한다.

D2C는 ‘커뮤니티 커머스’의 무대

www.apparelnews.co.kr

D2C는 ‘커뮤니티 커머스’의 무대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1월 9일 오후 10:5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고용노동부에서 주관하는 청년미래플러스 3기를 모집 중이라고 합니다.

    구직자와 재직자 두 가지 트랙을 동시에 모집한다고 하네요.

    • 모집 기간: 6월 15일 ~ 8월 3일

    ... 더 보기

    🤖 최초의 AI 브라우저, Dia 직접 써봤습니다! 🌐

    ... 더 보기

    < 이직을 고민하는 당신이 던져야 할 단 3가지 질문 >

    1. 커리어를 선택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일단 내가 가진 가치관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 남들의 시선과 판단도 무시할 수 없다. 이직 트렌드와 경향도 살펴봐야 한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7 • 조회 972


    인정에 목마른 사람에게

    

    ... 더 보기

    특히 AI·바이오·우주항공 등 기술 난도가 높은 분야에선 검증된 경력직 심사역이 희소하기 때문에, 수억원의 연봉을 제시하는 오퍼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 더 보기

    "부르는 게 값"…VC업계, '즉시 전력감' 심사역 모시기 경쟁

    www.investchosun.com

    "부르는 게 값"…VC업계, '즉시 전력감' 심사역 모시기 경쟁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