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공지능 시장 쥐락펴락하는 '오픈AI 마피아'
한국경제
전 세계 인공지능(AI)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오픈AI의 임직원이 회사를 떠나 새로운 기업을 세우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2000년대 들어 정보기술(IT)업계를 주도한 ‘페이팔 마피아’에 빗대 ‘오픈AI 마피아’라는 용어까지 등장했다.
오픈AI 출신들이 만든 회사는 30여개가 넘는다. 그 중 대표적인 AI관련 회사들은 다음과 같다.
< Anthropic >
https://www.anthropic.com/
2021년 설립
오픈AI에서 연구 부문 부사장을 지낸 다리오 아모데이와 안전 정책 부사장이었던 다니엘라 아모데이 남매 등이 설립. 지난달에는 오픈AI의 공동 설립자 가운데 한 명인 존 슐만과 오픈AI에서 AI 안전 연구를 전문으로 담당했던 얀 레이케도 이 회사에 합류
AI 챗봇 ‘클로드’를 개발해 오픈AI의 경쟁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아마존과 구글 등으로부터 대규모 투자 유치
앤스로픽은 오픈AI에서 연구 부문 부사장을 지낸 다리오 아모데이와 안전 정책 부사장이었던 다니엘라 아모데이 남매 등이 창업했다. 지난달에는 오픈AI의 공동 설립자 가운데 한 명인 존 슐만과 오픈AI에서 AI 안전 연구를 전문으로 담당했던 얀 레이케도 이 회사에 합류했다.
< 세이프슈퍼인텔리전스 >
https://ssi.inc
2024년 설립
오픈AI에서 챗GPT와 GPT-4 개발을 주도했었던 오픈AI의 일리야 슈츠케버가 설립
직원이 10명에, 10억달러(약 1조3000억원)의 투자 유치, 50억달러(약 6조5000억원)의 기업가치
이 회사는 언젠가 다가올 수 있는 AI의 위협에 대비한다는 목표
< 코베리언트 >
https://covariant.ai/
오픈AI 연구원 출신인 피터 첸 등이 2017년 설립
오픈AI에서 로봇 AI를 연구하기 위해 분사. 대규모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로봇 AI 연구. 2024년 3월 로봇용 파운데이션 모델인 RFM-1을 공개했고 최근 아마존에 인재 인수 방식으로 합병됨
< 퍼플렉시티 >
https://www.perplexity.ai/
2022년 8월 설립, 아라빈드 스리니바스 CEO는 창업 전 연구 과학자로 오픈AI 근무
30억달러의 기업가치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엔진 제작
< 기타 >
xAI: 머스크가 CEO를 맡은 xAI에도 오픈AI와 구글 딥마인드의 연구원이었던 이고르 바부슈킨이 참여
오픈AI 출신이 시장 전반으로 확산하면서 ‘오픈AI 마피아’의 영향력이 과거 ‘페이팔 마피아’를 뛰어넘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출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2077371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9월 21일 오전 7:06
창업 기초, 창업 로드맵, 나도 한번 창업을 해볼까? 이 궁금증을 해결하는 'PBR B라운지 : (직장인 이후의 삶을 위한) 사업 아이디어 선명하게 다듬기' 과정 오늘 저녁 드디어 시작! 😊
... 더 보기1
... 더 보기U
... 더 보기초중고딩 어렸을 적 과학시간에 석유와 석탄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배울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냥 외웠었다. 석유는 공룡을 비롯 동물이 죽어서 만들어지고 석탄은 식물이 죽어서 만들어진다고 배웠는데, 석탄이야 식물이 워낙 많았고 죽으면 자연스럽게 땅에 묻히니 그럴 수도 있겠다 이해가 되었지만, 석유는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안되었다. 동물이 화석이 될 확율이 극도로 낮다는 점을 생각하면 동물이 한꺼번에 같은 장소에서 갑자기 많이 죽어서 결국 석유까지 될 확율은 매장되어 있는 석유량을 볼 때 더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배울 때마다 당시 과학선생님들께 이해가 안된다고 질문을 드렸으나 속시원한 답을 들어본 적은 없었다. 그렇게 10대에 그 궁금증을 묻고 지금까지 잊고 살았다. 그러다 우연히 생각나서 찾아보니...
비행기가 나는 과학적 원리와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조차 속 시원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질문 중 하나라고 한다. 많은 학설 중 다수의 과학자와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하나는 바다 미생물 이론인데, 이 이야기는 들으면서 고개가 끄덕여질 정도로 납득이 되더라.
... 더 보기방송이나 유튜브 보다보면 경제전문가라 말하는 하락론자와 비관론자가 판을 치는데, 최소 지난 수년, 더 나아가 20여년동안 매번 틀려도 여전히 전문가라고 말하고 다니는 걸 보면 재미있다.
모든 인간사가 그렇듯 인간은 믿고 싶은대로 믿는 존재라 그렇게 믿고 싶은 사람들의 감정적 지지를 받아 밥벌이하고 있다는 건 이해가 된다. 하지만 확율적으로 벌어지기 어려운 천재지변 수준의 사건으로 벌어지는 현상이나 전체 흐름에서 일시적으로 벌어지는 현상, 혹은 인간의 욕망과 본성이 외부적 요인으로 잠시 억눌린 상황에서 현실적 경험 없이 뇌피셜로 몇몇 논리적 근거만으로 설명되는 현상을 바탕으로 자산 가치 떨어지고 세상 망할 것처럼 이야기하는데, 결국 제대로 맞추지도 못하는 사람들을 여전히 추종하는 건 글쎄...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