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 custardcream98/msw-devtools: Framework Agnostic Devtools UI for Managing MSW Request Handlers
GitHub
프론트엔드 개발을 할 때 가장 흔한 문제 중 하나는 백엔드 API가 완성되기 전에 프론트엔드 개발이 멈추는 것입니다. 하지만 MSW(Mock Service Worker)를 사용하면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
MSW는 네트워크 요청을 가로채서, 실제 API가 준비되지 않았더라도 모킹(mocking)된 응답을 통해 프론트엔드 개발을 계속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즉, 백엔드의 개발 진척도와는 독립적으로 프론트엔드를 개발하고 테스트할 수 있죠.
하지만 MSW를 쓰다 보면 점점 늘어나는 핸들러 설정 관리가 번거로워지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저는 이를 더 쉽고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msw-devtools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msw-devtools는 UI를 통해 MSW Request Handler를 쉽게 추가하고 수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export와 import 기능을 제공하여 핸들러 설정을 손쉽게 저장하고, 팀원이나 다른 프로젝트와 공유할 수 있게 합니다. 특히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핸들러 관리가 복잡했던 분들에게 도움이 될 거예요.
msw-devtools는 아직 experimental한 프로젝트로, 여러분의 피드백이 필요합니다. 사용해 보시고 개선할 점이나 아이디어가 있다면 언제든지 알려주세요. 🙏
https://github.com/custardcream98/msw-devtools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0월 4일 오후 3:49
커리어리 질문글에도 보면 일주일에 한번씩은 “ML Engineer, Data Scientist가 되고 싶은데 어떤 것부터 공부를 해야할지 모르겠다.” 는 질문이 자주 올라옵니다. 비슷한 질문이 계속 올라오는 이유는 정해진 답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너무나도 다양한 방식으로 ML Engineer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처음 입문을 하시는 분들은 오히려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몰라 갈팡질팡 하시는 것이죠.
... 더 보기치
... 더 보기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실서비스에 반영할 기능을 가끔 바이브 코딩만으로 개발 해 보는데, 두어달 전만해도 어려웠던 구현이 이제 벌써 가능해졌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