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넌 커서 뭐하고 싶어?”


“인생이 허무해요.” 한 기업 대표가 퇴임 후 함께 한 자리에서 한 말이다. 퇴사하고 나니 인생에서 뭘 한 건지,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한다.

나는 패션에 관심이 많아 뉴욕으로 떠났으나 ‘패션은 좋아하긴 하지만 잘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는 사실을 깨닫고, 경영학으로 대학에 입학했다. 좋아하는 일을 직업으로 하면 잘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헤드헌터가 되고자 NYU에서 인사관리로 석사를 졸업했다.

‘사람’이라는 키워드를 찾아 인재와 이들을 필요로 하는 기업과 함께한 지 20년이 넘었다. 최근 다음 커리어를 준비하는 중년 직장인들의 커리어 코칭 의뢰가 많아지고 있다.

“넌 커서 뭐하고 싶어?”
어릴 때 받았던 질문을 이제 자신에게 던져보기 바란다.
새롭게 시작할 인생, 답은 이미 당신 안에 있다.

‘내가 원하는 것’, ‘내가 잘 하는 것’이 무엇인지, 단순하지만 강력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부터 시작해보자.

#뭐할래 #뉴스타트 #새로운인생 #시작
#커리어코치 #김소진 #테헤란로소진언니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0월 5일 오전 11:4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행동이 답이에요, 목표는 거들 뿐 >

    1

    ... 더 보기

    먹은 뒤의 흔적’만 보여준다. 하겐다즈의 광고에 주목하게 되는 이유

    ... 더 보기

    회사가 직원들에게 요구하는 것 중 하나가 ‘애사심’이다. 애사심은 분명히 숭고한 가치이지만, 그렇다고 강제로 요구한다고 생기는 것은 아니다. 직원들이 먼저 회사에 자부심을 갖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자연스럽게 애사심도 고취될 수 있다.

    ... 더 보기

    직원들 자부심 챙기면 애사심은 절로 나온다

    서울경제

    직원들 자부심 챙기면 애사심은 절로 나온다


    팀에서 중간 직급을 맡게 된다는 건 무엇을 의미할까요? 아래로는 후배를 챙겨야 하고, 위로는 상사를 모셔야 하는 ‘이중고’에 시달리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후배를 챙기는 것보다 더 중요하고 더 난이도가 높은 게 상사와의 케미를 끌어올리는 건데요. 그런데 이게 말처럼 쉽지가 않습니다.

    ... 더 보기

    [ 좋은 리더십은 좋은 팔로어십으로부터 ]

    01. 흔히 '리더십은 이끄는 것이고 팔로어십은 따르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뭐 구조만 두고 보면 아주 틀린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를 마치 작용과 반작용처럼 생각하면 그때부터는 조직 내에서 큰 오해가 생길 수 있죠. 때문에 이 둘 사이의 방점은 '상호보완적'이라는데 찍혀야 함이 분명합니다. 02. 우리 주변에서 리더가 된 사람들 중 이런 유형이 있습니다. 일을 할 때 다른 사람들보다 자신의 의견을 더 잘 메이킹하고, 상위 리더의 지시를 누구보다 빠르게 잘 따르며, 피플 매니징에 대한 의욕이 높은... 더 보기

     • 

    저장 35 • 조회 2,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