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모든 음악은 사실 이전 음악들의 리믹스다 >

1
내 자리를 위협받고 있다는 데서 오는 섬뜩함, 그다음에 찾아오는 것은 무력감이다.



​2
나에게 있어서 창작이란 자유와 같은 의미다. 세상을 살면서 온전히 내 의지로 통제할 수 있는 부분, 그것이 바로 창작의 영역인 것이다.



​3
그 작디작은 영역마저 온전히 내 마음대로 할 수 없어진다고 생각하면, 무력감을 느끼지 않을 도리가 없다.



​4
가만, 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 창작이라는 것이 정말로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인가?



5
세상의 모든 음악은 결국 이전에 나왔던 음악들의 리믹스에 불과하다는 말도 있다.



​6
얼핏 극단적인 것처럼 들리는 이 이야기는 곱씹을수록 생각보다 반박하기가 쉽지 않다.



#상관없는거아닌가
#장기하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0월 24일 오전 2:0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퇴근길 작은 트럭에게 약속의 무게를 배우다 >

    1

    ... 더 보기

    《쓰기와 참기》

    ... 더 보기

    월급 루팡의 최후, SNS때문에 해고당했다!

    ... 더 보기

    브랜드 경영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경영자는 이 질문에 “브랜드를 운영하는 것”이라고 답한다. 이 답변에 재차 확인을 구하는 질문을 하면 멋쩍은 웃음과 함께 “브랜드를 ‘잘’ 운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 더 보기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The Unitas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조회 295


    한국 스타트업 & 인수합병 역사에 길이길이 남게될 deal. 알고보니 숨은 승자는 당시 딜을 뺏긴 네이버..?

    ... 더 보기

    카카오엔터, 美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 서비스 종료

    조선비즈

    카카오엔터, 美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 서비스 종료

    조회 279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