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 기여 일지 #3

프론트엔드 생태계에서 리액트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중 하나임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은 적을 것이다.


그만큼 리액트 코드베이스에 코드 기여를 하는 일은 쉽지 않다. 적은 수의 메인테이너들이 세계 곳곳의 개발자들이 올린 Pull Request들을 일일이 확인해 주는 것만 해도 감사할 따름이다.


몇일전, 나는 리팩토링 PR을 올렸다. 내용은 간단했다. isReactClass이라는 함수가 두 군데에서 따로 선언되고 사용되고 있음을 발견했고, 이를 기존 packages/shared이라는 디렉토리에 따로 파일을 만들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끔 하였다.


테스트도 통과하고 CI도 통과하였지만 메인테이너 분은 보통 이런 리팩토링 PR은 받아주지 않는 편이라고 하여 closed 되었다.


아쉽지만 충분히 이해할만하였고 다음을 기약해본다.


https://github.com/facebook/react/pull/31419

refactor: `isReactClass` shared util function by saul-atomrigs · Pull Request #31419 · facebook/react

GitHub

refactor: `isReactClass` shared util function by saul-atomrigs · Pull Request #31419 · facebook/react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1월 16일 오전 4:5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Vanilla JS 사세여~

    조회 952


    OpenAI의 오픈소스 모델 gpt-oss 시리즈의 차별점(?) 중에 하나는 가중치를 4.25bit 양자화해서 공개했다는 것이다.

    ... 더 보기


    간밤에 OpenAI가 오픈소스 모델을 발표했네요.

    ... 더 보기

    < 몇 번 졌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인생은 결국 득실차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2 • 조회 826


    대 AI 시대에 한국인으로써 오프소스에 좀 더 기여하기 수월해진(?) 부분이 있는데, LLM을 사용하는 프로젝트에는 상당히 높은 확률로 CJK 문자처리 문제가 존재한다.


    물론 CJK 문제를 제기하면 열심히 해결하고 있다거나, 잘 모른다거나 이슈 아니라거나하면서 까이는 경우가 많긴하다. 나도 OpenAI 토크나이저에 한 번 이슈제기했다가 까인 적 있고, 요즘도 여기저기 엄청 까이고 다니고 있.. ㅋㅋ


    그래도 최근들어 K-컬춰가 대세가 되다보니 이슈 자체는 꽤 수월하게 이야기 할 수 있게 되었다. 10년전만해도 CJK 이슈 제기하면 그게뭐임? 먹는거임? 했었다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