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taetaetae.github.io
조금 더 자세히 얘기를 해보자면 트래픽을 받는 것은 회사가 아니면 경험하기 어렵지만, 크롤링과 같이 직접 트래픽을 만들어보는 것은 성능 튜닝이 비교적 용이합니다.
어떻게 해야 최대한 동시에 많은 양을 요청하고 파싱하고 처리할 수 있을까를 고민해보며 CS레벨까지 접근할 수 있고, 작업관리자를 통해 CPU와 네트워크 자원을 최대한 쥐어짜내고 있는지 모니터링도 가능합니다.
크롤링이 막는 곳은 어떤 기준으로 동일한 사람이 요청하는 것임을 식별하는것인지를 보면서 프로토콜 스펙도 열어볼 수 있고요.
대용량 트래픽 받는 것을 경험해보지 못했다면 만들어보는건 어떨까요??
** 크롤링은 윤리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타인의 비즈니스를 방해하는 행위가 될 수 있습니다. 가급적 자신의 서버에 테스트를 해보시길 권장합니다.
박중수
F-Lab CEO
내 컴퓨터 1대만으로 많은 트래픽을 직접 만들어내려면 컴퓨팅 자원을 최대한 쥐어짜야합니다. 그러는 과정에서 CS를 자연스럽게 접하며 성능 튜닝에 대한 인사이트도 얻을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12월 5일 오전 3:27
�
... 더 보기어떤 서비스가 버그를 가진채로 출시되었고, 사용자들이 그 버그를 전제로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면, 그리고 그 위로 너무 많은 새로운 기능들이 쌓여있다면 그건 버그가 아니라 스펙(기능)이라는, 언젠가부터 들었던 업계의 유명한 블랙 유머다.
... 더 보기프
... 더 보기1. 우리가 하는 많은 일이 처음입니다. 외부에서도 경험한 사람이 없는 일입니다.
지
... 더 보기달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