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epSeek

가성비 좋은 생성형AI…챗GPT 개발비 20분의1?
스푸트니크 모먼트?…美반도체·전력株 줄줄이 급락
美수출 규제 강화?…트럼프 "좋은일..美에 경각심"

엔비디아 추락시킨 中딥시크가 뭐길래[5분 Q&A]

https://naver.me/GhbD3rPY


△딥시크는 2023년 5월 설립된 중국의 AI회사로, 지난 22일 오픈소스 AI 모델 ‘딥시크-R1’을 무료로 출시했다. R은 강화(Reinforcement)의 약자로 강화학습을 의미한다. 강화학습만으로 학습된 모델인데 저비용으로 개발해 성능도 우수하다는 게 강점이다. 이 제품은 일부 성능 테스트에서 오픈AI가 작년 9월 출시한 추론AI모델 ‘o1’과 동등한 성능을 보였고, 이전 버전인 ‘o1-mini’보다 앞선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딥시크는 미국 AI업체들이 요구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비용인 600만 달러 미만의 비용으로 단 두 달 만에 개발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딥시크가 개발 경과를 설명한 기술보고서에 따르면 챗GPT와 비슷한 성능의 ‘딥시크’ 개발에 투입된 비용은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에 그친다. 엔비디아의 저사양 ‘H800 GPU’를 시간당 2달러에 2개월 동안 빌린 비용으로 계산됐다. H800은 미국의 고성능 칩 수출 규제로 엔비디아가 H100 사양을 낮춰 출시한 칩이다. 챗GPT 개발에 1억달러가 달한 것으로 알려진 것을 고려하면 약 20분의 1 수준이다. AI칩으로 활용되는 그래픽처리장치(GPU)수도 10만개가 아닌 2048개에 불과했다.


△중국 광둥성 출신인 1985년생인 량원펑으로, 공학 분야 명문대인 저장대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대학을 졸업하고 2015년 대학 친구 2명과 함께 ‘하이-플라이어’(High-Flyer)라는 헤지펀드를 설립, 컴퓨터 트레이딩에 딥러닝 기법을 적용해 자금을 끌어모았다.

펀드의 자산은 80억 달러(약 11조5000억 원) 수준으로 불어났고, 량원펑은 소규모 AI 연구소를 운영하다 독립 회사로 분리해 딥시크를 창업했다.

△미국의 수출 규제로 중국은 최첨단 AI칩을 구매할 수 없다. 이에 엔비디아가 사양을 낮춰 개발한 H800칩으로 생성형AI를 개발했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수출 규제가 나오기 전에 중국이 이미 상당량을 구매했거나, 또는 제3국을 통해 우회에 구입해서 AI를 개발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지만 확인된 바 없다.


△AI기업이 AI를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엔비디아의 최첨단 AI칩이 필요하다는 게 일반적인 담론이었다. 알파벳, 메타, 아마존 등 하이퍼스케일러가 AI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막대한 투자를 하며 엔비디아의 고가 AI칩을 구입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런데 딥시크가 최첨단 AI칩을 사용하지 않고 저가로 생성형AI를 개발하자 하이퍼스케일러의 과잉 투자 우려가 다시 제기됐다. 이에 엔비디아칩 구매가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2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엔비디아주가가 17%나 급락했다. 엔비디아를 추격하고 있는 AMD 주가도 6.37% 급락했다. 초전력 반도체 설계회사 암홀딩스 ADR주가는 10.19%, 극자외선(EUV) 노광장비업체 ASML 홀딩 ADR도 10.19% 빠졌다. AI칩을 위탁생산하는 TSMC ADR 역시 13.3% 떨어졌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SOX)는 9.15% 급락했다.

△AI 인프라 특수 기대감에 상승세를 탔던 전력공급업체 콘스텔레이션 에너지는 20.85%, 비스트라 에너지는 28.27%, GE버노바는 21.52% 폭락했다. 데이터센터 전력공급 및 냉각장치 솔루션 기업 버티브 홀딩스 주가도 29.88% 급락했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투자한 핵분열 원자로 회사 오클로 26% 떨어졌다. 거대한 AI데이터센터를 구동하려면 어마어마한 전력이 필요한데 막상 데이터센터가 그렇게 늘지 않으면 전력 수요도 줄 수 있다는 전망이 커졌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의 AI굴기를 막기 위한 수출 규제를 강화했다. AI칩 제조업체와 장비업체에 대해 중국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를 계속 내놓으면서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예상과 달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 기업의 AI인 딥시크 출시는 우리 업계가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집중해야한다는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중국의 일부 기업은 더 빠르고 훨씬 저렴한 인공지능 방법을 개발하기를 원한다”며 “그렇게 되면 돈을 많이 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좋은 일이다”고 언급했다.

이어 “나는 그것이 긍정적인 일이고 자산이라고 본다”며 “그것(딥시크의 AI 개발)이 정말 사실이고 진실이라면, 나는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왜냐하면 여러분도 그렇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면 돈을 많이 쓰지 않고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수십억 달러를 지출하는 대신 적은 비용을 지출하게 될 것이고, 트럼프 행정부 아래에서 같은 솔루션을 찾길 바란다”고 했다. 이런 발언을 고려하면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로 수출 규제를 내놓을 가능성은 일단 낮아 보인다.

엔비디아 추락시킨 中딥시크가 뭐길래[5분 Q&A]

네이버 폼

엔비디아 추락시킨 中딥시크가 뭐길래[5분 Q&A]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1월 28일 오전 3:2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지인 추천

    

    ... 더 보기

    감정의 늪에서 벗어나야 재취업 문이 열린다! #재취업

    h

    ... 더 보기

    - YouTube

    www.youtube.com

     - YouTube

    커리어를 쌓아야 할 때 알아야 하는 잔인한 사실들

    1

    ... 더 보기

     • 

    저장 39 • 조회 1,597


    유저 리서치와 AI, 실무자 인사이트 엿보기 : 레드버스백맨

    ... 더 보기

    🎙️ 유저 리서치와 AI, 실무자 인사이트 엿보기 : 레드버스백맨

    팁스터

    🎙️ 유저 리서치와 AI, 실무자 인사이트 엿보기 : 레드버스백맨

     • 

    댓글 2 • 저장 4 • 조회 541


    VIG파트너스는 카카오모빌리티 소수 지분 투자를 위한 투자자 모집을 진행 중이다. VIG 측은 TPG(29.04%), 칼라일(6.18%), 한국투자증권·오릭스PE(5.35%) 등 카카오모빌리티 기존 투자자들이 보유 중인 지분 약 40% 이상을 인수하는 거래를 추진하고 있다.

    ... 더 보기

    카카오모빌리티 FI 지분 인수 나서는 VIG…국내외 금융사·LP '온도차'

    www.investchosun.com

    카카오모빌리티 FI 지분 인수 나서는 VIG…국내외 금융사·LP '온도차'

    조회 521


    브랜드 이미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