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왓챠 아님. 콘텐츠 리뷰 서비스 왓챠피디아)

——

왓챠는 지난 1월 운영 중인 콘텐츠 플랫폼인 왓챠피디아의 MAU(월간 활성화 사용자 수)가 400만을 돌파했다. 이는 콘텐츠 관련 플랫폼의 MAU로는 보기 힘든 수치다. 금융, 배달 등 생활 속에 필수 서비스의 MAU와 맞먹는 수준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90291?sid=105


왓챠피디아, MAU 400만 돌파…"콘텐츠 종합 플랫폼 역할 톡톡"

n.news.naver.com

왓챠피디아, MAU 400만 돌파…"콘텐츠 종합 플랫폼 역할 톡톡"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2월 8일 오전 3:2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앞으로의 코테는 설명을 주고 코드를 짜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코드를 주고 설명을 하라는 것이 유효할 것이다.


    내 경우는 이미 그렇게 하고 있는데, 요구사항을 주고 개발을 요청. 결과물이 요구사항대로 개발이 잘 되었다면, 다음 단계로 제출한 코드를 리뷰하며 설명을 요청한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2 • 조회 1,522


    AI 시대가 열리면서, 역설적이게도 역대 최대의 인재 영입 전쟁이 벌어지

    1

    ... 더 보기

    [팩플] AI는 사람 싸움…빅테크, ‘애크하이어’로 인력 확보 경쟁

    n.news.naver.com

    [팩플] AI는 사람 싸움…빅테크, ‘애크하이어’로 인력 확보 경쟁


    리더의 성격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Clay는 AI를 통해 50개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영업팀이 잠재 고객을 빠르게 찾도록 돕는 아웃바운드 마케팅 중심의 리드 생성 소프트웨어입니다. Clay 공동 창업자 Kareem Amin의 인터뷰 중, 창업가의 성격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이 담긴

    ... 더 보기

    어렸을 때 항상 갖고 있던 궁금증 중 하나는 비행기가 어떻게 하늘을 나는지였다. 과학시간에 비행기는 양력에 의해서 뜨게되고 하늘을 날 수 있다고 배웠고 공기흐름의 속도 차이가 힘을 만들어낸다는 것까지는 이해할 수 있었지만 비행기 날개 아래와 위로 흐르는 공기가 날개 앞부분에서 같이 시작해서 끝부분에 같이 도착하기 때문에 속도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은 좀처럼 이해가 되지 않았다. 아래 위로 갈라진 공기가 시작과 끝을 같이 한다는 걸 전제로 깔고 설명이 되어있다보니 내 입장에선 너무 궁금했지만 과학선생님을 비롯 주위사람들이 이는 마치 '1+1=2'인데 왜 궁금해하느냐 같은 반응을 보여서 끝내 궁금증을 풀지 못했다. 그렇게 수십년이 흘렀는데...


    최근 갑자기 이 생각이 떠올라서 찾아봤다. 일단 이런 생각을 나만 하진 않았다는 사실이 너무 반가웠다. 과학자들과 항공기 설계사 등 이 분야 전문가들이 나온 여러 콘텐츠들을 봤는데, 비행기가 하늘을 나는 이유는 양력으로 설명되지 않는다가 결론이었다.

    ... 더 보기

    < 내 아이디어는 완벽한데, 왜 아무도 이해하지 못할까? >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