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동료가 내 이직을 결정한다고?_100건 이상 유경험 헤드헌터의 조언

한 컨설팅 멘티가 전해준 고민입니다.

하지만 재직자 입장에서 아직 채용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

평판조회를 한다는 것은 여러 두려움들을 유발하기 마련입니다.

그럼 평판조회 왜 진행할까요?

1. 채용 전 인재의 해상도를 높입니다.

2. 리스크 헷징, 인재를 거르기 위해서 입니다.

이력서, 면접을 통해 의사결정을 내렸지만,

한정된 기회로 사람을 판단하기 어렵겠지요?

역량이 허위인지, 과장인지, 실제인지를 파악하기 어렵고요.

그렇다면 뭘 물어보고,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23년 잡플래닛과 인터뷰때, 기자님의 질문에

난색을 표하며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이직의 재료가 경력, 즉 현재 회사의 성과와 태도인 것처럼,

평판조회도 평소 동료들과 신뢰를 쌓고, 업무에 주도적으로,

내 일을 책임있게 행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원론적으로 뻔하게 들리시겠지만, 사실 다른 방법이 있을지,

그 방법이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예요."

정답은 없을지언정, 오답은 존재할 것입니다.

아래 EO에서 좀더 자세히 이야기해봤습니다.

https://eopla.net/magazines/26544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2월 21일 오전 8:1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콤플렉스는 고통의 실체》

    ... 더 보기

    조회 586


    진짜 1인 개발자 전성시대

    1

    ... 더 보기

    진짜 1인 개발자 전성시대

    K리그 프로그래머

    진짜 1인 개발자 전성시대

    Building the Facial Recognition System

    최근 AI는 LLM(대규모 언어 모델)의 등장과 함께 강력하고 대중화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LLM의 자기 추론 능력과 빅데이터 모델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으며, 기업과 기관들은 이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LLM은 응답 지연(latency)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대규모 데이터 처리를 위해 확장하는 과정에서 비용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더 보기

    조회 989


    사업아이템과 고객 검증을 통한 사업아이템 고도화

    ... 더 보기

    혹시 Claude 나 cursor 등 AI 로 개발하실 때
    뭔가 AI 스러운 뻔한 디자인 때문에

    ... 더 보기

    LinkedIn

    www.linkedin.com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