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획된 적자' 란 없다. 거액의 적자를 내는 기업은 '계획된 적자'라는 미명하에 손실을 당연시 하고 투자 받는다. 거애의 적자를 내는 기업이 천문학적인 금액의 가치로 평가받는다. 적자를 내는 기업들이 성공할지 실패할지는 두고보면 되겠지만 이들은 미래의 수익을 담보로 '찬란한 꿈'을 세일즈하고 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무신사는 설립 이후 한 해도 빠짐없이 이익을 냈다. 2018년 매출액 1,081억 / 영업이익 269억, 2019년 매출액 2,197억 / 영업이익 493억을 기록했다. 프리챌 커뮤니티로 시작해 웹진, 쇼핑몰가 추가되며 지금의 무신사를 만들었고, 무신사는 실속을 추구한다. 이익이 남아야 비즈니스를 하니까.

이익이 남아야 비즈니스를 하죠- 무신사

www.openads.co.kr

이익이 남아야 비즈니스를 하죠- 무신사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1월 30일 오전 3:5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OpenAI가 발표한 Codex의 핵심은 AI와 함께 진짜 팀으로 일하는 것 같은 경험을 준다는거네요.


    기존의 코딩 어시스턴트는 Agent라는 이름을 붙였어도 결국은 자동완성의 확장에 그치는 것이라, 즉, 나의 뇌를 확장하는 것이라 한계가 좀 명확했는데요.


    ... 더 보기

    차세대 파이썬 패키지 매니저 uv 소개 영상

    h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18 • 조회 3,799


    Dependabot을 통한 안전한 의존성 관리

    ... 더 보기

    샘 알트만: "지금 당신이 o3보다 더 똑똑하다고 생각하세요?"


    ... 더 보기

    샘 알트만: "지금 당신이 o3보다 더 똑똑하다고 생각하세요?" : 오호츠크 리포트

    55check.com

    샘 알트만: "지금 당신이 o3보다 더 똑똑하다고 생각하세요?" : 오호츠크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