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생성한 파이썬 코드를 더 빨리 파악해보자 : pyhunt

AI 코딩 시대가 도래하면서, 이제는 코드를 직접 작성하기보다는 생성된 코드를 분석하고 검토하는 데 훨씬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습니다.


특히 어디서 어떤 함수가 호출되는지, 흐름을 파악하는 데 많은 노력이 들고, 에러 수정이나 리팩토링 과정에서 구조 자체가 바뀌는 일도 흔해졌습니다.

프로젝트 규모가 커질수록 작업에 들어가는 시간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됩니다. 이처럼 점점 복잡해지고 번거로워지는 디버깅 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트리 시각화 로깅 툴 pyhunt를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pyhunt 는 코드 실행시 에러가 발생한 라인이나 새로 정의된 함수들의 구조를 터미널 내에서 직관적인 트리 형태로 시각화해줘서 코드의 흐름을 빠르게 파악하고, 디버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습니다.

빠른시작

pip install pyhunt
hunt 

.env 파일에 HUNT_LEVEL=DEBUG환경변수가 추가됩니다. 이후 부터 추적이 활성화 됩니다.


from pyhunt import trace

@trace
def test(value):
    return value

함수에 @trace 데코레이터를 추가합니다.

자세한 실행 예시는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실행 예시
https://youtu.be/grFbE6qus4c

깃허브

https://github.com/EasyDevv/pyhunt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4월 12일 오전 11:35

조회 11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이 문제는 왜 해결해야 하죠?” 토스페이먼츠의 Product Manager는 늘 이 질문에서 시작합니다. 화면을 기획하거나, 기능을 정리하는 일보다 먼저 우리는 문제의 본질을 정의하고 싶은 사람들입니다. 그렇다면 ‘문제의 본질’부터 고민하는 토스페이먼츠의 PM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일하고 있을까요? 토스페이먼츠 PM 김명훈님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세요.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toss.im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글을 잘 쓰는 사람이 대체로 일도 잘 합니다

    1

    ... 더 보기

    www.folin.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