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력과 결과를 구분하기: 본질에 집중하라

  1. 고생을 한 나 자신을 알아주는 것은 중요하다.

  2. 그러나 내가 시간 등의 자원을 투자를 하고 고생을 했다고 해서 문제의 본질을 왜곡하고 호도하면 안 된다.

  3. 내가 고생한 건 고생한 거고, 문제의 본질은 달라지지 않는다. 즉, “노력은 본질이 아니다.” 내가 고생만 하고 실패했다고 억울해할 필요 없다. 즉, 징징대면 안 된다. 징징댈 시간에 문제의 본질을 혹시 놓치지 않고 있는지 스스로를 점검하고 돌아봐야 한다.

  4. 예컨대, 내가 가지고 있는 100이라는 총 자원에서 그 50%인 50이나 써서 투자를 했다고 해서 500을 써야만 성공하는 문제에서 내가 잘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나는 이제 겨우 500의 10%인 50을 달성했을 뿐이다. 이 경우에는 당연히 투자를 대폭 늘려야 한다.

  5. 내가 마음 공부를 하고 멘탈 관리를 한다고 내 실력이 저절로 나아져서 성공을 하는 것은 아니다. 당연히 마인드가 우선이지만 마인드는 본질에 집중해서 투자하는 시간과 항상 함께 간다. 즉, 주 7시간 하는 마인드와 주 20시간 하는 마인드와 주 40시간 하는 마인드는 각각 전혀 다르다. 당연히 주 40시간 하는 마인드가 더 상급이다.

  6. 예컨대, 내게 지금 가장 중요한 일에 주 7시간밖에 시간을 투자하지 않으면서 본인이 최고의 멘탈리티를 가졌다고 자부하는 것은 말이 되질 않는다. 완전 쓰레기 마인드 아닌가? 이처럼 마인드는 내가 정성껏 투자하는 시간에 비례해 결정된다. 더 많은 시간을 들이면 더 많은 경험을 얻고, 자연스럽게 더 나은 마인드를 저절로 갖추게 된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4월 28일 오후 11:4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개발자를 위한 인터넷에 글 쓰는 법

    글을 잘 쓰는 법은 두 가지로 나뉜다.

    ... 더 보기

    이 글 하나면 끝, SQL 추천 책부터 코테 노하우까지 완전 정복하기

    ... 더 보기

    이 글 하나면 끝, SQL 입문부터 코딩테스트까지 완전 정복하기

    datarian.io

    이 글 하나면 끝, SQL 입문부터 코딩테스트까지 완전 정복하기

    간밤에 Claude Opus 4.1이 발표되었네요.

    ... 더 보기

    조회 1,442


    📝 음성 AI를 이용한 채용 인터뷰 실험 논문

    ... 더 보기

    사람과 데이터

    

    ... 더 보기

    신입, 경력직 회사 생활과 자기 계발에 필요한 것

    간단한데 생각보다 사람들이 하지 않는 사소한 습관 1️⃣ 내가 맡은 공식, 비공식 업무 및 서류 기록하기 많은 사람들이 하는 큰 착각은 “다른 사람들이 내가 무슨 일 맡은지 아니까”라며 따로 개인 업무 기록를 안한다. 코드 짜기와 서류 및 보고서 작성하기 등등 결과가 확실한 업무라도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 중에 세세한 코드 변경이나 작성하는 문서가 생긴다. 결과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모든 서류와 코드는 나중에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곳에 링크를 모아두자. 그리고 가능하면 모든 것을 문서화 하거나, 보여줄 수... 더 보기

     • 

    댓글 18 • 저장 506 • 조회 11,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