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스타트업 IR덱에 (반드시) 들어가야 할 11가지 항목> 1. 회사 요약 : 무엇을 하는 회사인지를 한 문장으로 명확하게 서술하면 좋습니다. 회사의 스토리를 고민하고, 스토리 속 핵심 키워드를 뽑아내 문장을 완성하기를 추천합니다. 2. 문제 : 회사가 사업하기 위해 관찰한 핵심 시장, 고객의 문제 혹은 니즈가 무엇인지 설명합니다. 3. 해결 방안 : 회사가 발견한 문제 혹은 니즈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이고, 이것이 어떤 효용을 가져다주는지 서술합니다. 즉, 회사가 어떤 가치를 전달할 것이고, 이 사업이 지속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면 좋습니다. 4. 시장 : 회사가 속해 있는 전체 시장 혹은 핵심 시장 등을 말해주시면 됩니다. 5. 경쟁 상황 : 시장 안에서 우리와 유사한 회사를 설명합니다. 그들에 비해 회사가 정량적/정성적 관점에서 어떤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는지도 분석합니다. 또 어떻게 경쟁 기업을 이길 수 있을지 전략을 설명해주시면 됩니다. 6. 비즈니스 모델 : 비즈니스 모델은 사업을 통해 어떻게 수익을 낼 것인지를 보여주는 구조입니다. (물론) 초기 스타트업 특성상 매출이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다면 실제 매출 달성을 위한 마일스톤이 있을 겁니다. 향후 시점에 따라 마일스톤별 주요 지표는 무엇인지, 목표는 무엇인지, 왜 이러한 목표와 수치를 가정했는지에 대한 논리적 설명이 필요합니다. 7. 핵심 지표 : 비즈니스 모델에서 주요 지표를 설정했다면, 각 지표별 회사의 현황은 어떤지를 말해주시면 됩니다. 8. 팀 : 회사의 핵심 멤버를 설명합니다. 사업의 핵심 역량과 멤버들의 기존 경험 사이에 연관성이 있으면 좋습니다 . 9. 재무 목표 예상치 : 대략 내년부터 3개년 재무적인 목표 예상치를 밝힙니다. (다만) 반드시 그 근거가 필요하겠죠. 10. 비전과 마일스톤 : 회사의 현재 모습을 넘어서 미래 청사진을 공유하는 겁니다. 진정 회사가 되고 싶은 모습은 무엇이고, 이를 위해 밟아야 할 중간 목표들(마일스톤)은 어떻게 만들어나가야 할지 포괄적으로 제시하는 겁니다. (이 부분은) 당연히 현재 회사 현황을 나타내는 장표에 비해 근거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이를 제시해야 합니다. 벤처캐피탈은 스타트업의 비즈니스가 확장하고 성장했을 대 과연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를 그려야 합니다. 심사역에게 상상력의 재료를 제시하십시오. 11. 투자 규모와 사용처 : 투자 받은 자금을 어떤 분야에 어떤 목적으로 쓸지를 설명합니다. - 뮤렉스 파트너스, <LEAD WITH MUREX> 중

2020년 12월 2일 오전 5:22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