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이팝레이더 2.0이 런칭되었습니다.
stibee.com
1. 삶의 대부분을 글로벌 매크로 투자자로 살아오면서 나는 인과관계를 이해하고 모델링하려고 노력했으며, 내 모델을 이용해 시장에서 일어날 일에 베팅하곤 했다.
2. 그렇게 하기 위해 지난 약 35년 동안 내가 내리는 결정과 똑같은 결정을 컴퓨터가 내릴 수 있도록 자동화된 전문가 시스템을 만들었다.
3. 이러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원칙에 기반한다.
4. 의사결정 시스템은 시대를 초월하는 보편적인 관계에 기반해야 한다. 즉, 모든 시간대와 모든 국가에서 일어나는 크고 중요한 발전을 (반드시 정확 하거나 상세하게는 아니더라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5. 만약 모든 시간대와 모든 국가에서 일어나는 큰 발전을 설명하지 못한다면 이는 중요한 영향 요인이 빠져 있으니 그 요인이 템플릿/모델에 추가되어야 한다는 의미다.
6. 내가 구축한 전문가 시스템은 말하자면 이전 시대의 인공지능이다.
#빅사이클 📚
#레이달리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7월 21일 오전 12:56
1
... 더 보기초중고딩 어렸을 적 과학시간에 석유와 석탄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배울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냥 외웠었다. 석유는 공룡을 비롯 동물이 죽어서 만들어지고 석탄은 식물이 죽어서 만들어진다고 배웠는데, 석탄이야 식물이 워낙 많았고 죽으면 자연스럽게 땅에 묻히니 그럴 수도 있겠다 이해가 되었지만, 석유는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안되었다. 동물이 화석이 될 확율이 극도로 낮다는 점을 생각하면 동물이 한꺼번에 같은 장소에서 갑자기 많이 죽어서 결국 석유까지 될 확율은 매장되어 있는 석유량을 볼 때 더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배울 때마다 당시 과학선생님들께 이해가 안된다고 질문을 드렸으나 속시원한 답을 들어본 적은 없었다. 그렇게 10대에 그 궁금증을 묻고 지금까지 잊고 살았다. 그러다 우연히 생각나서 찾아보니...
비행기가 나는 과학적 원리와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조차 속 시원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질문 중 하나라고 한다. 많은 학설 중 다수의 과학자와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하나는 바다 미생물 이론인데, 이 이야기는 들으면서 고개가 끄덕여질 정도로 납득이 되더라.
... 더 보기창업 기초, 창업 로드맵, 나도 한번 창업을 해볼까? 이 궁금증을 해결하는 'PBR B라운지 : (직장인 이후의 삶을 위한) 사업 아이디어 선명하게 다듬기' 과정 오늘 저녁 드디어 시작! 😊
... 더 보기방송이나 유튜브 보다보면 경제전문가라 말하는 하락론자와 비관론자가 판을 치는데, 최소 지난 수년, 더 나아가 20여년동안 매번 틀려도 여전히 전문가라고 말하고 다니는 걸 보면 재미있다.
모든 인간사가 그렇듯 인간은 믿고 싶은대로 믿는 존재라 그렇게 믿고 싶은 사람들의 감정적 지지를 받아 밥벌이하고 있다는 건 이해가 된다. 하지만 확율적으로 벌어지기 어려운 천재지변 수준의 사건으로 벌어지는 현상이나 전체 흐름에서 일시적으로 벌어지는 현상, 혹은 인간의 욕망과 본성이 외부적 요인으로 잠시 억눌린 상황에서 현실적 경험 없이 뇌피셜로 몇몇 논리적 근거만으로 설명되는 현상을 바탕으로 자산 가치 떨어지고 세상 망할 것처럼 이야기하는데, 결국 제대로 맞추지도 못하는 사람들을 여전히 추종하는 건 글쎄...
... 더 보기U
... 더 보기Clay는 AI를 통해 50개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영업팀이 잠재 고객을 빠르게 찾도록 돕는 아웃바운드 마케팅 중심의 리드 생성 소프트웨어입니다. Clay 공동 창업자 Kareem Amin의 인터뷰 중, 창업가의 성격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이 담긴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