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양한 측면에서 기획 선배님들의 의견을 묻고싶어 글을 썼습니다. 많은 고견 부탁드려요. 은행 어플 이용성 측면에서 통합화 vs 멀티화에 대한 의견이 궁금합니다. 조금 더 풀어쓰자면 이렇게 쓸 수 있을 것 같아요. 한 번에 모든 기능을 찾을 수 있도록 은행 어플 갯수를 최소화하여 통합한다. vs 필요한 기능 별로 찾아 사용하도록 기능을 쪼개 은행 어플을 멀티오 둔다. 운영 측면에서나 유저의 경험 측면에서나 저는 전자가 맞다고 생각해요. 정책 바뀔때마다 수많은 어플을 일괄 업데이트해야한다면 운영 측면에서도 불편하고, 유저 입장서도 그 앱들의 용량과 업데이트시 필요한 데이터 사용에 있어서도 부담스럽구요. 이용성 문제가 아니더라도 비용이나 실험 측면에서라도 멀티로 가져갔을 때의 이점이 있을까요? 관련 업종서 일하시는 분들께서 답변 달아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무슨 이벤트 한다고 어플을 깔다보니 특정 회사 은행 어플이 너무 많아 한탄 겸 올려봅니다 ㅠㅠ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2월 27일 오전 8:4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테드(TED) 강의장에 황소가 등장했다. <생각의 공유> 저자 리오르 조레프는 청중에게 황소 무게를 예측해 보라고 제안한다. 그러자 140㎏에서 3t까지 다양한 오답이 쏟아졌다.

    ... 더 보기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왜 공동체에 집단 지성이 필요한가?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6 • 조회 4,087



    Replit 이용 후기

    최근 Replit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남겨봅니다.

    ... 더 보기

    v0.dev를 이용해서 바이브 코딩할때 활용할 수 있도록 PRD 프롬프트를 작성했습니다.

    ... 더 보기

    v0.dev PRD Generator (Pro Ver.)

    SuperPM

    v0.dev PRD Generator (Pro 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