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가 가진 압도적인 힘의 근원> 1. 흔히 사람들은 넷플릭스의 성공 요인으로 조직 문화, 추천 알고리듬, 뛰어난 프로덕트 등을 거론합니다. 2. 하지만 이것들은 넷플릭스의 성공에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한 요인들은 아닙니다. 진정으로, 넷플릭스의 성공에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탁월한 비즈니스 전략’이었고, 3. 그 덕분에 넷플릭스는 DVD 대여에서 스트리밍으로, 스트리밍에서 디지털 콘텐츠 제작사로 거의 완벽한 타이밍에 넘어갔습니다. 4. DVD 대여업으로 사업을 시작했지만, 사업 초기부터 넷플릭스 창업자들은 기술이 발전하면 곧 스트리밍 세상이 올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5. 물론, 기술이 발전하면 스트리밍 세상이 온다는 걸 넷플릭스 창업자들만 알고 있던 건 아니었는데요. 사실 많은 사람들이 예견했죠. 6. 기술도 이미 있었고, 무엇을 해야 할지도 다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넷플릭스보다 빨리 스트리밍을 시도한 회사도 있었고요. 7. 이런 상황에서, 넷플릭스의 창업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언제'였고, 그다음은 ‘어떻게’ 였습니다. 8. 즉, 넷플릭스는 사업 초기부터 언제 어떻게 스트리밍으로 전환할 것인지를 고민했고, 최선의 타이밍과 방법을 고민해왔다는 의미입니다. 9. 그래서 넷플릭스는 2007년부터 전체 매출의 1~2%를 스트리밍에 투자하면서 무수한 실험을 시도했고, 최적의 타이밍을 찾았습니다. 10. 그렇게 4년간의 실험 끝에 넷플릭스는 자신들이 생각한 최적의 타이밍에 스트리밍으로 전환했고, 스트리밍 전환 후 압도적인 스케일업을 만들어냈습니다. 11. 그리고 스트리밍이 확산되면 그다음엔 콘텐츠 전쟁이 펼쳐질 것이라는 것도 누구나 예상한 그림인데요. 12. 다만, 콘텐츠 비즈니스는 계속 돈이 들지만, 결과는 보장을 할 수 없는 고위험군의 비즈니스이기에 기존의 테크 기업들은 직접 콘텐츠를 제작하기보다는, 이미 검증된 콘텐츠를 확보하는 방법을 더 선호했습니다. 막대한 라이센스 비용을 부담하더라도 말이죠. 13. 여기서도 넷플릭스는 다른 비즈니스 전략을 펼칩니다.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으로 콘텐츠 수급 비용을 변동비로 고정비로 바꾼 것인데요. 14. 넷플릭스는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유료 구독자의 수를 레버리지 삼아 콘텐츠 수급 비용을 변동비에서 고정비로 바꾸는 결단을 내립니다. 이는 넷플릭스가 완벽한 타이밍에 스트리밍으로 전환한 덕분에 가능했던 전략이었는데요. 15. 그리고 이 전략은 넷플릭스가 압도적인 진입장벽을 구축하게 만들어줍니다. 넷플릭스보다 훌륭한 알고리듬이나 UI/UX는 만들 수 있고, 넷플릭스보다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들거나 수급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한 일입니다. 16. 하지만 아무리 넷플릭스보다 좋은 서비스나 좋은 콘텐츠를 만든다 해도, 콘텐츠의 주기적 업데이트가 중요한 콘텐츠 구독 모델에서 넷플릭스와 경쟁하려면, 기본적으로 넷플릭스만큼 막대한 콘텐츠 제작비를 고정비로 쓰고 달려야 하는데요. 17. 이는 넷플릭스 정도의 구독자를, 넷플릭스보다 빠르게 확보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전략입니다. 18. 즉, 요즘 넷플릭스는 막대한 콘텐츠 제작비로 엄청난 진입 장벽을 쌓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요. 어쩌면 퀴비가 빠르게 GG를 친 것도 자신들이 이 장벽을 넘을 가능성이 없다는 점을 알았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네요.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2021년 1월 3일 오전 1:37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

개발자를 위한 부트캠프 필독 아티클 모음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보러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