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Outcome) 중심의 클라우드 구독 모델] 인프라를 제외한 영역에서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의 다양한 기업용 클라우드 구독 모델은 아직까지 과거의 방식 (유저 수, 연간 계약 등) 의 가격 메트릭을 따르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자신들의 수익을 일부 보장 받기 위함이기도 하고, 아직 결과 중심의 클라우드 구독 모델에 대한 연구와 경험이 더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인프라 클라우드의 경우 비교적 단순하게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으나, 비즈니스 가치를 증명해야 하는 많은 어플리케이션 영역 클라우드 들은 이를 정량화 하고 자신들의 수익과 연계하는 것이 아직은 과제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고객들의 요구는 이보다도 더 빨리 올 것 같습니다. 클라우드 기업들은 솔루션이 가져다 주는 가치에 대한 정량화와 가격 메트릭에 대한 고민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 같습니다.

`비대면` 길어지자...ICT기업 "클라우드 비용 줄여라"

매일경제

`비대면` 길어지자...ICT기업 "클라우드 비용 줄여라"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월 4일 오전 2:3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챗GPT가 대중적으로 등장해서 화제몰이를 시작했던 2년여전, 얼리어댑터들의 챗GPT 사용행태를 보고 챗GPT에 가장 먼저 큰 영향을 받을 서비스가 검색서비스/포털서비스라고 이야기해왔는데, 이제 그게 현실로 증명된 결과가 나왔다. 챗GPT 계열의 서비스를

    ... 더 보기

    구글 검색 점유율 10년만에 90%붕괴…머스크 “AI가 검색 대체”

    동아일보

    구글 검색 점유율 10년만에 90%붕괴…머스크 “AI가 검색 대체”

    < 모든 시도는 둘 중 하나다. 성공하거나 배우거나 >

    1. 큰 수의 법칙. 시도가 많아질수록 결과는 평균에 수렴한다. 주사위를 많이 던질수록 각 숫자가 나오는 확률은 1/6에 가깝다.

    ... 더 보기


    일 잘하는 사람은 AI를 어떻게 쓸까?

    

    ... 더 보기

    이력서에 쓰는 경험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