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OTT 진출 시 말레이시아 '구매력'·인도네시아 '통신품질' 강점
Naver
<韓 OTT 진출 시 말레이시아 '구매력'·인도네시아 '통신품질' 강점> 1/ 우리나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가 진출할 최적 지역으로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가 꼽혔다. 말레이시아는 구매력, 인도네시아는 인구·통신품질이 각각 유리한 것으로 확인됐다. 2/ 말레이시아는 높은 구매력이 강점으로 평가됐다. 말레이시아는 인터넷을 통해 영상 콘텐츠나 TV를 시청하는 이용자 비율(76%), 1인당 국내총생산(GDP)과 평균 임금 등 구매력 지표가 높았다. 다만 도·농 간 서비스 이용 격차가 있고, 인터넷 속도가 다소 느린 편은 약점으로 지적됐다. 3/ 인도네시아는 인구 90% 이상이 4세대(4G) 환경으로 모바일 동영상 시청이 가능한 데다 2억명이 넘는 인구 대국으로 잠재 이용자가 많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혔다. 넷플릭스를 통한 우리나라 콘텐츠 소비 수요도 상당했다. 4/ 태국은 인구·경제·문화 측면에서 지역 중간자적 위치가 강점으로 지목됐다. 시장 중심축을 이룬다는 측면에서 향후 주변 국가로의 진출이 용이하다. 높은 한류 콘텐츠 인기도 장점이다. 5/ 베트남은 인구 1억명 시장으로, 높은 경제 성장 등에 힘입은 OTT 매출이 3년 새 5배 급성장했다. 우리나라 등 글로벌 콘텐츠 의존도가 높아 국내 OTT 플랫폼에 유리하다. 다만 OTT 애플리케이션(앱) 사용자의 85% 이상이 무료 사용자라는 게 약점으로 지적됐다. 우리나라 콘텐츠 인기가 높아 유리한 측면도 있다. 6/ 이들 4개국 모두 불법 사용 문제가 동일하게 지적됐다. 나라별 차이는 있지만 다양한 불법 사이트가 존재하고 다운로드한 콘텐츠를 복사해서 돌려보는 행태도 나타나는 등 불법 콘텐츠 이용 근절이 시급한 현안이다. 7/ 방통위 관계자는 “조사 결과는 OTT 사업자가 동남아와 일본 진출 이전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시장자료”라면서 “5개 국가에 대한 추가 정보 수요와 다른 국가 진출 수요가 있는지 등 의견을 수렴해 국내 OTT 글로벌 진출을 위한 기초 정보를 지속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1년 1월 23일 오후 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