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엔터'의 출범, 그리고 넥스트에 대한 단상 1. 워낙 큰 뉴스라서 많은 의견들이 있다. 나는 그저 미약하지만 작년부터 예상한 방향과 어느 정도 맞아서 이후에 대해 그려보는 중. 응원하고 있다. 잘 할 거라고 기대되기도 하고, 응원하지 않을 수 없으니까. 2. 카카오는 완전한 수직계열 구조를 짜는 것 같다. 네이버가 직접적인 책임을 피하되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구조를 짜는 것과는 다르다. 다를 수밖에. 네이버는 투자할 자본이 있고 카카오는 없으니까. 자기 살림으로 본격적으로 돈을 벌어야 하는 사업자의 심정이 느껴진달까. 3. 콘텐츠에 돈을 쓴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건 퀄리티가 이슈가 아니다. 카카오는 HBO가 아니니까. 해외 콘텐츠 맛집들에 비하면 카카오는 가성비로 승부를 볼 수밖에 없다. OSMU 전략은 완성도가 아니라 효율성을 키우는 전략이다. 몸집이 작은 입장에서 취하기 좋은 전략이기도 하다. 4. 핵심은 콘텐츠의 연결성/관계성이다. 카카오의 오리지널 소스(IP)-각색-캐스팅-투자-제작-배급-부가가치 개발로 이어지는 밸류체인이 각 노드의 고객들(=팬들)을 끌어당기고 융합시키는 게 이슈일 거다. 웹툰/웹소설 팬은 또 다르고, 아이돌 팬도 다르고, 영화 팬도 다르다. 비슷하지만 모두가 미묘하게, 그러나 결정적으로 다르다. 기존 팬을 재구성하는 게 아니라 사실상 새로운 팬을 만들어야 하는 쪽에 가깝다고 본다. 5. 이 과정에서 온라인/오프라인/디지털/피지컬 등 포맷은 중요하지 않다. 필요하면 오프라인 공간에 대한 투자도 할 수 있을 듯. 중요한 건 '콘텐츠'로 형성된 팬들이 카카오와 연관된 구조에서 계속 돈을 쓰고, 그걸 심지어 즐거워하거나 자랑해야 하는 것이다. 6. 어쩌면, 모든 콘텐츠 비즈니스의 원형 혹은 지향점은 오직 하나를 가리키는 것 같다. 월트 디즈니 모델.

카카오페이지-카카오M 합병...'공룡' 카카오엔터 출범 | 연합뉴스

연합뉴스

카카오페이지-카카오M 합병...'공룡' 카카오엔터 출범 | 연합뉴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월 25일 오전 5:00

댓글 2

함께 읽은 게시물

< '네이버 다녀요'라는 말에 아무도 무슨 일을 하는지는 묻지 않았다 >

1

... 더 보기

일찍 알았다면 좋았을 TailwindCSS 클래스 8가지

T

... 더 보기

8 TailwindCSS Classes I Wish I Found Earlier

www.youtube.com

8 TailwindCSS Classes I Wish I Found Earlier

 • 

댓글 1 • 저장 101 • 조회 3,998


균형을 유지해서 어느 한 상태가 다른 상태를 압도하지 않게 하려면 필요한 것이 있다. 바로 ‘룬샷’을 도모하는 예술가와 ‘프랜차이즈’를 도모하는 병사가 똑같이 사랑받는다고 느껴야 한다는 것. 나약하고 모호한 소리처럼 들릴 수도 있지만, 아주 현실적인 얘기이자 자주 간과되는 요소다.

... 더 보기

흐름출판 | 편애하는 리더가 빠지는 함정 - 교보문고

casting.kyobobook.co.kr

흐름출판 | 편애하는 리더가 빠지는 함정 - 교보문고

조회 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