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ping up for a truly open source Elasticsearch | Amazon Web Services
Amazon Web Services
오픈코어에 대하여. (부제: Elastic vs AWS! Elastic search로 한판 붙다) AWS 에서 ElasticSearch 를 서비스 하고 있는 것은 다 알고 게실겁니다. 그런데 최근에 아주 큰 사건이 터졌는데요. AWS 에서 ElasticSearch 를 2015년 부터 마음대로 변경해 왔다고 하여 Elastic 에서 AWS 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라이센스를 바꿔버린 겁니다. 단순하게 Elastic 을 욕하기는 어려운 문제입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오픈코어라는 것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데요. 오픈코어는 소스코드는 오픈소스로 유지하고 Corporate plan 을 유료화 하여 지원등을 통하여 과금을 하는 형태의 사업을 이야기 합니다. 유명한 것으로는 MongoDB, Redis, Mapbox 등이 있죠. 사실 처음 오픈코어가 등장했을 때에는 모두가 안된다고 했었습니다. 왜냐면 어느정도 오픈소스가 성장하고 나면 그 코드를 사용해서 다른 서비스가 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MongoDB 나 Redis는 오히려 이런 여론을 이용해서 다른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서비스를 만들지 못하게 합니다. 여태 MongoDB Atlas 가 잘 되고 있는 것 보면 어느정도 성공한 것 같은데요. 그런데 얼마전 Azure에서 Mapbox 를 클론하여 Azure Map 을 만든 사례가 있습니다. AWS는 라이센스 비용도 지불하지 않고 2015년 부터 Elastic 과의 어떠한 협약도 없이 마음대로 소스코드를 변경하고 AWS ElasticSearch 라는 서비스를 운영해 왔죠. 오픈코어 서비스는 저희같은 스타트업에서는 정말 중요합니다. ElasticSearch, Mapbox, MongoDB, Redis 모두 저희가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클라우드 쪽에서 나오면 앞으로는 오픈코어 형식의 사업을 하기 어렵게 됩니다. 결국 클라우드가 오픈코어 사업을 없애가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그래서 저는 Elastic.co 의 행보에 제동을 건 Amazon 에 대해서 어느쪽이 잘했다 라고 이야기 하기 어려운 입장입니다. 이 글에서도 Truly open source elasticsearch 라고 썼지만 사실 오픈소스는 기업이 사용할 만한 마감이 항상 떨어지기 때문에 여태 ElasticSearch 가 이만큼 커 온 것은 오픈코어의 영향이었음을 부인할 수 없거든요. 어떻게 될지는 지켜봐야 알겠지만 여러모로 참 씁쓸한 소식입니다.
2021년 1월 25일 오전 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