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이너들은 항상 잘 정리된 프로젝트 레퍼런스들을 원합니다. 이는 공부가 될 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작업과정과도 비교해보며 발전의 여지를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구독관리앱에 대해서 케이스 스터디 방식으로 정말 자세히 진행/정리해주신 프로젝트가 있어 공유합니다. Vivi Shin 님의 프로젝트이자 글입니다.

구독관리앱 UI/UX 케이스 스터디

Brunch Story

구독관리앱 UI/UX 케이스 스터디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11월 18일 오전 7:3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기초 프로그래밍을 좀 더 열심히 공부할 걸..

    ... 더 보기

    < 가장 강력한 마케팅은 당신의 철학을 공개하는 것이다 >

    1. ’무엇‘과 ’어떻게‘는 일정한 기준으로 측정 가능하며 우열도 가릴 수 있지만 ’왜‘는 그 사람만의 삶의 방식에 따른 것으로 고유성을 갖는다.

    ... 더 보기

    팀에서 중간 직급을 맡게 된다는 건 무엇을 의미할까요? 아래로는 후배를 챙겨야 하고, 위로는 상사를 모셔야 하는 ‘이중고’에 시달리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후배를 챙기는 것보다 더 중요하고 더 난이도가 높은 게 상사와의 케미를 끌어올리는 건데요. 그런데 이게 말처럼 쉽지가 않습니다.

    ... 더 보기


    (웹)프론트엔드 개발이 쉬워보인다면 CSS나 WebGL 차력쇼나 대량의 실시간 업데이트 같은 것을 경험해보지 못해서..


    근데 사실 (웹)백엔드도 대부분의 일은 CRUD라 요즘은 뇌 없이도 할 수 있다. (광역 어그로)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4 • 조회 3,088